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울 사상과 칼빈 사상의 비교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바울 사상과 칼빈 사상의 비교 연구
(교회론을 중심으로)
목 차


Ⅰ. 서 론 --------------------------------------- 2

Ⅱ. 바울의 교회론 --------------------------------- 2

A. 몸으로서의 교회 ------------------------------- 2
1. 로마서에서의 교회 개념 ------------------------ 2
2. 고린도전서에서의 교회 개념 -------------------- 3

B. 머리로서의 교회 ------------------------------- 4
1. 에베소서, 골로새서에서
나타난 교회 개념 ------------------------------ 4


Ⅲ. 칼빈의 교회론 --------------------------------- 5

A. 신자의 어머니로서의 교회 ----------------------- 6

B.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 --------------------- 7

C. 가시적 교회와 불가시적 교회 -------------------- 8


Ⅳ. 바울과 칼빈의 교회론의 비교
(공통점과 차이점) ------------------------------ 8


Ⅴ. 결 론 --------------------------------------- 9

* 참고문헌 -------------------------------------- 10

본문내용

단체인 교회와 그 모임의 주가 되시는 관계를 몸과 머리'라는 개념으로 생각했다. 신자들의 모임에는 통일적인 한 기구(機構)가 나타난다. 즉 그리스도의 몸이 세워지고 우리는 각 부분에 있어서 머리가 되시는 그에게 유착되어서 우리들 사이에는 통일이 이루어진다 (Inst. Ⅳ. 3. 3). 하면서 칼빈 역시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의 통일성과 다양성을 말하고 있다.
그리고 굳이 위의 두 사상가의 교회론의 차이점을 보자면,
바울에게는 일반적으로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부르는 것은 그리스도와 그의 교회간에 존재하는 밀접한 관계와 연합을 지칭하기 위한 것이다. 왜냐하면 그리스도께서는 그의 몸안에서 육신이 되시고, 죽으시고, 부활하심으로 온 인류에게 미친 죄악과 죽음의 압제를 멸망시켰기 때문이며, 따라서 교회는 그 안에서 그를 통하여 연합한 사람들을 말하기 때문이다.
옥수석, op. cit. , p. 17.
즉 바울은 그리스도안에서 성도들의 공동체로서의 교회를 강조한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칼빈에게 있어서 교회는 물론 공동체적인 개념도 있었지만, 그보다는 교회는 유일한 구원의 수단이며 우리의 신앙이 출생하고 성장하는 곳이므로 교회 밖에서는 구원이 없다'라는 말에서도 알 수 있듯이 그에게는 구원의 수단으로서의 교회 개념이 더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임상훈, op. cit. , p. 2.
Ⅴ. 결 론
지금까지 교회론을 중심으로 초기 기독교의 위대한 사상가인 바울의 사상과 16세기 위대한 사상가의 한 사람인 칼빈의 사상에 대해서 비교, 연구하여 보았다.
먼저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울의 교회에 대한 관심은 첫째로 몸을 그리스도의 교회와 관련지어 우리 몸이 그리스도 안에서 연합되고 그리스도와 연합되었던 것처럼 교회 역시 그리스도안에서 연합됨을 말하고, 두 번째로 교회가 그리스도안에서, 그리스도와 연합되어 있는 것은 그리스도께서 고난 당하시고 죽으심을 당하셨을 때 성취하여 놓으신 일, 즉 구속사적인 의미에서 그리스도 속에 포함된 까닭에 한 몸이 되고 이를 주님의 교회라 부르는 것(엡 2:16, 3:6), 그리고 세번째로 몸을 그리스도의 교회와 연결시켜 부를 수 있는 것은 성령의 하나 되게 하심 을 통하여 되어짐으로서 성령의 내주하시고 역사하심을 통하여 하나의 유기체적인 교회를 이루는 것을 말하고, 마지막으로 그리스도는 만물의 머리로서 또한 교회의 머리가 되어서 그의 우주적 주권으로 그의 교회를 다스리시며 자기 교회를 살아가게도 하시며, 자라 가게도 하신다(골 2:19, 엡 4:15, 16)는 것을 주장함을 알아보았고, 칼빈은 교회를 무엇보다도 타락한 인간들에게 주어진 하나님의 은총의 수단으로 보면서 교회 밖에서는 구원이 없다'고 강조하고, 하나님은 인간의 무지와 나태, 연약함을 고려하여 교회를 주셨는데 때로는 세상에서 교회가 사라진 듯하게 보이기도 했으나, 하나님은 항상 지켜 보호해 주셨고, 죽음의 어두움에서 벗어나게 하셨다. 그러므로 역사가 끝날 때까지 교회는 인간의 연약함을 돕는 외적 도움으로 남을 것이다. 라고 신자의 어머니로서의 교회를 말하고, 그의 교회관에서 또 하나의 중요한 개념으로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를 말하고 있는데, 이 개념은 교회의 단일성과 보편성에 대한 관심과 함께 그 몸안에서 지체가 된 성도들의 교회에 관심을 두고 있는 개념이다. 그리고 현실의 제약을 벗어버린 이상적인 교회, 즉 불가시적 교회를 말하고, 교회는 외부적인 형체가 없이도 자존할 수 있음을 주장하면서 로마 카톨릭 교회가 하나님 나라의 지상형(地上形)이라고 말하는데 강력히 반대했으며, 현실적인 제약을 받는 가시적 교회에 대하여도 말하고 있는 것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 두 사상가는 공통적으로 그리스도의 몸'으로서의 교회를 주장하면서 교회의 통일성과 다양성에 대하여 강조점을 두고있다는 것을 보았고, 하지만 바울은 교회를 그리스도의 몸'이라고 부르는 것은 그리스도와 그의 교회간에 존재하는 밀접한 관계와 연합을 지칭하기 위한 즉, 리스도안에서 성도들의 공동체로서의 교회를 강조하는데 비해, 칼빈은 물론 교회를 공동체적인 개념으로도 말하고 있지만, 그에게는 구원의 수단으로서의 교회 개념이 두드러지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현대 교회를 보면 기독교가 과거에 차지했던 높은 지위와 명예와 위신이 상실되어져 가고 있음을 잘 알 수 있다. 이는 현 교회가 교회로서 지녀야 할 의미와 본질이 점점 변질되어 교회가 세속화, 사회화 되어 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되어질 수 있다. 이런 상황속에서 위의 위대한 두 사상가의 교회관을 통하여 관찰한 바대로, 교회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교회를 바로 인식하며 올바른 교회론을 정립하여 오늘날 그리스도안에서 구원받은 성도가 교회가 어떤 것이며, 또 교회가 마땅히 걸어야 할 길이 무엇인가를 제시할 줄 알아야 한다고 생각하며, 이 연구의 결론을 맺고자 한다.
* 참 고 문 헌 *
단행본
이종성. 「칼빈-생애와 사상」서울: 대학기독교출판사, 1981.
윌리엄 버클레이, 「바울신학개론」서울: 크리스챤다이제스트, 1993.
E. P. Clowney. The Doctrine of the Church. 이창우 역. 서울: 성광 문화사, 1981.
Otto. Weber. 「칼빈의 교회관」김영재 역. 서울: 풍만출판사, 1985.
William Barclay. The mind of ST. Paul 서기산 역. 서울: 기독교문 사, 1978.
논 문
김광식. 칼빈의 교회론. 신학석사학위논문, 아세아연합신학대학원, 1990.
김완신. 그리스도 몸으로서의 교회 연구(바울 서신을 중심으로). 신학 석사학위논문, 1989.
옥수석. 바울의 교회관(그리스도의 몸을 중심으로). 신학석사학위논문, 고신대학신학대학원.
임상훈. 칼빈의 교회론 연구. 신학석사학위논문, 서울신학대학원, 1988.
현요한. 칼빈의 교회론(성령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신학석사학위논문, 장로회신학대학대학원.
기 타
차영배. 오순절 성령강림의 단회성에 관한 R. B. Gaffin 교수의 견해와 그 문제점.
J. Calvin. 「신약성경주석 7」존 칼빈 성경주석 출판위원회 편. 서울: 성서교재간행사, 1978.

키워드

바울,   칼빈,   사상,   비교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01.04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1763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