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전화의 통신 모드(대화 방식)는 무엇인가?
2. 전송 제어 절차의 BASIC과 HDLC의 특징은?
3. HDLC의 등장 이유는?
4. 비동기와 동기 전송의 정의는?
5. 전송 시스템의 자체 효율은 어떻게 나타내는가?
6. 스터핑의 종류와 필요성은?
7. CRC 체크시권스를 가지고 수신측의 오류 유무를 증명하시오.
8. 슬라이딩 윈도우의 흐름 제어를 설명하시오.
2. 전송 제어 절차의 BASIC과 HDLC의 특징은?
3. HDLC의 등장 이유는?
4. 비동기와 동기 전송의 정의는?
5. 전송 시스템의 자체 효율은 어떻게 나타내는가?
6. 스터핑의 종류와 필요성은?
7. CRC 체크시권스를 가지고 수신측의 오류 유무를 증명하시오.
8. 슬라이딩 윈도우의 흐름 제어를 설명하시오.
본문내용
면 이를 기술하기가 어렵다.
- 특정 조건에 대한 기술이 어렵다. 오류발생 시 체크하여 재전송해야 하는데 이들 표현이 자연스럽지 못하다.
(2) 사건-상태표
프로토콜을 기술하는 사건-상태표는 표준을 제안한 권고안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상태천이도와는 달리 동작 조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프레디키드(Predicate)라 부른다.
(3) 가상코드(Pseudo Code)
프로토콜을 기술하는 권고안에는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종류와 각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파라미터에 관한 사항, 사건-상태표와 이때 필요한 동작, 각프레임의 구조에 고나한 사항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다. 제안된 권고안은 컴퓨터 언어로 표현될 수 있으며 프레임 구조는 해당 언어의 자료 구조에 따라 구현된다. 예를 들어 C언어의 경우 Structdml 구조체를 이용할수 있고 프로토콜의 동작은 함수(function)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해당 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프리미티브는 함수 형태로 만들어 라이브러리에 추가시킬 수 있다.
11. 전송 오류 제어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되는 방식은 무엇인가?
IDE RQ방식의 명시적 기법이 제일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그 이유는 명시적 기법은 암시적 기법과 같이 수신측에 오류가 없는 정보-프레임이 도달했을 때에는 확인 응답을 보내고 오류가 발생했을 때는 암시적 기법과는 달리 오류 확인 응답-프레임을 송신측에 돌려보내는 기능이 더해졌기 때문이다.
12. 전방향 오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전방향 오류제어는 전송된 단위 정보(캐랙터 또는 프레임)에 추가비트를 덧붙이고 정보를 받는 측에서 전송된 정보로부터 오류 유무를 검출한 후 오류가 발생한 위치를 찾아 낸 후 오류를 수신측에서 수정하는 것이다. 해밍코드를 이용한 전송 제어가 여기에 속한다.
13. 전송 제어 절차란 무엇인가?
전송 제어 절차는 통신 회선을 통하여 목적하는 수신 시스템에 착오 없이 데이털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터 송수신 장치 사이에서 수행되는 제어 절차를 말하며 이들 장치간의 가상 선로를 데이터 링크라 부른다. 따라서 전송 제어 절차에는 송수신단의 호제어의 확립과 터미널의 회선 접근, 메시지구조, 에러에 대한 재전송, 터미널간의 문자 동기 등이 규정된다. 이들을 프로토콜로 정해서 수행되는데 이때 프로토콜은 데이터가 원할히 전송되도록 발신국과 수신국 등의 데이터 전송망의 구성 요소 사이에서 주고받는 각종 제어 정보 및 전송 절차를 말한다.
- 특정 조건에 대한 기술이 어렵다. 오류발생 시 체크하여 재전송해야 하는데 이들 표현이 자연스럽지 못하다.
(2) 사건-상태표
프로토콜을 기술하는 사건-상태표는 표준을 제안한 권고안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상태천이도와는 달리 동작 조건을 표시할 수 있으며 이를 프레디키드(Predicate)라 부른다.
(3) 가상코드(Pseudo Code)
프로토콜을 기술하는 권고안에는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종류와 각 서비스 프리미티브의 파라미터에 관한 사항, 사건-상태표와 이때 필요한 동작, 각프레임의 구조에 고나한 사항이 명확히 정의되어 있다. 제안된 권고안은 컴퓨터 언어로 표현될 수 있으며 프레임 구조는 해당 언어의 자료 구조에 따라 구현된다. 예를 들어 C언어의 경우 Structdml 구조체를 이용할수 있고 프로토콜의 동작은 함수(function)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어떤 해당 계층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프리미티브는 함수 형태로 만들어 라이브러리에 추가시킬 수 있다.
11. 전송 오류 제어에 있어서 가장 효율적이라고 생각되는 방식은 무엇인가?
IDE RQ방식의 명시적 기법이 제일 효율적이라고 생각된다 그 이유는 명시적 기법은 암시적 기법과 같이 수신측에 오류가 없는 정보-프레임이 도달했을 때에는 확인 응답을 보내고 오류가 발생했을 때는 암시적 기법과는 달리 오류 확인 응답-프레임을 송신측에 돌려보내는 기능이 더해졌기 때문이다.
12. 전방향 오류 제어에 대해서 설명하시오.
전방향 오류제어는 전송된 단위 정보(캐랙터 또는 프레임)에 추가비트를 덧붙이고 정보를 받는 측에서 전송된 정보로부터 오류 유무를 검출한 후 오류가 발생한 위치를 찾아 낸 후 오류를 수신측에서 수정하는 것이다. 해밍코드를 이용한 전송 제어가 여기에 속한다.
13. 전송 제어 절차란 무엇인가?
전송 제어 절차는 통신 회선을 통하여 목적하는 수신 시스템에 착오 없이 데이털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터 송수신 장치 사이에서 수행되는 제어 절차를 말하며 이들 장치간의 가상 선로를 데이터 링크라 부른다. 따라서 전송 제어 절차에는 송수신단의 호제어의 확립과 터미널의 회선 접근, 메시지구조, 에러에 대한 재전송, 터미널간의 문자 동기 등이 규정된다. 이들을 프로토콜로 정해서 수행되는데 이때 프로토콜은 데이터가 원할히 전송되도록 발신국과 수신국 등의 데이터 전송망의 구성 요소 사이에서 주고받는 각종 제어 정보 및 전송 절차를 말한다.
추천자료
[공과대]-이동통신에 대하여
[공과대]-마이크로 웨이브(고주파통신)에 대하여
윤대녕의 소설 <은어 낚시 통신> 독후감 보고서
KTF, SK, LG의 이동통신 비교 분석
WIBRO의 기술 소개와 미래 통신 기술
[e비즈니스]2008 국내 통신서비스 산업분석 및 전망
[독서감상문] [은어낚시통신] 윤대녕
(행정,정책) 정부규제- 통신사업 규제
한국, 북한, 중국의 정보통신 기술 현황
olleh KT 마케팅 전략 분석(이동통신), olleh KT 마케팅 전략 분석, olleh KT 경쟁사 분석, o...
[언어와 생활 공통] 통신 언어의 자료를 직접 수집하여 각 예들에서 어떤 표현적 장치가 사용...
한국 언어 과학 - 통신언어의 언어학적 특성
언어와 생활 교재 1장을 참고하여, 통신 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를 직접 수집ㆍ조사하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