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가. 연구 목적
나. 연구 방법
다. 연구 배경
라. 가설 설정
2. 본론
가. 준비운동의 생리적 기초
나. 준비운동의 목적과 배경
다. 준비운동의 종류, 내용 및 실시방법
라. 준비운동의 구성내용과 실시순서
마. 준비운동 실시상의 유의사항
3. 결론
④ 참고문헌
가. 연구 목적
나. 연구 방법
다. 연구 배경
라. 가설 설정
2. 본론
가. 준비운동의 생리적 기초
나. 준비운동의 목적과 배경
다. 준비운동의 종류, 내용 및 실시방법
라. 준비운동의 구성내용과 실시순서
마. 준비운동 실시상의 유의사항
3. 결론
④ 참고문헌
본문내용
5 . 9
1 6 . 3
상황 이름
박 종 곤
배 원 득
양 웅 모
이 재 학
조 형 준
몸풀지 않은 상태
1 6 . 3
1 6 . 5
1 6 . 7
1 6 . 7
1 6 . 5
20분 몸풀은 상태
1 5 . 8
1 6 . 3
1 6 . 3
1 6 . 5
1 6 . 0
50분 몸풀은 상태
1 6 . 1
1 6 . 3
1 6 . 5
1 6 . 6
1 6 . 2
·몸 풀기 전 평균 : 16.44 s
·20분 몸 풀은 후 평균 : 16.1 s
·50분 몸 풀은 후 평균 : 16.35 s
<준비운동 양에 따른 좌전굴 기록 차이> (단위 : cm)
상황 이름
구 도 훈
김 성 현
김 충 빈
문 광 욱
박 상 근
몸풀지 않은 상태
1 4
5
1 5
3
1 4
20분 몸풀은 상태
2 0
9
2 2
6
1 8
50분 몸풀은 상태
2 0
1 0
2 2
5
1 8
상황 이름
박 종 곤
배 원 득
양 웅 모
이 재 학
조 형 준
몸풀지 않은 상태
1 6
2 0
2 2
1 6
1 0
20분 몸풀은 상태
2 2
2 3
2 6
2 1
1 6
50분 몸풀은 상태
2 2
2 2
2 6
2 2
1 6
·몸 풀기전 평균 : 13.5 cm
·20분 몸 풀은 후 평균 : 18.3 cm
·50분 몸 풀은 후 평균 : 18.3 cm
<준비운동 양에 따른 야구공 던지기 기록 차이> (단위 : m)
상황 이름
구도훈
김성현
김충빈
문광욱
박상근
몸풀지 않은 상태
3 4
4 4
4 2
4 5
5 2
20분 몸풀은 상태
3 6
4 3
4 3
4 9
5 7
50분 몸풀은 상태
3 8
4 3
4 4
4 9
5 6
상황 이름
박종곤
배원득
양웅모
이재학
조형준
몸풀지 않은 상태
4 6
3 8
4 1
3 7
4 6
20분 몸풀은 상태
5 2
4 0
4 4
4 0
4 9
50분 몸풀은 상태
5 0
4 1
4 4
3 6
5 0
·몸 풀기전 평균 : 42.5 m
·20분 몸 풀은 후 평균 : 45.3 m
·50분 몸 풀은 후 평균 : 45.1 m
3. 결론
준비 운동을 하지 않으면 자신의 운동능력을 최대로 발휘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운동 상해 가 나타날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준비 운동은 우리 신체의 온도를 높여줘서 근육의 내부 온도를 높여주고 탄력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호흡량을 증가시켜 운동근에 혈액 순환을 증가시켜 준다. 또 준비운동은 근육 건, 인대 및 관절의 유연성을 높이고, 운동 중에 많이 사용하는 부분의 모세혈관까지 혈액을 충분 히 보내어 산소와 영양을 조직에 공급하고, 탄산가스와 젖산 등의 노폐물을 제거시켜 지속적이 고 활기찬 근의 수축력을 향상시켜준다.
이러한 생리적인 요인에 의해 준비운동을 하면 준비운동을 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운동 능력 이 향상된다. 그리고 근육에 탄력성이 증대되고, 건, 인대 및 관절의 유연성이 높아져서 부상당 할 확률이 준비운동을 하지 않았을 경우와 비교해 엄청나게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조는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준비 운동을 적당히(20분) 하였을 경우의 기록이 가장 좋게 나올 것으로 예상하였고, 지나치게(50분) 많이 했을 경우가 그 다음,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않 았을 경우의 기록이 가장 나쁘게 나올 것으로 예상했었다. 연구를 해본 결과 연구하기 전에 예 상했던 것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종목마다 기록 변화량에는 차이가 있으나, 모든 종목에서 20분 몸풀은 상태의 기록이 가장 좋 게 나왔다. 반면 모든 종목에서 몸을 전혀 풀지 않은 상태의 기록이 가장 저조하게 나왔다. 그 리고 몸을 전혀 풀지 않은 상태에서 높이뛰기를 하다가 실험자(구도훈)중 한명이 목에 부상을 당했다.
이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준비운동을 하지 않으면 자신의 운동능력을 100%발휘 하지 못할 뿐만아니라 여러 가지 부상을 당할 확률이 높아진다.
우리 조에서 연구한 내용을 보면 준비 운동을 20분했을 경우의 높이뛰기 기록이 50분했을 경 우보다 평균 1.5cm가 높고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4.5cm가 높았다.
제자리 멀리뛰기의 경우에는 준비운동을 20분했을 경우의 기록이 50분했을 경우의 기록보다 2.5cm 멀리 뛰었고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않았을 때보다 무려 6cm나 멀리 뛰었다.
10M 왕복 달리기의 경우에는 준비운동을 20분했을 때의 기록이 50분했을 때보다 0.14초 단축되었고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았을 때보다는 0.19초가 단축되었다.
세모-RUN의 기록을 보면 준비운동을 20분했을 때의 기록이 50분했을 때보다 평균 0.15초 단축되었고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않았을 경우보다는 0.37초 단축되었다.
Z-RUN의 경우에는 준비운동을 20분했을 경우의 기록이 50분했을 경우의 기록보다 평균 0.25초 단축
되었고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않았을 경우보다는 0.33초 단축되었다.
유연성의 기록을 보면 준비운동을 20분했을 경우와 준비운동을 50분했을 경우의 기록이 똑같이 나왔 다. 그리고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않았을 경우보다는 평균 4.8cm 가 기록이 좋게 나왔다.
마지막으로 공던지기를 보면 20분 준비운동을 했을 경우의 기록이 50분 준비운동을 했을 경우보다 0.2m 멀리 나왔고,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않았을 경우보다는 2.8m 기록이 좋게 나왔다.
이렇게 우리조에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준비운동을 하면 준비운동을 하지 않은 것보다
운동 능력이 향상되고, 적당히 준비운동을 할 경우가 준비운동을 지나치게 많이 했을 경우보다 기록이
좋게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가 나오게된 이유는 준비운동을 지나치게 많이 하면 몸에 젖
산이 쌓이게 되고 근육이 피로해지게 되기 때문에, 또 몸에 긴장이 풀어지는 이유로 인해 준비운동을
많이 하게 되면 적당히 하였을 경우보다 기록이 잘 안나오게 되는 것이다. 또 종목마다 기록변화에 차이 가 생기는 이유는 종목마다 근육의 용도와 인대, 관절 등의 용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 참고 문헌 ◈
김웅래,「준비운동 강도에 따른 유연성 변화에 관한 연구」공주사범대학, 1986
이호천,「준비운동 강도가 달리기 기록에 미치는 영향」강원대학교, 1982
김성수,「운동 생리학」대경, 1995
강희성,「운동 생리학」교학연구사 1989
1 6 . 3
상황 이름
박 종 곤
배 원 득
양 웅 모
이 재 학
조 형 준
몸풀지 않은 상태
1 6 . 3
1 6 . 5
1 6 . 7
1 6 . 7
1 6 . 5
20분 몸풀은 상태
1 5 . 8
1 6 . 3
1 6 . 3
1 6 . 5
1 6 . 0
50분 몸풀은 상태
1 6 . 1
1 6 . 3
1 6 . 5
1 6 . 6
1 6 . 2
·몸 풀기 전 평균 : 16.44 s
·20분 몸 풀은 후 평균 : 16.1 s
·50분 몸 풀은 후 평균 : 16.35 s
<준비운동 양에 따른 좌전굴 기록 차이> (단위 : cm)
상황 이름
구 도 훈
김 성 현
김 충 빈
문 광 욱
박 상 근
몸풀지 않은 상태
1 4
5
1 5
3
1 4
20분 몸풀은 상태
2 0
9
2 2
6
1 8
50분 몸풀은 상태
2 0
1 0
2 2
5
1 8
상황 이름
박 종 곤
배 원 득
양 웅 모
이 재 학
조 형 준
몸풀지 않은 상태
1 6
2 0
2 2
1 6
1 0
20분 몸풀은 상태
2 2
2 3
2 6
2 1
1 6
50분 몸풀은 상태
2 2
2 2
2 6
2 2
1 6
·몸 풀기전 평균 : 13.5 cm
·20분 몸 풀은 후 평균 : 18.3 cm
·50분 몸 풀은 후 평균 : 18.3 cm
<준비운동 양에 따른 야구공 던지기 기록 차이> (단위 : m)
상황 이름
구도훈
김성현
김충빈
문광욱
박상근
몸풀지 않은 상태
3 4
4 4
4 2
4 5
5 2
20분 몸풀은 상태
3 6
4 3
4 3
4 9
5 7
50분 몸풀은 상태
3 8
4 3
4 4
4 9
5 6
상황 이름
박종곤
배원득
양웅모
이재학
조형준
몸풀지 않은 상태
4 6
3 8
4 1
3 7
4 6
20분 몸풀은 상태
5 2
4 0
4 4
4 0
4 9
50분 몸풀은 상태
5 0
4 1
4 4
3 6
5 0
·몸 풀기전 평균 : 42.5 m
·20분 몸 풀은 후 평균 : 45.3 m
·50분 몸 풀은 후 평균 : 45.1 m
3. 결론
준비 운동을 하지 않으면 자신의 운동능력을 최대로 발휘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운동 상해 가 나타날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
준비 운동은 우리 신체의 온도를 높여줘서 근육의 내부 온도를 높여주고 탄력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호흡량을 증가시켜 운동근에 혈액 순환을 증가시켜 준다. 또 준비운동은 근육 건, 인대 및 관절의 유연성을 높이고, 운동 중에 많이 사용하는 부분의 모세혈관까지 혈액을 충분 히 보내어 산소와 영양을 조직에 공급하고, 탄산가스와 젖산 등의 노폐물을 제거시켜 지속적이 고 활기찬 근의 수축력을 향상시켜준다.
이러한 생리적인 요인에 의해 준비운동을 하면 준비운동을 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운동 능력 이 향상된다. 그리고 근육에 탄력성이 증대되고, 건, 인대 및 관절의 유연성이 높아져서 부상당 할 확률이 준비운동을 하지 않았을 경우와 비교해 엄청나게 줄어드는 것을 알 수 있다.
우리조는 연구를 시작하기 전에 준비 운동을 적당히(20분) 하였을 경우의 기록이 가장 좋게 나올 것으로 예상하였고, 지나치게(50분) 많이 했을 경우가 그 다음,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않 았을 경우의 기록이 가장 나쁘게 나올 것으로 예상했었다. 연구를 해본 결과 연구하기 전에 예 상했던 것과 같은 결과가 나왔다.
종목마다 기록 변화량에는 차이가 있으나, 모든 종목에서 20분 몸풀은 상태의 기록이 가장 좋 게 나왔다. 반면 모든 종목에서 몸을 전혀 풀지 않은 상태의 기록이 가장 저조하게 나왔다. 그 리고 몸을 전혀 풀지 않은 상태에서 높이뛰기를 하다가 실험자(구도훈)중 한명이 목에 부상을 당했다.
이것을 보면 알 수 있듯이, 준비운동을 하지 않으면 자신의 운동능력을 100%발휘 하지 못할 뿐만아니라 여러 가지 부상을 당할 확률이 높아진다.
우리 조에서 연구한 내용을 보면 준비 운동을 20분했을 경우의 높이뛰기 기록이 50분했을 경 우보다 평균 1.5cm가 높고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않았을 경우보다 4.5cm가 높았다.
제자리 멀리뛰기의 경우에는 준비운동을 20분했을 경우의 기록이 50분했을 경우의 기록보다 2.5cm 멀리 뛰었고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않았을 때보다 무려 6cm나 멀리 뛰었다.
10M 왕복 달리기의 경우에는 준비운동을 20분했을 때의 기록이 50분했을 때보다 0.14초 단축되었고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았을 때보다는 0.19초가 단축되었다.
세모-RUN의 기록을 보면 준비운동을 20분했을 때의 기록이 50분했을 때보다 평균 0.15초 단축되었고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않았을 경우보다는 0.37초 단축되었다.
Z-RUN의 경우에는 준비운동을 20분했을 경우의 기록이 50분했을 경우의 기록보다 평균 0.25초 단축
되었고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않았을 경우보다는 0.33초 단축되었다.
유연성의 기록을 보면 준비운동을 20분했을 경우와 준비운동을 50분했을 경우의 기록이 똑같이 나왔 다. 그리고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않았을 경우보다는 평균 4.8cm 가 기록이 좋게 나왔다.
마지막으로 공던지기를 보면 20분 준비운동을 했을 경우의 기록이 50분 준비운동을 했을 경우보다 0.2m 멀리 나왔고, 준비운동을 전혀 하지 않았을 경우보다는 2.8m 기록이 좋게 나왔다.
이렇게 우리조에서 조사한 결과를 보면 알 수 있듯이 준비운동을 하면 준비운동을 하지 않은 것보다
운동 능력이 향상되고, 적당히 준비운동을 할 경우가 준비운동을 지나치게 많이 했을 경우보다 기록이
좋게 나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결과가 나오게된 이유는 준비운동을 지나치게 많이 하면 몸에 젖
산이 쌓이게 되고 근육이 피로해지게 되기 때문에, 또 몸에 긴장이 풀어지는 이유로 인해 준비운동을
많이 하게 되면 적당히 하였을 경우보다 기록이 잘 안나오게 되는 것이다. 또 종목마다 기록변화에 차이 가 생기는 이유는 종목마다 근육의 용도와 인대, 관절 등의 용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 참고 문헌 ◈
김웅래,「준비운동 강도에 따른 유연성 변화에 관한 연구」공주사범대학, 1986
이호천,「준비운동 강도가 달리기 기록에 미치는 영향」강원대학교, 1982
김성수,「운동 생리학」대경, 1995
강희성,「운동 생리학」교학연구사 1989
추천자료
물리 실험 - 선운동량 보존 법칙 - 예비보고서
[일반물리학] 운동량과 에너지 보존 결과 리포트
일반 물리학 실험 - 운동량과 에너지 보존 법칙
[물리 실험] 선운동량 보존법칙 실험
[물리실험] 각 운동량의 보존.PPT자료
물리실험보고서 - 관성모멘트 및 각운동량 보존
일반물리학 실험 - 운동량과 에너지 보존
일반물리실험 - 관성모멘트와 각운동량보존
일반물리학 실험 - 운동량 보존
기초전자 물리학실험 - 선운동량 보존, 충돌 및 저항력(역학3)
일반물리학 실험 - 선운동량 보존(탄성충돌) 결과
일반물리학 실험 - 각운동량 보존
물리 일차원 충돌과 운동량 보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