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古版畵의 종류
2. 古木版畵의 용구와 재료
3. 古木版畵의 刻法과 印出法
● 맺음말
2. 古木版畵의 용구와 재료
3. 古木版畵의 刻法과 印出法
● 맺음말
본문내용
찍는 것으로 번지는 효과를 나타낼 때 많이 사용하며 찍은 직후와 완전 건조가 된 다음의 차이가 많이 난다.
※ 일반적으로 油性木版印에서는 한판을 1번만 찍으나 水墨木版에서는 2번, 3번 찍어 그 깊이를 더하기도 한다.
● 맺음말
고려시대로부터 이어져온 古版畵의 전통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근대적 석판 인쇄술이 그 자리를 차지하는 급격한 사회변화의 위세에 밀려 단절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라도 양적 팽창위주의 비정상적 판화 문화 환경을 바로잡아 단절된 한국 판화의 역사성·정신성을 회복하고 가다듬어 건강한 판화문화 발전의 기틀을 세워 창조적이고 발전적인 우리의 古版畵의 전통을 되살리는 의미로서 古版畵에 대한 바른 이해가 그 첫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바탕 위에서 올바른 판화 수업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 판화의 역사성 정신성이 함께 살아 숨쉬는 올바른 판화 문화 환경이 올곧게 자리하게 될 것이다.
※ 참고 문헌
이병지, 한국 書誌의 연구(하), 연세대학교 출판부, 1961
김현실, '이조판화연구’, 서울대 대학원 회화과, 1971
안춘근, 한국의 古版畵,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 1979
장충식, 고려화엄판화의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2
炳震, 拓本의 세계, 일지사, 1983
천혜봉, 국보 권12 - 서예, 전적, 1985, 예경 산업사.
이성미 '고려초조대장경의 어제비장전판화’ 고고미술 169,
170호 한국미술사학회.1986
김상구, '조선시대 판화에 관한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 1986
김영만, '한국 전통목판화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 1986
이승일, '조선시대 목판화에 관한 연구 - 민속판화를
중심으로’, 홍익대 교육대학원, 1988
천혜봉, '한국 서지학연구’, 삼성출판사, 1991년
조선시대 판화전, 홍익대 박물관, 1991
이양재, <한국古版畵의 재인식>, 가나아트, 1992.5
이양재, <조선시대 고판화>, '조선의 古版畵’, 1992
한국애서가 클럽, '조선의 古版畵’, 비브리오 필리 5권, 1992
80화엄 변상도, 현대목판회, 1993
齋鳳閣, 중국신흥판화 발전사, 吉林미술출판사, 1994
구자현, <일본의 古版畵에 대해서> MOOK 版畵 1호, 판화미술진 흥회, 1995
한국의 고 근대 판화전, 95 판화미술제 특별전 도록, 판화미 술 진흥회, 1995
유홍준, 이태호, <조선시대 목판화 연구>, '한국 미술사의 새로 운 지평을 찾아서’ 학고재, 1997
※ 일반적으로 油性木版印에서는 한판을 1번만 찍으나 水墨木版에서는 2번, 3번 찍어 그 깊이를 더하기도 한다.
● 맺음말
고려시대로부터 이어져온 古版畵의 전통은 일제 강점기를 거치면서 근대적 석판 인쇄술이 그 자리를 차지하는 급격한 사회변화의 위세에 밀려 단절되어 왔다.
그러나 이제라도 양적 팽창위주의 비정상적 판화 문화 환경을 바로잡아 단절된 한국 판화의 역사성·정신성을 회복하고 가다듬어 건강한 판화문화 발전의 기틀을 세워 창조적이고 발전적인 우리의 古版畵의 전통을 되살리는 의미로서 古版畵에 대한 바른 이해가 그 첫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그 바탕 위에서 올바른 판화 수업이 이루어질 때 비로소 판화의 역사성 정신성이 함께 살아 숨쉬는 올바른 판화 문화 환경이 올곧게 자리하게 될 것이다.
※ 참고 문헌
이병지, 한국 書誌의 연구(하), 연세대학교 출판부, 1961
김현실, '이조판화연구’, 서울대 대학원 회화과, 1971
안춘근, 한국의 古版畵, 한국 정신문화 연구원, 1979
장충식, 고려화엄판화의 연구, 아세아문화사 1982
炳震, 拓本의 세계, 일지사, 1983
천혜봉, 국보 권12 - 서예, 전적, 1985, 예경 산업사.
이성미 '고려초조대장경의 어제비장전판화’ 고고미술 169,
170호 한국미술사학회.1986
김상구, '조선시대 판화에 관한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 1986
김영만, '한국 전통목판화 연구’, 홍익대 교육대학원, 1986
이승일, '조선시대 목판화에 관한 연구 - 민속판화를
중심으로’, 홍익대 교육대학원, 1988
천혜봉, '한국 서지학연구’, 삼성출판사, 1991년
조선시대 판화전, 홍익대 박물관, 1991
이양재, <한국古版畵의 재인식>, 가나아트, 1992.5
이양재, <조선시대 고판화>, '조선의 古版畵’, 1992
한국애서가 클럽, '조선의 古版畵’, 비브리오 필리 5권, 1992
80화엄 변상도, 현대목판회, 1993
齋鳳閣, 중국신흥판화 발전사, 吉林미술출판사, 1994
구자현, <일본의 古版畵에 대해서> MOOK 版畵 1호, 판화미술진 흥회, 1995
한국의 고 근대 판화전, 95 판화미술제 특별전 도록, 판화미 술 진흥회, 1995
유홍준, 이태호, <조선시대 목판화 연구>, '한국 미술사의 새로 운 지평을 찾아서’ 학고재, 19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