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Goals
2. Methodology
3. Data Descriptions
4. Data Analysis
5. Conclusion
2. Methodology
3. Data Descriptions
4. Data Analysis
5. Conclusion
본문내용
중의성은 띠지 않는다. 다만 tree구조에서처럼 ‘할머니’가 ‘머리’의 상위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하게 동사 ‘셌다’의 주어가 될 수 있다는 것이 특이하다. 이것은 영어와 다르게 한국어에서 나타나는 현상이다.
E.
저 산이 소나무가 빽빽하다.
이 문장도 D문장처럼 ‘산’의 조사로 ‘의’가 아닌‘이’가 붙었다고 해서 의미적 중의성은 띠지 않는다. 다만 ‘산’이 ‘소나무’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하게 서술어‘빽빽하다’의 주어가 될 수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4. Conclusion
이제까지 3개의 영어, 2개의 한국어 문장을 분석하면서 Ambiguity에 대해 살펴보았다. A, B, C의 영어 문장에서는 Phrase Structure 분석에서 tree가 다르게 그려지면서 그 문장의 중의적 해석이 나타나는 반면에 D, E의 한국어 문장에서는 tree가 하나로 그려지지만 문장의 주어가 겹주어 일 때 하나의 주어가 다른 주어의 하위 개념에 속해 있어도 동일하게 같은 서술어에 대한 주어가 될 수 있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것이 Structural Ambiguity 분석에서 얻어낸 영어 문장과 한국어 문장의 차이점이었다.
E.
저 산이 소나무가 빽빽하다.
이 문장도 D문장처럼 ‘산’의 조사로 ‘의’가 아닌‘이’가 붙었다고 해서 의미적 중의성은 띠지 않는다. 다만 ‘산’이 ‘소나무’를 포함하는 상위 개념임에도 불구하고 동일하게 서술어‘빽빽하다’의 주어가 될 수 있다는 점이 특이하다.
4. Conclusion
이제까지 3개의 영어, 2개의 한국어 문장을 분석하면서 Ambiguity에 대해 살펴보았다. A, B, C의 영어 문장에서는 Phrase Structure 분석에서 tree가 다르게 그려지면서 그 문장의 중의적 해석이 나타나는 반면에 D, E의 한국어 문장에서는 tree가 하나로 그려지지만 문장의 주어가 겹주어 일 때 하나의 주어가 다른 주어의 하위 개념에 속해 있어도 동일하게 같은 서술어에 대한 주어가 될 수 있다는 흥미로운 사실을 발견하게 되었다. 이것이 Structural Ambiguity 분석에서 얻어낸 영어 문장과 한국어 문장의 차이점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