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중화경제권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중화경제권의 개념
2. 중화경제권의 형성
3.중화경제권의 협력체계
4. 중화경제권과 여타 경제 블록권과의 비교

본문내용

합된다고 할 수 있다.
화인 네트워크는 화인 기업들이 거주국의 정세에 적응하기 위한 수단으로서도 발전하여 왔다. 정보를 제공하고 자본을 조달할 수 있으며, 거래와 인적자원을 충당하는데 화인 네트워크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른 한편으로 화인 기업들은 화인 네트워크를 통해 공동으로 경영에 참가한다든지, 투자나 개발에 관여하기도 한다. 인도네시아의 역패(力覇, 빠) 그룹은 창업자인 李文正 일가가 주식의 반을 보유하고 있지만, 나머지 반은 림소량의 Salim 일가가 보유하고 있다. 또한 Salim 그룹은 말레이시아의 곽그룹과 합작하여 인도네시아에서 호텔과 골프장, 그리고 중국의 우한에 시멘트 공장을 건설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의 립포 그룹, 홍콩의 리가성 그룹, 대만의 Taiwan International Securities, 싱가포르의 Trade Development Board 그룹은 서로 합작하여 New China Honkong Group를 창설하기도 하였다. 그룹간의 이와 같은 합작이나 주식 공유는 대규모 투자를 행하는데 이점을 가져다주기도 하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거주국 정부에 압력을 행사하는 방식이 되기도 한다. 대규모 자본을 동원할 수 있고 국제적인 거래망을 형성할 수 있다는 것은 거주국의 경제발전에도 기여하게 되며, 거주국의 정치정세 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수단이 되기도 한다.
♨화인기업의 사업영역 - 금융, 유통, 상업, 호텔, 수송, 통신, 제조에 이르기까지 유리하다고 판단되는 사업에 비교적 적극적으로 진출한다. 그러나 대체로 이러한 사업 중에서 제조업에 대한 진출은 선호도가 떨어지는데, 여기에는 기술과 노동력 그리고 장기적인 투자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드러나 최근에 들어와서는 화인 2세와 3세가 경영을 장악하면서 제조업에의 진출이 적극적으로 모색되고 있으며, 경영다각화가 전략의 일환으로 채택되고 있다.
4. 중화경제권과 여타 경제 블록권과의 비교
세계적으로 지역적인 인접성과 문화적인 동질성을 전제로 하여 형성되고 있는 지역경제영역 중에서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두고 있는 경제권은 대략 10여개이다. 경제 블록권 중에서 비교적 규모가 크고 협력의 성향이 뚜렷하며, 발전할 가능성을 지니고 있는 것으로는 북미자유무역연합, 유럽연합 그리고 아시아에서의 경제협력체 등이다.
북미자유무역연합은 미국, 캐나다, 멕시코간의 시장을 통합하며 기술과 자본, 노동력, 시장 등의 교류를 확대하고, 상호간 분업체계를 확립함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북미자유무역연합은 미국의 기술과 자본을 바탕으로 하고 캐나다가 공업을 유치하는데 제공하는 지리적 입지상의 이점과 멕시코가 제공하는 값싼 노동력 및 원료 공급기능이 맞아떨어지면서 서로 국가간 분업체계를 이루고 있다.
유럽연합은 서유럽 국가 15개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경제적 협력을 기반으로 하여 정치적 협력체로 발전할 수 있는 국가연합체제를 모색하고 있다. 현재는 통화통합에 진입하고 있는 단계이며, 통화통합이 완료되면 국가간 시장장벽은 사실상 소멸되게 된다. 유럽연합은 북미자유무역연합과는 달리 국제적인 분업에 바탕을 두고 있기보다는 국가적인 경제 및 정치적 연합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이것은 제1차대전과 제2차대전을 치루면서 유럽이 새로운 결속을 강화하여야 한다는 필연성 위에서 출발하고 있다.
화교경제권은 동남아시아에서 경제적으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이는 주로 화교라는 민족적 혈통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오랫동안의 전통적인 상관습과 인적관계를 중시하는 문화적 바탕 위에서 결속되고 있다. 그러면서도 화교경제권은 공업보다는 상업과 금융업을 통하여 교역을 확대되고 있으며, 상당부분 중국경제가 발전하는데 필요한 무역과 자본조달을 확대하여야 할 필요성을 대변하고 있다.
이와 같이 화교경제권이 보이고 있는 특성은 동남아시아에서 전통적으로 중국이 수행하여 왔던 역할과도 긴밀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앞으로의 아시아권에서 강화될 수 있는 경제블록권의 성향을 예견하는데에도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 동북아 지역의 경제협력에 형성 가능성에 대해 몇 가지를 예측하여 볼 수 있는데 이를 표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
동북아 3국의 아시아 지역경제 협력체 참여 가능성 검토
시나리오
대상국가
실현가능성
국별 참여가능성
ASEN또는
AFTA가입
아세안 9개국, 일본, 중국,
한국
·아세안 가입에는 아세안 협약 의 개편필요
·AFTA가입에는 아세안
비관세장벽 잔존이 문제
·아세안 가입 기대난망
·AFTA가입 가능성도 낮으며, 가입시에도 장기간 협상필요
EAEC
동아시아
16개국
·동아시아국가간 공감대형성, ASEM접촉이 큰 자산
·1) EAEC APEC,
ASEM과의 대상국차이 및 차별화
2) 미국영향력이 문제
·중국의 참여는 정치적 실익확 보에 도움
·일본과 한국의 참여는 정치· 경제적 실익이 낮아 기대
난망
아시아
단일시장
아세안9개국, 일본, 중국,
한국
·단일 지역 통화를 전제하여 사전에 장기준비 필요
·구체계획 미정상태
·단일통화로 유력시되는 엔화, 위안화의 역할에 상호 강한 의문
엔貨경제권
아세안9개국, 일본, 중국,
한국
·비달러 결제를 위해 엔貨
이용이 확대되면서 고조
·엔貨의 기축통화 역할이 최대 관건
·중국, 한국은 엔貨역할에 강한 의문
·대동아 공영권 발전가능성도 경계
동북아
경제권
일본, 중국,
한국, 기타
동북아 국가
·지리적 인접성, 문화·인종적 유사성을 바탕으로 상호 경제 교류를 활성화
·불행한 과거 역사, 동북아
군사·외교관계, 대미관계 등
비경제적 장벽이 관건
·일·중간 패권대립 해소시
참여 가능성 큼
·특히 한·일 중간경제통합은 역내 무역 창출효과도 큼
자료 : 산업연구원, 「아시아 域內貿易 活性化 方案」, 1998
6. 맺음말
앞으로 중국 경제의 발전을 가늠하는데 있어서 화교경제권의 역할에 대한 관심이 필요하다. 자본과 기술, 인적교류 그리고 상업과 금융으로 연결되는 중국과 지리적으로나 역사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해온 동남아시아의 경제를 장악했다고 볼 수 있는 화교들의 경제적 위치 등을 분석하는 것이 우리가 앞으로 어떻게 대체해 나갈 것인가를 생각해보게 하는 좋은 기회로 삼아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01.02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3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