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복제]새 천년시대의 인간이해와 기독교신학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0. 시작하는 말
1. 신학적 인간이해의 근거로서의 하나님의 형상
1.1 관계적 인간론의 근거인 하나님의 형상
1.2 하나님의 형상에 근거한 전인적 인간이해
2. 새 시대의 인간이해의 특징인 인간의 형상
2.1 도구인과 지식인의 통합된 인간상
2.2 화상인과 인간의 형상
2.3 유전자결정론과 유전자개선
3. 인간의 형상에 대한 비판으로서의 하나님의 형상
3.1 지식인과 신학인
3.2 게놈과 전인
4. 맺는 말

본문내용

"Menschen als Text", 10.
바로 이 사실이 유전자적 결정론에 의한 일방적 인간의 삶의 규정을 극복할 수 있는 다른 가능성이다. 그렇다고 해서 이 책의 내용은 인간의 죽음의 시간을 넘어 영원히 계속될 수는 없을 것이다. 한 인간의 죽음으로 이 책의 역사는 종료될 것이다. 단지 그 시간을 미루기 위한 인간의 노력이 집요하게 계속될 뿐일 것이다.
우리는 이 새로운 생명책의 등장 이전부터 이미 다른 생명책에 대해서 알아왔다. 이 책은 우리에게는 감추어진 채, 오직 하나님에 의해서 쓰여지고 읽혀지는 책이다. 우리의 이름으로 대변되는 우리의 삶의 역사의 시작(시139,16)과 완성(계20,15)이 여기에 기록되어 있다. 즉 우리의 창조로부터 영원한 생명에 이르는 우리의 삶의 전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 이 책에 나타난 우리의 모습은 하나님의 형상이다.
오늘날 인류가 당면한 위기는 인간과 악과 하나님을 삶의 공통된 관계로 표현해줄, 인간의 삶에 적절한 언어를 상실했다는 점이다.
) Gerhard Ebeling, "Das Problem des Bosen als Prufstein der Anthropologie", 224.
하나님을 상실한 지식인은 자신이 자신에게 하나님(homo homini deus)이 될 것이다. 죄에 얽매여 있으면서도 죄의 정체를 인식하지 못한 채, 단지 자신의 지식만을 과신하는 지식인은 인간에게 늑대(homo homini lupus)가 될 것이다. 생명의 혁명을 이끌어낸 인류(homo sapiens)에게 신학자들이 경계의 눈빛을 감추지 못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인류가 이룩한 과학의 열매를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이 인간의 경계를 넘어 하나님의 자리에까지 이르려는 것을 경계한다.
그러나 하나님에 상응하는 인간, 즉 하나님의 형상으로서의 인간은 인간에게 인간이 되는 인간(homo homini homo)이 된다.
) Eberhard Jungel, "Der Gott entsprechende Mensch", 317.
인간이 영원히 인간의 자리에 머물려 할 때, 그 자리는 바로 하나님에 직면한 자리(coram Deo)가 될 것이다.
이제 인류는 마지막 날에 과연 우리의 이름(형상)이 어느 책에 남아있을 것인가를 진지하게 되새겨 보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Barth, Karl., Kirchliche Dogmatik III/2. Zurich,1992.
Berkouwer, Gerid Conrad., Man: Image of God, Grand Rapids, 1978.
Bredow, von Rafaela./ Blumencron, von Mathias Muller., "Die Gen-Revolution", in: Der Spiegel 26/2000.
Breuning, Wilhelm., "Tode und Auferstehung in der Verkundigung", in: Concilium, 4(1968).
Ebeling, Gerhard., "Das Problem des Bosen als Prufstein der Anthropologie", Wort und Glaube III. Tubingen, 1975.
-------------- ., Luther Studien, II/3. Tubingen.
Gunton, Colin., "Trinity Ontology and Anthropology: Towards a Renewal of the Doctrine of the Imago Dei", in: Persons Divine and Human, London, 1999.
Hong-Yul Chung, Totus homo in der Christlichen Auferstehungshoffnung und Eschatologie, Erlangen, 1997.
Jersild, Paul., Spirit Ethics, Minneapolis, 1999.
Joest, Wilfried., Dogmatik II. Gottingen, 1993.
Jonas, Hans., Das Prinzip Verantwortung, Frankfurt, 1984.
---------- ., Organismus und Freiheit, Gottingen, 1973.
Jungel, Eberhard., "Der Gott entsprechende Mensch", in Entsprechungen: Gott - Wahrheit-Mensch, Munchen, 1980.
Luther, Martin., Disputatio de homine, in:WA 39/I.
Messer, Neil., "Human cloning and genetic Manipulation", in: Studies in Christian Ethics 1999/1.
Peters, Ted., Playing God? Genetic Determinism and Human Freedom. London, 1997.
Randow, von Gero/ Sentker, Andreas., "Technisches Leben, lebende Technik", in: Die Zeit, Nr.27, 29. Jun. 2000.
Schlink, Edmund., "Gottes Ebenbild als Gesetz und Evangelium", in: Der alte und neue Mensch, Munchen, 1942.
Schwobel, Christoph., "Human Being as Relational Being", in: Persons Divine and Human, Edinburg, 1999.
Stock, Konrad., Art. Person II, in: TRE 26.
Thielicke, Helmut., Mensch sein - Mensch werden, Munchen, 1976.
Ulrich, Hans G., "Menschen als Text", in: http:www.materialstelle.de/download /ulrich2.html.
정 홍 열, "루터의 인간론에서 전인개념:루터의 인간에 관한 노제(1536)를 중심으로", 기독교 사상 1998/10.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02.12.28
  • 저작시기2002.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10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