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 배스킨 라빈스 이야기
II. 본 론
1. 아이스크림이란.
2. 아이스크림의 공정과정
3.마케팅 전략 - 배스킨라빈스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
4. 마케팅 믹스 4P분석
1) Price
★표시가격
2) Product
★ 품질
★ 디자인
★ 상표
★ 포장
★ 고객서비스
3) Place
★ 유통경로
★ 서비스 수준
4) Promotion
5. 4p의 장단점과 향후 발전 전략 제의
III. 결론
II. 본 론
1. 아이스크림이란.
2. 아이스크림의 공정과정
3.마케팅 전략 - 배스킨라빈스가 성공할 수 있었던 이유
4. 마케팅 믹스 4P분석
1) Price
★표시가격
2) Product
★ 품질
★ 디자인
★ 상표
★ 포장
★ 고객서비스
3) Place
★ 유통경로
★ 서비스 수준
4) Promotion
5. 4p의 장단점과 향후 발전 전략 제의
III. 결론
본문내용
겨울이미지에 맞게 스크루지편을 제작, 방송하여 이를 통해 12월의 많은 행사때 아이스크림케익의 집중판매를 유도한바가 있다.
2001년에 방영된 cf를 살펴보면 베스킨라빈스사의 고객마케팅을 알 수 있는데 두가지 cf(아진이 모델로한 동화속 이야기, 오모테를 모델로한 슈팅스타)를 통해 베스킨라빈스사는 어린이
고객층을 흡수하려는 전략과 여전히 남성에 비해 월등한 고객인 여성고객을 위한 이중적 고객마케팅을 펼쳤다고 할 수 있다.
'배스킨31' 31일엔 '공짜 Day'…월드컵 개막일 결식아동돕기
비알코리아의 배스킨라빈스31(www.baskinrobbins.co.kr)이 2002 한·일월드컵 개막일인 31일 결식아동돕기 '프리 스쿱 데이(free scoop day)' 행사를 벌인다. 이날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배스킨라빈스 매장을 방문하는 모든 고객에게 싱글레귤러 아이스크림을 무료로 제공한다. 매장을 방문한 사람들에게 100원 이상의 성금을 모아 전액을 결식 아동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이 행사는 전국 500여개의 매장에서 동시에 진행되며 50만명 이상의 고객들에게 5억원 상당의 아이스크림을 나눠줄 예정이다. 1,600여명의 자원봉사자가 참가, 1억원 상당의 기부금을 모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배스킨라빈스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세계인의 축제인 월드컵 개막에 맞춰 아이스크림 축제를 하는 것"이라며 "모든 고객에게 아이스크림을 무료로 나눠줘 즐거움을 주고, 고객의 사랑을 좋은 일에 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비알코리아는 해마다 5월31일을 '사랑의 아이스크림 나눔의 날'로 정해 결식 아동을 도울 계획이다.
이현 기자 tanaka@hot.co.kr - 2002년 05월 30일 (목) 11:54
현재 배스킨 라빈스가 진행하고 있는 행사들이다.
5. 4p의 장단점과 향후 발전 전략 제의
현재 배스킨 라빈스가 추구하고 있는 경영전략은 비교적 체계적인 것 같다.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소비자에게 입맛의 다양성을 존중 할 수 있다는 것, 브랜드 이미지를 일관되게 관리하고 있다는 것, 품질에 만족할 수 있다는 것등. 무엇보다 새로운 전략은 '맛보기 스푼'의 도입인 것 같다. 눈으로만 봐선 그 맛을 짐작할 수 없는 소비자에게 자신들의 제품을 광고함과 동시에 또 다른 수요를 창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막상 기대에 차지 않으면 외면당하는 경우도 생기기는 하지만 기업입장에서는 그런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 현대는 기업이 만들어낸 물건을 소비자가 소비하는 것이 아닌 선택하는 시대이기 때문에, 까다로운 소비자들의 입맛에 대하여 한층 연구, 발전할 수 있는 기회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그다지 활성화가 되지 않은 상품권에 대하여 대대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아직 많은 수의 사람들이 아이스크림 상품권에 대해서는 지식이 미미한 상태이기 때문에 기념일등과 연계시켜 부담없고, 만족스러운 선물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한 광고를 한다면 틈새시장에서의 또 다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까지는 아이스크림은 지방이 많고, 비만의 원인이 되고, 단 것이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신경쓰는 사람이나 단 것을 싫어하는 소비자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 하고 있다. 현재 상품으로 나와 있기는 하지만 종류는 그다지 많지 않고 약간 맛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그 단점을 분석하여 맛이 떨어지지 않는 저칼로리 아이스크림을 개발하는 것도 좋은 전략인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바'형태로 된 아이스크림류가 인기를 꾸준히 얻고 있다. 배스킨 라빈스에서는 현재 샌드위치 형태로 된 종류가 나오는 것으로 아는데, 그런 형태로 된 제품은 쉽게 녹고 먹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어 판매가 잘 되는 제품은 아니다. 그러므로 flavor마다 '바'형태로 만든다면 소비자에게 다양한 기회를 부여할 수 있지 않을까? 물론 비싸다는 이미지는 갖게 되겠지만 브랜드 특성을 살려 포장 디자인을 예쁘게 한다던가, 모양을 토끼나 하트모양등으로 제작하고, 손잡이가 되는 부분도 나무가 아닌 숟가락과 같은 재질, 색깔인 것으로 만든다면 소비자도 좋아할 것 같다.
그 밖에도 아이디어 공모등을 통해 보다 새로운 형태로 아이스크림을 즐길 수 있는 방법도 연구해 보면 어떨까? 현재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면 갖가지 아이디어를 접수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에 대한 홍보가 사이트 안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참여율이 저조하다. 그러므로 대대적인 광고와 함께 공모전을 실시한다면 더욱 참신한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을까? 왜냐하면 소비자들도 차츰 지금과 또 다른 형태가 나와 주기를 바랄 것이기 때문이다. 아이스크림 샐러드등 여러 가지 아이템들이 제시되었는데 그것들을 받아들이고 꾸준한 연구와 소비자 기호를 파악하면서 나아간다면 보다 발전 할 수 있는 배스킨 라빈스가 되지 않을까?
III. 결론
배스킨 라빈스의 아이스크림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고수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다양성과 차별화된 이미지로 매출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영전략은 그다지 손색이 없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런 종류의 기업이 우리나라 내에서 발전되어 세계시장으로 나가게 될 그날은 언제일까 생각해 보았다. 우리나라 기업이 아닌만큼 로얄티등이 소비되고 상대적으로 미국의 우위를 높여주는 기회도 되기 때문에 그 안타까움이 더해 지는 것 같다. 물론 미국에서 시작된 제품형태이고 우리나라에 들어온 역사는 길지 않기 때문에 현재는 저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뒷받침 된다면 우리나라의 제품 형태도 충분히 세계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단순하지만 전문적인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는 서양문화를 역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차별적 형태를 강조 할 수 있다면 세계제패는 어려운 일이 아닐 것 같다. 하지만 그네들의 합리적이고 전문적인 장인정신을 본받아 다양한 곳의 전문가가 아닌 한 분야의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으면 좋겠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아이디어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아가기 시작하는 이 때, 정부 차원에서도 한 분야에 최선을 다 하여 진정한 장인정신을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는 기업에 아끼지 않고 지원, 교육을 해 준다면 더욱 빨리 발전할 수 있지 않을까?
2001년에 방영된 cf를 살펴보면 베스킨라빈스사의 고객마케팅을 알 수 있는데 두가지 cf(아진이 모델로한 동화속 이야기, 오모테를 모델로한 슈팅스타)를 통해 베스킨라빈스사는 어린이
고객층을 흡수하려는 전략과 여전히 남성에 비해 월등한 고객인 여성고객을 위한 이중적 고객마케팅을 펼쳤다고 할 수 있다.
'배스킨31' 31일엔 '공짜 Day'…월드컵 개막일 결식아동돕기
비알코리아의 배스킨라빈스31(www.baskinrobbins.co.kr)이 2002 한·일월드컵 개막일인 31일 결식아동돕기 '프리 스쿱 데이(free scoop day)' 행사를 벌인다. 이날 오후 2시부터 5시까지 배스킨라빈스 매장을 방문하는 모든 고객에게 싱글레귤러 아이스크림을 무료로 제공한다. 매장을 방문한 사람들에게 100원 이상의 성금을 모아 전액을 결식 아동에게 전달할 예정이다.
이 행사는 전국 500여개의 매장에서 동시에 진행되며 50만명 이상의 고객들에게 5억원 상당의 아이스크림을 나눠줄 예정이다. 1,600여명의 자원봉사자가 참가, 1억원 상당의 기부금을 모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배스킨라빈스 관계자는 "이번 행사는 세계인의 축제인 월드컵 개막에 맞춰 아이스크림 축제를 하는 것"이라며 "모든 고객에게 아이스크림을 무료로 나눠줘 즐거움을 주고, 고객의 사랑을 좋은 일에 전할 것"이라고 밝혔다.
비알코리아는 해마다 5월31일을 '사랑의 아이스크림 나눔의 날'로 정해 결식 아동을 도울 계획이다.
이현 기자 tanaka@hot.co.kr - 2002년 05월 30일 (목) 11:54
현재 배스킨 라빈스가 진행하고 있는 행사들이다.
5. 4p의 장단점과 향후 발전 전략 제의
현재 배스킨 라빈스가 추구하고 있는 경영전략은 비교적 체계적인 것 같다. 항상 새로운 것을 추구하는 소비자에게 입맛의 다양성을 존중 할 수 있다는 것, 브랜드 이미지를 일관되게 관리하고 있다는 것, 품질에 만족할 수 있다는 것등. 무엇보다 새로운 전략은 '맛보기 스푼'의 도입인 것 같다. 눈으로만 봐선 그 맛을 짐작할 수 없는 소비자에게 자신들의 제품을 광고함과 동시에 또 다른 수요를 창출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막상 기대에 차지 않으면 외면당하는 경우도 생기기는 하지만 기업입장에서는 그런 것도 중요하다고 본다. 현대는 기업이 만들어낸 물건을 소비자가 소비하는 것이 아닌 선택하는 시대이기 때문에, 까다로운 소비자들의 입맛에 대하여 한층 연구, 발전할 수 있는 기회로 전환될 수 있기 때문이다. 현재 그다지 활성화가 되지 않은 상품권에 대하여 대대적인 홍보가 필요하다. 아직 많은 수의 사람들이 아이스크림 상품권에 대해서는 지식이 미미한 상태이기 때문에 기념일등과 연계시켜 부담없고, 만족스러운 선물이 될 수 있음을 강조한 광고를 한다면 틈새시장에서의 또 다른 성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아직까지는 아이스크림은 지방이 많고, 비만의 원인이 되고, 단 것이라는 인식이 강하기 때문에 다이어트에 신경쓰는 사람이나 단 것을 싫어하는 소비자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 하고 있다. 현재 상품으로 나와 있기는 하지만 종류는 그다지 많지 않고 약간 맛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으므로, 그 단점을 분석하여 맛이 떨어지지 않는 저칼로리 아이스크림을 개발하는 것도 좋은 전략인 것 같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바'형태로 된 아이스크림류가 인기를 꾸준히 얻고 있다. 배스킨 라빈스에서는 현재 샌드위치 형태로 된 종류가 나오는 것으로 아는데, 그런 형태로 된 제품은 쉽게 녹고 먹기가 불편하다는 단점이 있어 판매가 잘 되는 제품은 아니다. 그러므로 flavor마다 '바'형태로 만든다면 소비자에게 다양한 기회를 부여할 수 있지 않을까? 물론 비싸다는 이미지는 갖게 되겠지만 브랜드 특성을 살려 포장 디자인을 예쁘게 한다던가, 모양을 토끼나 하트모양등으로 제작하고, 손잡이가 되는 부분도 나무가 아닌 숟가락과 같은 재질, 색깔인 것으로 만든다면 소비자도 좋아할 것 같다.
그 밖에도 아이디어 공모등을 통해 보다 새로운 형태로 아이스크림을 즐길 수 있는 방법도 연구해 보면 어떨까? 현재 홈페이지를 방문해 보면 갖가지 아이디어를 접수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에 대한 홍보가 사이트 안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참여율이 저조하다. 그러므로 대대적인 광고와 함께 공모전을 실시한다면 더욱 참신한 아이디어가 나오지 않을까? 왜냐하면 소비자들도 차츰 지금과 또 다른 형태가 나와 주기를 바랄 것이기 때문이다. 아이스크림 샐러드등 여러 가지 아이템들이 제시되었는데 그것들을 받아들이고 꾸준한 연구와 소비자 기호를 파악하면서 나아간다면 보다 발전 할 수 있는 배스킨 라빈스가 되지 않을까?
III. 결론
배스킨 라빈스의 아이스크림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격을 고수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다양성과 차별화된 이미지로 매출이 점점 늘어나는 추세이다. 이러한 경영전략은 그다지 손색이 없다고 할 수 있는데, 이런 종류의 기업이 우리나라 내에서 발전되어 세계시장으로 나가게 될 그날은 언제일까 생각해 보았다. 우리나라 기업이 아닌만큼 로얄티등이 소비되고 상대적으로 미국의 우위를 높여주는 기회도 되기 때문에 그 안타까움이 더해 지는 것 같다. 물론 미국에서 시작된 제품형태이고 우리나라에 들어온 역사는 길지 않기 때문에 현재는 저조한 모습을 보이고 있지만, 지속적인 연구, 개발이 뒷받침 된다면 우리나라의 제품 형태도 충분히 세계화가 가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단순하지만 전문적인 브랜드를 소유하고 있는 서양문화를 역이용하여 우리나라의 차별적 형태를 강조 할 수 있다면 세계제패는 어려운 일이 아닐 것 같다. 하지만 그네들의 합리적이고 전문적인 장인정신을 본받아 다양한 곳의 전문가가 아닌 한 분야의 전문가로 거듭날 수 있으면 좋겠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아이디어가 세계적으로 인정받아가기 시작하는 이 때, 정부 차원에서도 한 분야에 최선을 다 하여 진정한 장인정신을 발휘할 수 있는 가능성이 보이는 기업에 아끼지 않고 지원, 교육을 해 준다면 더욱 빨리 발전할 수 있지 않을까?
추천자료
베이커리조사
'하겐다즈' 경영사례분석
나뚜루 전략기획서
베이커리조사
아이스크림 경장자 분석 및 신 시장개척
글로벌 기업들의 공동전략 사례
한국 하겐다즈의 1위 탈환을 위한 C.C 전략
사업계획서 - '프리미엄 아이스크림'(PRINICECREAM)
수제초콜렛 전문카페 초콜릿카페 초콜렛카페 사업계획서 대학과제
수제 초콜릿 전문 카페-쇼콜라페(chocolafe) 사업계획서[A+ 평가 레포트★★★★★]
coldstone
Haagen-dazs 하겐다즈 광고기획서 - 선정이유, 배경, 연혁, 특징, 환경분석
7번가피자(칠번가피자/7th street pizza) 서비스전략과 전략제언
떼르 드 글라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