인터넷신문과 종이신문의 비교및 이해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종이신문의 이해

2. 인터넷 신문의 이해

3. 한국에서의 인터넷신문의 현황과 문제점

4. 종이신문과 인터넷 신문의 이용과 한계

5. 신문의 미래에 대한 논의

본문내용

적 절감, 인쇄신문에서 청소년들 독자층의 이탈 등의 이유로 인쇄신문이 소멸하지는 않겠지만 장기적으로 쇠퇴할 것이라는 주장이 지배적이었다. 예를 들면 미국의 미디어 학자이며 레이건 대통령의 보좌관을 지냈던 조지길더는 '신문이 미디어시장을 리드하는 정보사업체라고 주장할 시간이 얼마남지 않았다'면서 신문이 이제까지 다른 미디어보다 우수했던 것은 정보의 수집력 그리고 정보를 이용하기 좋은 형태로 편집해서 편리한 배달시스템을 통해 판매하는데 있었으나 앞으로는 정보화시대에 맞게 정보유통을 디지털화하지 않으면 안될 것이라고 전망하였다. 한편 나이트리더(Night-Leader)그룹 부설 정보디자인연구소의 로저피들러 소장은 앞으로 인쇄신문과 전자신문이 약 25년간 공존하겠지만, 머지않아 인쇄신문이 디지털화에 대체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뒷받침하기 위하여 인쇄신문의 쇠퇴를 예측할 수 있는 수많은 통계자료를 우리에게 제시하고 있다. 예를 들면 7회에 걸쳐 인터넷이용자 조사를 실시한 GVU(Graphic Visualization)에 따르면 인터넷신문 이용자의 70%가 35세 미만으로 젊은 세대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사이버다일로그와 Find/SVP의 조사에 따르면 인터넷 이용자의 16%가 신문과 잡지 읽기를 줄였고 35%가 시청시간을 줄였다는 것이다.
하지만 라디오가 TV의 경쟁을 물리치고 자신들만의 독자적인 영역을 확보하여 계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는 것처럼 인터넷신문의 확산이 인쇄신문의 쇠퇴로 이어지지는 않으며 오히려 그 반대의 증거도 많이 제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미국 버지니아 블랙스버그 전자촌을 대상으로 실시한 실증조사에서 인터넷시대에서도 인쇄신문의 성장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네트워크 이용자들이 미국의 전형적인 신문독자보다 29분 더 신문을 읽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네트워크 사용 이전과 이후의 신문소비 시간이 변하지 않았다고 응답했다. 또 다른 증거로는 1996년부터 유료서비스를 시작한 월스트리트저널의 인터넷신문인 Wall Street Journal Interactive Edition의 경우 유료사용자의 약 40%가 인쇄판 월스트리트 저널을 동시에 구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자료를 토대로 신문의 미래는 종이신문의 완정한 쇠퇴나 인터넷신문의 완전한 장악 없이 서로 필요한 부분에 있어 적절히 공유되는 상퇴로 존재하게 될 것이라 추측된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02.12.10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0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