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1 금융위기의 전염 1
2 전염효과의 비교 1
2.1 환율의 움직임 2
2.2 외화보유고의 움직임 4
2.3 국내경제의 침체 6
2.4 결합지수로 본 전염효과 9
3 아시아위기의 전염효과의 전염경로 11
3.1 실물경제의 연계성 11
3.1.1 무역구조 11
3.1.2 자본거래구조 14
3.2 경제구조의 유사성 15
3.2.1 무역적자 16
3.2.2 환율제도의 유연성 16
3.2.3 은행의 건전성 17
3.2.4 외화보유고에 대한 단기외채의 비중 19
3.3 국내외투자가의 과잉반응 22
3.3.1 외국인 투자가들의 투기적인 공격 22
3.3.2 정보부족에서 기인한 불안감 확산 25
3.3.3 미국언론 및 국제기구의 과잉반응 27
3.3.4 아시아 국가들의 주도권상실 29
4 결론 30
표 / 그림 목차
그림 1 멕시코의 환율변화와 라틴아메리카 국가의 환율추이 3
그림 2 태국의 외환위기와 아시아 국가들의 환율변화 추이 3
그림 3 멕시코위기를 전후한 라틴아메리카국가들의 외화보유고 변화추이 4
그림 4 태국위기와 아시아국가들의 외화보유고 변화추이 ( I ) 5
그림 5 태국위기와 아시아국가들의 외화보유고 변화추이 ( II ) 6
그림 6 멕시코 위기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주가움직임 7
그림 7 아시아위기와 아시아 국가들의 주가움직임 ( I ) 8
그림 8 아시아위기와 아시아 국가들의 주가움직임 ( II ) 8
그림 9 결합지수로 본 멕시코위기의 전염효과 10
그림 10 결합지수로 본 태국위기의 전염효과 11
표 1 아시아 국가들의 수출구조 12
표 2 아시아 국가들의 수입구조 12
표 3 대 인도네시아 직접투자국 14
표 4 아시아 국가들의 부실채권규모 18
1 금융위기의 전염 1
2 전염효과의 비교 1
2.1 환율의 움직임 2
2.2 외화보유고의 움직임 4
2.3 국내경제의 침체 6
2.4 결합지수로 본 전염효과 9
3 아시아위기의 전염효과의 전염경로 11
3.1 실물경제의 연계성 11
3.1.1 무역구조 11
3.1.2 자본거래구조 14
3.2 경제구조의 유사성 15
3.2.1 무역적자 16
3.2.2 환율제도의 유연성 16
3.2.3 은행의 건전성 17
3.2.4 외화보유고에 대한 단기외채의 비중 19
3.3 국내외투자가의 과잉반응 22
3.3.1 외국인 투자가들의 투기적인 공격 22
3.3.2 정보부족에서 기인한 불안감 확산 25
3.3.3 미국언론 및 국제기구의 과잉반응 27
3.3.4 아시아 국가들의 주도권상실 29
4 결론 30
표 / 그림 목차
그림 1 멕시코의 환율변화와 라틴아메리카 국가의 환율추이 3
그림 2 태국의 외환위기와 아시아 국가들의 환율변화 추이 3
그림 3 멕시코위기를 전후한 라틴아메리카국가들의 외화보유고 변화추이 4
그림 4 태국위기와 아시아국가들의 외화보유고 변화추이 ( I ) 5
그림 5 태국위기와 아시아국가들의 외화보유고 변화추이 ( II ) 6
그림 6 멕시코 위기와 라틴아메리카 국가들의 주가움직임 7
그림 7 아시아위기와 아시아 국가들의 주가움직임 ( I ) 8
그림 8 아시아위기와 아시아 국가들의 주가움직임 ( II ) 8
그림 9 결합지수로 본 멕시코위기의 전염효과 10
그림 10 결합지수로 본 태국위기의 전염효과 11
표 1 아시아 국가들의 수출구조 12
표 2 아시아 국가들의 수입구조 12
표 3 대 인도네시아 직접투자국 14
표 4 아시아 국가들의 부실채권규모 18
본문내용
1 금융위기의 전염
외환위기를 포함한 금융위기는 한번 발생하고 다시 발생하지 않는 일년생의 현상이 아니라 무수히 반복되는 다년생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한번 금융위기를 겪을 때마다 조금씩 더 현명해져서 다음 위기에 대해 미리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면서도 머지않아 또 다른 위기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 데에는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오랜 금융위기의 역사 속에서도 최근의 아시아위기와 같이 미리 감지되지도 않고, 일단 발생한 후에는 그 충격이 크고 여타 국가들에 전염이 강했던 경우도 드물었다.
1997년 7월 2일 태국에서 시작된 외환위기는 한달 내에 아세안국가들에게 전염되었고 몇 개월 후에는 대만과 홍콩을 거쳐서 한국에마저 전염이 되었으며 1년 정도 경과한 후에는 러시아, 남미국가에까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급기야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마저도 그 영향권 아래에 두었다.
아시아위기의 전염효과가 이와 같이 컸던 것은 1990년대에 들어와 금융시장이 세계화하여 한 나라 또는 한 지역에서의 경제적인 충격이 전세계로 신속하게 전파되었기 때문이라는 견해도 있다. 그렇지만 같은 1990년대에 발생한 멕시코 위기의 경우 그 전염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반드시 금융시장의 구조적 변화 때문이라고 만은 볼 수 없다.
본고에서는 먼저 제 2 장에서 멕시코위기와 아시아위기의 전염효과를 비교할 것이다. 그리고 제 3 장에서 아시아위기에서 전염효과가 더욱 컸던 원인을 전염경로별로 규명하고, 결론 부분에서는 이를 요약하려 한다.
외환위기를 포함한 금융위기는 한번 발생하고 다시 발생하지 않는 일년생의 현상이 아니라 무수히 반복되는 다년생의 성질을 가지고 있다. 한번 금융위기를 겪을 때마다 조금씩 더 현명해져서 다음 위기에 대해 미리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면서도 머지않아 또 다른 위기가 발생하는 것을 막는 데에는 실패를 거듭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오랜 금융위기의 역사 속에서도 최근의 아시아위기와 같이 미리 감지되지도 않고, 일단 발생한 후에는 그 충격이 크고 여타 국가들에 전염이 강했던 경우도 드물었다.
1997년 7월 2일 태국에서 시작된 외환위기는 한달 내에 아세안국가들에게 전염되었고 몇 개월 후에는 대만과 홍콩을 거쳐서 한국에마저 전염이 되었으며 1년 정도 경과한 후에는 러시아, 남미국가에까지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급기야 미국을 포함한 선진국마저도 그 영향권 아래에 두었다.
아시아위기의 전염효과가 이와 같이 컸던 것은 1990년대에 들어와 금융시장이 세계화하여 한 나라 또는 한 지역에서의 경제적인 충격이 전세계로 신속하게 전파되었기 때문이라는 견해도 있다. 그렇지만 같은 1990년대에 발생한 멕시코 위기의 경우 그 전염효과가 그다지 크지 않았던 점을 감안하면 반드시 금융시장의 구조적 변화 때문이라고 만은 볼 수 없다.
본고에서는 먼저 제 2 장에서 멕시코위기와 아시아위기의 전염효과를 비교할 것이다. 그리고 제 3 장에서 아시아위기에서 전염효과가 더욱 컸던 원인을 전염경로별로 규명하고, 결론 부분에서는 이를 요약하려 한다.
추천자료
[IMF][외환위기][금융위기][경제위기][국제통화기금][IMF외환위기][멕시코 IMF 금융위기]IMF...
[IMF 경제위기][IMF 체제][IMF 금융위기][IMF 외환위기][IMF 구제금융]IMF 경제위기(IMF 체제...
[IMF 구제금융사태][IMF 경제위기][IMF 외환위기][IMF 금융위기][구조조정][국제통화기금]IMF...
한국 IMF(외환위기, 금융위기, 경제위기)와 한국 IMF(외환위기, 금융위기, 경제위기)의 실업...
[IMF 외환위기][IMF 경제위기][IMF 금융위기]IMF 외환위기(IMF 경제위기, IMF 금융위기)에 따...
IMF경제위기(IMF금융위기, IMF외환위기) 원인, IMF경제위기(IMF금융위기, IMF외환위기) 영향,...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월스트리트발 금융위기가 한국 경제에 미친 영향
[출구전략] 세계금융위기 이후, 출구전략에 대한 고찰 -출구전략의 필요성, 출구전략의 유래-
일본 경제회복과 금융위기 이후 경제
[독후감] 반복되는 금융위기를 읽고
글러벌금융위기의과거와현재,서브프라임모기지,글로벌금융위기,글로벌금융위기발단과전개
한국금융기업은 안전한가,한국금융기업,미국금융기업,미국발금융위기,한국금융위기,미국금융위기
재정위기 및 금융위기 - 무역장벽 <무역장벽의 이론과 사례>, 인센티브 <무역인센티브의 이론...
미국발 글로벌 금융위기에 대한 각국의 대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