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목차
Ⅰ. 조사개요
Ⅱ. 요 약
Ⅲ. 본 문
1. 물류관리 목표
2. 물류관리 조직
3. 포장
4. 보관
5. 수·배송
6. 물류공동화
7. 물류표준화
8. 물류정보화
9. 행정규제
Ⅳ. 부 록
1. 조사표
2. 집계표
Ⅱ. 요 약
Ⅲ. 본 문
1. 물류관리 목표
2. 물류관리 조직
3. 포장
4. 보관
5. 수·배송
6. 물류공동화
7. 물류표준화
8. 물류정보화
9. 행정규제
Ⅳ. 부 록
1. 조사표
2. 집계표
본문내용
49인
9.5
13.5
77.0
100.0
50인- 299인
33.1
11.0
55.9
100.0
300인 이상
50.6
15.4
34.0
100.0
* 응답업체수 : 605개
따라서 통일된 형식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하여 컴퓨터 자동발주, 무전표 결제, 크로스도킹 등이 가능하도록 표준 물류바코드(EAN/UCC-14)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 LG화학, 롯데칠성음료 등 34개 대형 제조업체들을 중심으로 표준바코드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업종별로는 유통업체(87.7%)가 물류바코드 도입률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할인점의 경우 95.2%가 도입하고 있어 조사대상 전업종에서 가장 도입률이 높았다. 제조업중 음료/식품제조업(69.8%), 섬유/의복제조업(42.3%), 종이/종이제품/인쇄출판(42.1%) 업종들이 물류부문에서 바코드 활용률이 높았다. 한편,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의 물류바코드 도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물류정보시스템 관리부문
우리기업들이 호스트컴퓨터 물류정보시스템과 통합관리하는 물류업무로는 재고관리(67.6%), 수주/출하관리(65.8%), 구매/입하관리(59.2%)업무 등으로 조사되어 '97년보다 물류업무의 통합관리율이 대체로 높아졌다. 통합정도가 가장 낮은 부문은 전산화 정도가 가장 낮았던 로케이션관리(31.1%)로 나타났다.
【표 35】호스트 컴퓨터 물류정보시스템으로 관리하는 부문
(단위 : %)
구 분
원자재조달
공장내 원자재 및
반제품의 흐름
수주 / 출하관리
배차 / 배송관리
구매 / 입하관리
물류센터 운영관리
로케이션관리
재고관리
전
체
'97년
31.1
28.8
52.2
26.9
44.5
19.3
20.0
52.9
'99년
41.3
38.0
65.8
47.1
59.2
33.4
31.1
67.6
* 응답업체수 : 605개, 복수응답
5) EDI 도입·활용여부
물류업무 처리시 EDI(전자문서교환)를 도입하여 사용중인 업체는 39.8%로 '97년(37.9%)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업종별로는 유통업(52.1%)이 제조업(38.8%)보다 도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다른 전산화부문과 마찬가지로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EDI도입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36-1】EDI(전자문서교환)도입 여부
(단위 : %)
구 분
현재 도입·사용
금년중 도입계획
3년내 도입계획
도입계획 없음
합계
전
체
'97년
37.9
6.2
22.9
32.9
100.0
'99년
39.8
3.8
10.6
45.8
100.0
업
종
별
제조업
38.8
4.4
10.3
46.5
100.0
유통업
52.1
2.7
4.1
41.1
100.0
물류업
34.8
2.8
14.7
47.7
100.0
농·수·축협
50.0
-
33.3
16.7
100.0
종
업
원
규
모
별
1인- 49인
27.0
2.7
6.8
63.5
100.0
50인- 299인
34.2
2.6
10.3
52.9
100.0
300인 이상
49.4
5.4
12.0
33.2
100.0
* 응답업체수 : 605개
한편, EDI를 도입한 업체들은 주문(21.3%), 출하(21.2%) 등의 업무처리시 EDI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6-2】EDI(전자문서교환)활용 업무부문
(단위 : %)
구 분
주문
출하
하역업무
채권 / 채무
운송
금융거래
기타
전체
21.3
21.2
7.3
4.5
10.9
9.9
16.4
* 응답업체수 : 605개, 복수응답
9. 행정규제
1) 행정규제의 물류관리 지장 초래 정도
응답업체의 64.3%가 불합리한 행정규제로 효율적인 물류관리활동에 지장을 받고 있다고 응답하여 우리기업들은 물류부문의 행정규제로 인해 아직도 많은 애로를 겪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물류업이 다른 업종보다 더 심각하게 행정규제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중·소기업 모두 행정규제가 물류활동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응답률이 높았다.
【표 37】법·행정규제에 의한 물류관리 지장 초래 여부
(단위 : %)
구 분
매우 그렇다
다소 그렇다
그렇지 않다
합계
전체
6.9
57.4
35.7
100.0
업
종
별
제조업
5.8
60.7
33.5
100.0
유통업
-
39.7
60.3
100.0
물류업
16.5
56.0
27.5
100.0
농·수·축협
-
66.7
33.3
100.0
종
업
원
규
모
별
1인- 49인
13.5
50.0
36.5
100.0
50인- 299인
5.2
58.8
36.0
100.0
300인 이상
6.9
57.9
35.2
100.0
* 응답업체수 : 605개
2) 물류부문 규제개선 의견
지난 '93년 문민정부 출범이후 7년여에 걸쳐 추진된 물류부문 규제개선에 대해 34.5%가 다소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반면,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10.4%)거나 규제가 오히려 강화되었다(1.3%)는 의견도 있어 기업들의 규제개선에 대한 체감도는 '97년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표 38】물류부문 규제개선에 대한 의견
(단위 : %)
구 분
크게 개선
다소 개선
전혀 개선되지 않음
규제가 오히려 강화
잘 모르겠다
합계
전
체
'97년
0.5
35.4
13.4
5.9
44.8
100.0
'99년
2.1
34.5
10.4
1.3
51.7
100.0
* 응답업체수 : 605개
3) 규제로 인한 애로부문
우리기업들이 규제로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문은 화물의 수배송관련 규제(54.8%)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규제로 화물자동차에 대한 톤급별 도심통행 제한, 도로법과 도로교통법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과적단속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밖에 여객 및 여타운송 자동차의 경우 면제되는 등록세(세율 2%) 등을 부담함으로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39】규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부문
(단위 : %)
구 분
물류부지 및 건축관련 규제
화물의 수·배송
관련 규제
물류관련사업 신규진입에 대한 규제
항만,공항 등의 수출입화물의 통관관련 규제
기타
합계
전
체
'97년
25.3
41.6
2.4
21.3
9.5
100.0
'99년
14.9
54.8
3.0
22.3
5.0
100.0
* 응답업체수 : 403개
9.5
13.5
77.0
100.0
50인- 299인
33.1
11.0
55.9
100.0
300인 이상
50.6
15.4
34.0
100.0
* 응답업체수 : 605개
따라서 통일된 형식으로 정보를 교환하고, 공유하여 컴퓨터 자동발주, 무전표 결제, 크로스도킹 등이 가능하도록 표준 물류바코드(EAN/UCC-14)를 사용할 필요가 있다. 최근에 LG화학, 롯데칠성음료 등 34개 대형 제조업체들을 중심으로 표준바코드 사용이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업종별로는 유통업체(87.7%)가 물류바코드 도입률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할인점의 경우 95.2%가 도입하고 있어 조사대상 전업종에서 가장 도입률이 높았다. 제조업중 음료/식품제조업(69.8%), 섬유/의복제조업(42.3%), 종이/종이제품/인쇄출판(42.1%) 업종들이 물류부문에서 바코드 활용률이 높았다. 한편, 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의 물류바코드 도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4) 물류정보시스템 관리부문
우리기업들이 호스트컴퓨터 물류정보시스템과 통합관리하는 물류업무로는 재고관리(67.6%), 수주/출하관리(65.8%), 구매/입하관리(59.2%)업무 등으로 조사되어 '97년보다 물류업무의 통합관리율이 대체로 높아졌다. 통합정도가 가장 낮은 부문은 전산화 정도가 가장 낮았던 로케이션관리(31.1%)로 나타났다.
【표 35】호스트 컴퓨터 물류정보시스템으로 관리하는 부문
(단위 : %)
구 분
원자재조달
공장내 원자재 및
반제품의 흐름
수주 / 출하관리
배차 / 배송관리
구매 / 입하관리
물류센터 운영관리
로케이션관리
재고관리
전
체
'97년
31.1
28.8
52.2
26.9
44.5
19.3
20.0
52.9
'99년
41.3
38.0
65.8
47.1
59.2
33.4
31.1
67.6
* 응답업체수 : 605개, 복수응답
5) EDI 도입·활용여부
물류업무 처리시 EDI(전자문서교환)를 도입하여 사용중인 업체는 39.8%로 '97년(37.9%)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업종별로는 유통업(52.1%)이 제조업(38.8%)보다 도입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규모별로는 다른 전산화부문과 마찬가지로 대기업이 중소기업에 비해 EDI도입비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36-1】EDI(전자문서교환)도입 여부
(단위 : %)
구 분
현재 도입·사용
금년중 도입계획
3년내 도입계획
도입계획 없음
합계
전
체
'97년
37.9
6.2
22.9
32.9
100.0
'99년
39.8
3.8
10.6
45.8
100.0
업
종
별
제조업
38.8
4.4
10.3
46.5
100.0
유통업
52.1
2.7
4.1
41.1
100.0
물류업
34.8
2.8
14.7
47.7
100.0
농·수·축협
50.0
-
33.3
16.7
100.0
종
업
원
규
모
별
1인- 49인
27.0
2.7
6.8
63.5
100.0
50인- 299인
34.2
2.6
10.3
52.9
100.0
300인 이상
49.4
5.4
12.0
33.2
100.0
* 응답업체수 : 605개
한편, EDI를 도입한 업체들은 주문(21.3%), 출하(21.2%) 등의 업무처리시 EDI를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36-2】EDI(전자문서교환)활용 업무부문
(단위 : %)
구 분
주문
출하
하역업무
채권 / 채무
운송
금융거래
기타
전체
21.3
21.2
7.3
4.5
10.9
9.9
16.4
* 응답업체수 : 605개, 복수응답
9. 행정규제
1) 행정규제의 물류관리 지장 초래 정도
응답업체의 64.3%가 불합리한 행정규제로 효율적인 물류관리활동에 지장을 받고 있다고 응답하여 우리기업들은 물류부문의 행정규제로 인해 아직도 많은 애로를 겪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물류업이 다른 업종보다 더 심각하게 행정규제를 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업규모별로는 대·중·소기업 모두 행정규제가 물류활동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응답률이 높았다.
【표 37】법·행정규제에 의한 물류관리 지장 초래 여부
(단위 : %)
구 분
매우 그렇다
다소 그렇다
그렇지 않다
합계
전체
6.9
57.4
35.7
100.0
업
종
별
제조업
5.8
60.7
33.5
100.0
유통업
-
39.7
60.3
100.0
물류업
16.5
56.0
27.5
100.0
농·수·축협
-
66.7
33.3
100.0
종
업
원
규
모
별
1인- 49인
13.5
50.0
36.5
100.0
50인- 299인
5.2
58.8
36.0
100.0
300인 이상
6.9
57.9
35.2
100.0
* 응답업체수 : 605개
2) 물류부문 규제개선 의견
지난 '93년 문민정부 출범이후 7년여에 걸쳐 추진된 물류부문 규제개선에 대해 34.5%가 다소 개선되었다고 응답한 반면, 전혀 개선되지 않았다(10.4%)거나 규제가 오히려 강화되었다(1.3%)는 의견도 있어 기업들의 규제개선에 대한 체감도는 '97년 수준에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표 38】물류부문 규제개선에 대한 의견
(단위 : %)
구 분
크게 개선
다소 개선
전혀 개선되지 않음
규제가 오히려 강화
잘 모르겠다
합계
전
체
'97년
0.5
35.4
13.4
5.9
44.8
100.0
'99년
2.1
34.5
10.4
1.3
51.7
100.0
* 응답업체수 : 605개
3) 규제로 인한 애로부문
우리기업들이 규제로 가장 어려움을 겪고 있는 부문은 화물의 수배송관련 규제(54.8%)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표적인 규제로 화물자동차에 대한 톤급별 도심통행 제한, 도로법과 도로교통법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과적단속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밖에 여객 및 여타운송 자동차의 경우 면제되는 등록세(세율 2%) 등을 부담함으로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표 39】규제로 인해 어려움을 겪는 부문
(단위 : %)
구 분
물류부지 및 건축관련 규제
화물의 수·배송
관련 규제
물류관련사업 신규진입에 대한 규제
항만,공항 등의 수출입화물의 통관관련 규제
기타
합계
전
체
'97년
25.3
41.6
2.4
21.3
9.5
100.0
'99년
14.9
54.8
3.0
22.3
5.0
100.0
* 응답업체수 : 403개
추천자료
이마트의 PB상품 실태조사와 향후전망
식품위생안전을 위한 방사선 실태조사연구
물류기업의 성공요인
기업물류비 표준계산 방식 해설
[물류정보시스템][물류정보][물류관리][물류정보화]물류정보시스템의 필요성과 물류정보시스...
인천항만공사의 마케팅분석 및 물류관리 보고서(A+자료)
[물류관리]e-SCM과 APS에 대해 설명하고, e-SCM과 APS가 어떻게 통합되어야 하는가를 논하라
청소년 흡연문제에 대한 실태조사 및 보호방안 연구
공공연맹(공공전국노동조합연맹) 조직구성, 공공연맹(공공전국노동조합연맹) 통합과정, 공공...
물류관리3) e-SCM과 APS에 대해 설명하고, e-SCM과 APS가 어떻게 통합되어야 하는가를 논하라.
물류관리 - 화물연대 파업에 관해
글로벌 물류관리 필요성 (글로벌 물류관리 필요성, SCM 정의, 기능과 효과, 등장배경과 목적 ...
한국방송통신대학교 3학년 2학기 물류관리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