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목차
I. 서 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3
C. 중요 용어 ............................................. 5
II. 양대 선교개념의 이해 ................................... 7
A.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이해 .............................. 9
B.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의 이해 ............................ 14
C. 기독교와 타종교의 접촉점(Point of Contact)과 대화(Dialogue)
에 관한 논의 .......................................... 18
III. 웨슬레(John Wesley)의 구원론의 구조 ................... 22
A. 하나님의 은총 ........................................ 26
B. 의인(Justification) ................................... 30
C. 성화(Sanctification) .................................. 32
1. 의인과 성화의 관계성 .............................. 34
2.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 ............................ 36
IV. 웨슬레의 구원론의 현대 선교전략적 의의 ................. 41
A. 웨슬레 은총관의 현대 선교신학적 의의 .................. 42
B. 웨슬레의 의인관의 현대 선교신학적 의의 ................ 47
C. 웨슬레 성화관의 현대 선교신학적 의의 .................. 49
V. 결 론 .................................................. 55
* 참 고 문 헌 ........................................... 6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범위 및 방법 ..................................... 3
C. 중요 용어 ............................................. 5
II. 양대 선교개념의 이해 ................................... 7
A. 복음주의 선교신학의 이해 .............................. 9
B. 에큐메니칼 선교신학의 이해 ............................ 14
C. 기독교와 타종교의 접촉점(Point of Contact)과 대화(Dialogue)
에 관한 논의 .......................................... 18
III. 웨슬레(John Wesley)의 구원론의 구조 ................... 22
A. 하나님의 은총 ........................................ 26
B. 의인(Justification) ................................... 30
C. 성화(Sanctification) .................................. 32
1. 의인과 성화의 관계성 .............................. 34
2. 사랑으로 역사하는 믿음 ............................ 36
IV. 웨슬레의 구원론의 현대 선교전략적 의의 ................. 41
A. 웨슬레 은총관의 현대 선교신학적 의의 .................. 42
B. 웨슬레의 의인관의 현대 선교신학적 의의 ................ 47
C. 웨슬레 성화관의 현대 선교신학적 의의 .................. 49
V. 결 론 .................................................. 55
* 참 고 문 헌 ........................................... 61
본문내용
0.
Blauw, Johannes. 「교회의 선교적 본질」, 한국 복음주의 선교학회 번역위원역 : 대한 예수교 장로회 출판국, 1988.
Beyerhaus, Peter. 「선교정책 원론」, 김남식 역, 서울 : 한국 성서협회, 1976.
Bonino, J. M. 「오늘의 행동신학」, 주재용 역, 서울 : 한국 기독교 교육 협위회, 1982.
Bosch, David. J. 「선교신학」, 전재옥 역, 서울 : 두란노 서원, 1987.
Braaten. K. E. 「현대 선교신학」, 이계준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4.
Cell, G. C. 「웨슬레의 재발견」, 송흥국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8.
Glasser, Arthur F. and McGavran, Donald A. 「현대선교신학」, 고환규 역, 서울 : 성광 문화사, 1987.
Goerner, H. C. 「모든 민족을 위한 하나님의 목적」, 노창우 역, 서울 : 침례회 출판부, 1986.
Green, Michel. 「초대교회의 전도」, 김경진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7.
Gutierez. G. 「해방신학」, 성 염 역, 왜관 : 분도, 1073.
Hesselgrave. D. J. 「현대와 성경의 관점에서 본 종교간의 대화」, 전호진 역, 서울 : 엠마오, 1986.
Hokendijk. 「흩어지는 교회」, 이계준 역,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79.
Hynson Leon O. 「웨슬레의 윤리사상」, 이희숙 역, 서울 전망사, 1987.
Kane. J. H. 「세계기독교 선교사」, 박관철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1.
__________. 「선교신학의 성서적 기초」, 이재범 역, 서울 : 나단 출판사, 1988.
키커. 「복음주의 입장에서 본 해방신학」, 전호진 역, 서울 : 정음충판사, 1983.
Lefever Ernest W. 「암스테르담에서 나이로비 대회까지」, 전호진 역, 서울 : 한국 기독교 연구원, 1981.
Lindsell, Harold. 「기독교의 세계선교」,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77.
Lindstrom, Harold G. A. 「웨슬레와 성화」, 전종옥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감리회 총리원, 1970.
Lurnyon. D. 「웨슬레와 해방신학」, 전종옥 역, 서울 : 전망사, 1987.
Nida, Eugen. A. 「문화속의 종교」, 채은수 역, 서울 : 한국 로고스 연구원, 1987.
Ortiz, Juan Carlos. 「제자입니까?」, 김성웅 역, 서울 : 두란노 서원, 1989.
Wine, Tome. 「하나님 나라를 이루는 제자도」, 주순희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9.
Snyder, Howard A. 「혁신적 교회갱신과 웨슬레」, 조종남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6.
Stott, John R. W. 「선교에 대한 복음주의 입장」, 조종남 역, 부천 : 서울 신학대학 출판부, 1976.
________________. 「현대기독교 선교」, 김명혁 역, 서울 : 성광 문화사, 1980.
Williams. J. 「웨슬레 신학」, 이계준 역, 웨슬레 총서 4, 서울 : 신교 출판사, 1978.
Wagner. C. P. 「기독교 선교전략」, 전호진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7.
Wood, Skevington. 「죤 웨슬레 : 위대한 전도자」, 웨슬레 총서 3, 서울 : 신교 출판사, 1979.
우드워드. W. 「하나님과 사람과 선교」, 박광철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1.
Young, John M. L. 「선교의 동기와 목적」, 김진홍 역, 서울 : 한국 개혁주의 신행 협회, 1972.
( 한 서 )
고범서. 「해방신학」 서울 : 범화사, 1985.
박삼수. 「선교는 그리스도의 지상명령」 서울 : 기독교 문화사, 1987.
송흥국. 「웨슬레 신학」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79.
장중열. 「교회성장과 선교학」 서울 : 성광문화사, 1978.
정진홍. 「기독교와 타종교와의 대화」 서울 : 전망사, 1982.
조종남. 「요한 웨슬레의 신학」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4.
주재용. 하나님의 선교와 한국교회 , 한국기장편 「한국 교회 100년과 그 좌표」 서울 : 한신대 출판부, 1981.
한국 복음주의 선교학회 편역위원. 「에큐메닉스」 서울 : 성광 문화사, 1988.
한영태. 「해방신학에 대한 이해와 평가」 부천 : 서울 신학 대학 출판부, 1987.
( 잡지류 및 기타 )
강근환. 사회 개혁자로서의 18C 영국의 복음주의자들 , 「신학과 선교」 3집, 부천 : 서울신대 출판부, 1975.
김명혁. 현대 에큐메니칼 운동의 역사적 변천과 그 동향 , 「신학지남」, 1979. 4월 6월, 서울 : 신학지남사.
로쟌언약, 조종남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6.
마닐라선언, 조종남 역, 「신학과 선교」 부천 : 서울 신대, 1990.
변선환. Missio Dei이후의 선교신학 , 「신학사상」 제 14집, 서울 : 한국 신학 연구소, 1977.
서남동. 1960년대의 신학 , 「기독교 사상」, 1960. 12. 서울 : 기독교 사상사.
조종남. 기독교 선교에서의 전도와 사회참여 , 「신학과 선교」 제 6집, 부천 : 서울 신대 출판부, 1980.
채은수. 선교와 문화 , 「신학지남」 (1983, 봄호).
한영태. 성결의 종류와 단계 , 조종남 목사 회갑논문집, 서울 : 기성출판사, 1988.
W.C.C. The Church for other. Geneva W.C.C. 1968.
The Thailand Statement 1980 , International Bulletin of Missionary Research, Jan, 1981.
Occasional Bulletin of Missionary Research, Vol. 2, 30. 3. (1978. 7)
Haight. R. D. Mission : the Symbol for Understanding the church Today , Theological Studies, Vol. 37, 30. 4. (1976. 12)
Blauw, Johannes. 「교회의 선교적 본질」, 한국 복음주의 선교학회 번역위원역 : 대한 예수교 장로회 출판국, 1988.
Beyerhaus, Peter. 「선교정책 원론」, 김남식 역, 서울 : 한국 성서협회, 1976.
Bonino, J. M. 「오늘의 행동신학」, 주재용 역, 서울 : 한국 기독교 교육 협위회, 1982.
Bosch, David. J. 「선교신학」, 전재옥 역, 서울 : 두란노 서원, 1987.
Braaten. K. E. 「현대 선교신학」, 이계준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4.
Cell, G. C. 「웨슬레의 재발견」, 송흥국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8.
Glasser, Arthur F. and McGavran, Donald A. 「현대선교신학」, 고환규 역, 서울 : 성광 문화사, 1987.
Goerner, H. C. 「모든 민족을 위한 하나님의 목적」, 노창우 역, 서울 : 침례회 출판부, 1986.
Green, Michel. 「초대교회의 전도」, 김경진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7.
Gutierez. G. 「해방신학」, 성 염 역, 왜관 : 분도, 1073.
Hesselgrave. D. J. 「현대와 성경의 관점에서 본 종교간의 대화」, 전호진 역, 서울 : 엠마오, 1986.
Hokendijk. 「흩어지는 교회」, 이계준 역,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79.
Hynson Leon O. 「웨슬레의 윤리사상」, 이희숙 역, 서울 전망사, 1987.
Kane. J. H. 「세계기독교 선교사」, 박관철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1.
__________. 「선교신학의 성서적 기초」, 이재범 역, 서울 : 나단 출판사, 1988.
키커. 「복음주의 입장에서 본 해방신학」, 전호진 역, 서울 : 정음충판사, 1983.
Lefever Ernest W. 「암스테르담에서 나이로비 대회까지」, 전호진 역, 서울 : 한국 기독교 연구원, 1981.
Lindsell, Harold. 「기독교의 세계선교」,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77.
Lindstrom, Harold G. A. 「웨슬레와 성화」, 전종옥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감리회 총리원, 1970.
Lurnyon. D. 「웨슬레와 해방신학」, 전종옥 역, 서울 : 전망사, 1987.
Nida, Eugen. A. 「문화속의 종교」, 채은수 역, 서울 : 한국 로고스 연구원, 1987.
Ortiz, Juan Carlos. 「제자입니까?」, 김성웅 역, 서울 : 두란노 서원, 1989.
Wine, Tome. 「하나님 나라를 이루는 제자도」, 주순희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9.
Snyder, Howard A. 「혁신적 교회갱신과 웨슬레」, 조종남 역,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6.
Stott, John R. W. 「선교에 대한 복음주의 입장」, 조종남 역, 부천 : 서울 신학대학 출판부, 1976.
________________. 「현대기독교 선교」, 김명혁 역, 서울 : 성광 문화사, 1980.
Williams. J. 「웨슬레 신학」, 이계준 역, 웨슬레 총서 4, 서울 : 신교 출판사, 1978.
Wagner. C. P. 「기독교 선교전략」, 전호진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7.
Wood, Skevington. 「죤 웨슬레 : 위대한 전도자」, 웨슬레 총서 3, 서울 : 신교 출판사, 1979.
우드워드. W. 「하나님과 사람과 선교」, 박광철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1.
Young, John M. L. 「선교의 동기와 목적」, 김진홍 역, 서울 : 한국 개혁주의 신행 협회, 1972.
( 한 서 )
고범서. 「해방신학」 서울 : 범화사, 1985.
박삼수. 「선교는 그리스도의 지상명령」 서울 : 기독교 문화사, 1987.
송흥국. 「웨슬레 신학」 서울 : 대한 기독교서회, 1979.
장중열. 「교회성장과 선교학」 서울 : 성광문화사, 1978.
정진홍. 「기독교와 타종교와의 대화」 서울 : 전망사, 1982.
조종남. 「요한 웨슬레의 신학」 서울 : 대한 기독교 출판사, 1984.
주재용. 하나님의 선교와 한국교회 , 한국기장편 「한국 교회 100년과 그 좌표」 서울 : 한신대 출판부, 1981.
한국 복음주의 선교학회 편역위원. 「에큐메닉스」 서울 : 성광 문화사, 1988.
한영태. 「해방신학에 대한 이해와 평가」 부천 : 서울 신학 대학 출판부, 1987.
( 잡지류 및 기타 )
강근환. 사회 개혁자로서의 18C 영국의 복음주의자들 , 「신학과 선교」 3집, 부천 : 서울신대 출판부, 1975.
김명혁. 현대 에큐메니칼 운동의 역사적 변천과 그 동향 , 「신학지남」, 1979. 4월 6월, 서울 : 신학지남사.
로쟌언약, 조종남 역, 서울 : 생명의 말씀사, 1986.
마닐라선언, 조종남 역, 「신학과 선교」 부천 : 서울 신대, 1990.
변선환. Missio Dei이후의 선교신학 , 「신학사상」 제 14집, 서울 : 한국 신학 연구소, 1977.
서남동. 1960년대의 신학 , 「기독교 사상」, 1960. 12. 서울 : 기독교 사상사.
조종남. 기독교 선교에서의 전도와 사회참여 , 「신학과 선교」 제 6집, 부천 : 서울 신대 출판부, 1980.
채은수. 선교와 문화 , 「신학지남」 (1983, 봄호).
한영태. 성결의 종류와 단계 , 조종남 목사 회갑논문집, 서울 : 기성출판사, 1988.
W.C.C. The Church for other. Geneva W.C.C. 1968.
The Thailand Statement 1980 , International Bulletin of Missionary Research, Jan, 1981.
Occasional Bulletin of Missionary Research, Vol. 2, 30. 3. (1978. 7)
Haight. R. D. Mission : the Symbol for Understanding the church Today , Theological Studies, Vol. 37, 30. 4. (1976.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