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나라별 지역사회복지 정책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각 나라별 지역사회복지 정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각 나라별 지역사회 복지정책

본문내용

는 이유로 인한 강제 해산 등으로 충분한 발달을 못하였던 것이다. 일제의 이 같은 자발적이고 민간 주체적인 협동조합이나 농촌운동을 억제하면서 관세조합이나 농촌진흥운동을 시행하였다.
③ 일제하의 사회복지사업
㉠사회복지지도기관
한일합방 당시 사회복지사업의 업무는 총독부 내무부 지방국 지방과 에서 휼구 및 자선사업에 관한 사항으로서 맡게 되었고 1912년 3월에 내무부 지방 국에 제1과 및 제2과를 두고 사회복지사업에 관한 사무를 제2과 에서 관장하게 하였다.
그 후 1932년 2월에 일반적 행정 정리에 따라 사회과를 업무국으로 이관하여 사회복지사업의 업무와 종래의 업무과 소관이던 사회교육에 관한 사무 및 종교과의 소관이던 종교, 고적 등의 사무를 합하여 관장 하게되었다.
이 밖에 사설의 사회복지사업의 연락·조사 기관으로 1921년 4월에 조선사회사업연구회가 관계자간에 조직되었는데 1929년 4월에는 이를 재단법인 조선사회사업협회로 개칭·확대하였다.
㉡구호법 실시
일본은 1929년에 구호법을 제정·공포하였으나 국가재정형편으로 1932년에야 일본 본토에서 이 법의 실시를 보게 되었다. 이것이 우리나라에는 이로부터 22년이 지나 후에 조선구호령으로 공포·실시되었다.
㉢사회복지 시설과 사업
일제 하에서 특이할 만한 사회복지시설로는 육아시설, 임산부상담소, 탁아시설, 영아건강상담소, 빈궁아 교육기관, 불량아 감화시설, 맹아아 보호시설, 육아협회 등 각종 어린이 보호시설이 전국적으로 1934년까지는 설립·경영되기에 이르렀다.
어린이 보호사업이외에도 1927년 방면사업, 1929년에 공익전당포 등을 설치하여 구빈뿐 아니라 방빈 사업을 이한 시설을 갖추게 되었다.
㉣지역사회복지에 관한 연구활동
일제시대의 학문적 업적으로서 연구활동은 사회사업에 관한 각종 문헌 발간, 사회사업강습회 실시, 사회사업협회 설치 등의 면에서 활발히 이루어졌던 것으로 보인다.
3) 해방 이후의 지역사회복지
① 사회복지공동모금
공동모금회는 시민과 사회복지기관의 협동조직으로서 그 주요 기능으로는 다음 두 가지를 들 수 있다. 하나는 지역사회 전체를 주 대상으로 하여 가맹기관을 위한 자금을 수집하고 체계적인 예산을 편성한 후 가맹기관에 분배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지역사회의 복지와 보건 및 오락사업의 협동적인 계획, 조정 및 관리를 추진하는 것이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는 공동모금은 '백만인 걷기 운동'이다. 이것은 1973년에 양친회가 시작한 라자로돕기회, 한국봉사회등이 백만인 걷기 모금운동 준비위원회를 조직하여 시작한 것이 최초로서 현재에는 서울에서 매년 실시하여 성과를 올리고 있다.
② 외원기관과 지역사회복지
6.25 동란중인 1952년 7개 기관이 모여 외국민간원조단채 한국연합회(Korean Association of Voluntary Agencies; KAVA)가 조직되었으며, 1954년에 한미재단으로부터 25,000달러의 기부금을 받아 재정적으로 확고한 기반을 세워 다음해인 1955년에 사무국을 두어 비로소 연합회로서의 기능을 갖추게 되었다.
KAVA는 각 기관들이 한국인에 대한 기여와 봉사를 증대·강화하기 위하여 회원간의 상호협회에 의한 보건, 교육, 사회복지, 구호 및 지역사회개발 등의 분야에서 정부기관과 유대를 갖고 효과적으로 협조·통합된 단체로서의 사회복지활동에 대한 교량적 역할을 했다.
그리고 외원단체들은 지역사회조직사업 등 전문화된 사회복지사업을 가능한 한 실천으로서 보여주고 상호 정보교환을 한다.
③ 지역사회개발사업으로서 새마을운동
㉠1970년대의 사업전개
새마을운동이 공식적으로 시작된 것은 1970년 4월 박정희 대통령이 전국 지방관회의에서 행한 유시이다. 즉 "우리 스스로가 우리 마을은 우리 손으로 가꾸어 나간다는 자조·자립 정신을 불러일으켜 땀흘려 일한다면 모든 마을이 머지 않아 잘 살고 아담한 마을로 그 모습을 바꾸어지리라고 확신한다."는 요지의 유시에 따라서 1970년 10월부터 전국 자연부락에서 '새마을가꾸기운동'울 전개한 것이다.
박대통령은 '새마을가꾸기운동'을 통한 주민의 소득증대와 정신개발을 강조하였고, '근면·자조·협동'을 새마을정신으로 규정하였다.
그리고 1973년에 전국 34,665개의 모든 마을이 참여하였고 1975년의 새마을 증산운동, 근검운동, 인보운동이라는 3대 운동에 역점을 두게 되었다. 1976년에 들어와서는 "새마을운동은 결코 농촌에만 적용되는 것이 아니다"라는 대통령의 연두기자회견의 발표에 따라 도시새마을운동이 본격화되었다.
1978년에는 물량적 근대화의 정신적 근대화가 추구 되야 한다는 방침에 따라 이른바 '3대 질서 운동'이 강조되었다.
1979년에 들어와서는 소비절약운동이 '제2의 새마을운동'으로서 특히 강조되었다. ㉡1980년대 사업전개
1980년 말에 새마을운동을 민간주도로 전환한다는 정부의 방침에 따라 12월 1일에 새마을운동중앙본부가 창립되고, 13일에 새마을운동 조직육성법이 제정된 것을 들 수 있다.
1981년에 들어서 새마을운동은 '제2도약'을 내걸고, 이른바 '민주주의 실천운동, 범국민적 생활운동, 국민정신 개혁운동'으로서 국민화합의 토대가 되는 운동으로 강조되었다.
1983년에 들어와서는 선진조국 창조의 원천으로서 새마을운동이 강조되고, 88서울올림픽에 대비한 이른바 '올림픽새마을운동'이 대두되었다.
1985년에는 새마을운동을 통한 선진의식 함양과 복지문화의 기반을 구축하는 것을 주요내용으로 하고 있다.
1986년에 들어와서는 도시새마을운동의 활성화를 중점시책으로 설정하고, 자율참여를 통한 복지기반의확충과 아시아경기대회 성공적 완수에 역점을 두었다.
4)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교육
우리나라 사회사업교육은 어느 학교나 할 것 없이 미국이 영향을 받아 거의 동일한 교과 과정으로 실시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에 와서는 지역사회복지관의 전문사회사업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주민의 욕구조사, 프로그램 개발 및 실행으로 지역사회복지의 증진 차원에서 전개되고 있어 지역사회복지에 대한 활발한 접근이 모색되고 있다.
※참고 자료
·지역사회복지론 최일섭, 류진석 (서울대학교)
·사회복지학 김영모(한국복지정책연구소)
  • 가격2,300
  • 페이지수19페이지
  • 등록일2002.12.14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546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