推奴係 野談의 小說的 變容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서론

2. 추노계 야담의 소설화에 대한
예비적 검토

3. 추노계 야담의 소설적 변용
3.1 경도된 복수의지와 <김학공전>
3.2 통속화의 지향과 <신계후전>

4. 추노계 소설의 선문제와상호 관련성

5. 결론

본문내용

野談 중 비교적 짜임새를 잘 갖추고 있는『復讐說』이 小說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쳐『金鶴公傳』『殺身成人』같은 작품이 산생된 것이라 하겠다. 특히『殺身成人』은 推奴係 小說 중, 1 창작연대(1906. 10. 22 - 11. 3)를 명확히 알 수 있는 점, 2 다른 작품에 비해 창작연대가 가장 앞서는 점, 3『復讐說』의 구조 및 주제에 가장 근접된 모습을 보이고 있는 점 등에서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이같은 정황으로 미루어 볼 때 위의 네 작품 중 가장 먼저 지어진 작품은『金鶴公傳』혹은『신계후전』이 아니고『殺身成人』이 되는 셈이다.
그러나 유사한 작품의 전후문제는 창작연대가 밝혀지지 않는 한 단순히 필사연대의 선후만으로는 가려질 수 없고 작품의 구조를 면밀히 분석해 보고 난 다음에 조심스럽게 추론해 볼 수 있을 뿐이다. 따라서 이 문제는 네 작품에 대한 면밀한 대조작업과 함께 이들이 推奴係 野談과 맺고있는 관련의 실상을 명확히 파악하고 난 다음에야 해결될 수 있을 것이라 본다. 설령 그렇게 해서 선후문제가 밝혀진다 하더라도, 어느 한 작품이 다른 작품에 영향을 미쳤다는 것 외에 그것이 큰 의미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여러 가지 정황으로 보아『金鶴公傳』『신계후전』 『殺身成人』『탄금대』는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쯤으로 보이는 거의 비슷한 시기에 창작된 작품이겠기 때문이다.
다음으로『金鶴公傳』『신계후전』이 新小說『탄금대』와 맺고있는 관련의 실상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세 대해서 \"『탄금대』는 고전소설『金鶴公傳』을 源泉作品으로 하여 新小說的 형식, 문체 및 구성으로 번안\"
) 최운식, 앞의 논문, 92쪽
한 작품이라고 최운식이 가설을 제기한 이래 이혜순도 이를 그대로 따랐다.
) 이혜순, 앞의 논문, 157쪽.
그러나 강진옥이 작품구조의 유사성 및 작품의 중심 무대인 고금도라는 지명의 일치 등을 들어『탄금대』는『金鶴公傳』이 아닌『신계후전』의 번안이라는 반론을 제기했고,
) 강진옥, 앞이 논문, 174-175쪽.
김순진에 의해 이점은 다시 한번 강조되었다.
) 김순진, 한국 노비설화 연구(이화여대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90) 130-131쪽.
그러나 이 문제도 그렇게 간단히 단정지을 성질의 것이 아니다. 『金鶴公傳』은 1910년·1912년에 필사된 작품이 있으며, 『신계후전』은 1915년에 필사된 것이 가장 앞서는 반면,『탄금대』는 1912년에 발표된 작품이기 때문에 필사연대만 가지고는 이들의 선후관계를 종잡기는 어렵다. 그보다는 推奴와 관련된 구전설화 및 그것의 정착이라 할 수 있는『復讐說』류의 推奴係 野談이『金鶴公傳』『신계후전』『탄금대』뿐 아니라『殺身成人』의 형성에 까지 직접 영향을 주어 네 작품이 비슷한 시기에 창작된 것으로 간주하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 같다. 다만『金鶴公傳』과『殺身成人』,『신계후전』과『탄금대』가 다른 관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것만은 분명하다.
요컨대, 어떤 작품이 다른 어떤 작품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는 주장은 성급히 내려질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중요한 것은 변장모티프를 수용한 推奴係 野談, 그 중에서도『復讐說』을 근간으로 삼아 小說化된 이들 작품이 각각 어떻게 小說的 변용을 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奴-主의 팽팽한 葛藤구도 및 주제적 의미가 어떻게 변질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를 깊이 있게 해명하는 일일 것이다.
5. 결론
推奴係 野談은 朝鮮後期 18, 19세기 당대의 현실적 주요 관심사였던 主人과 奴婢사이의 身分葛藤을 다각적으로 그려내고 있는 작품이다. 여기서는 이와 같은 推奴係 野談의 小說化와 관련된 몇가지 문제들을 검토해 보았다. 앞서 논의된 것을 요약·제시하여 마무리로 삼겠다.
1. 推奴係 野談 중 변장모티프를 수용하고 있는『復讐說』『有窮士推叛奴』『京中士人沈姓者』『乞父命忠婢完三節』등은 그 나름의 원리에 따른 독특한 유형성을 보이고 있다. 그 중에서도『復讐說』을 \'아버지→ 아들\'로 推奴 주체가 轉移됨으로 인해 작품의 전반적인 성격이 復讐로 치닫고 있어『金鶴公傳』과 가장 유사한 면모를 보인다. 작품구성과 주제적 의미로 볼 때『金鶴公傳』의 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작품은『復讐說』이라 단정지을 수 있다. 『신계후전』또한 이러한 각도에서 이해할 수 있다.
2. 推奴係 野談의 小說化는 두 가지 방향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金鶴公傳』은 주인공의 경도된 복수의지와 이의 실행에 초점을 맞추었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復讐小說的 성격을 강하게 지니는 반면, 상대적으로 奴-主 葛藤에 내재된 문제의식은 상당히 퇴색되어 있음을 보았다.
『신계후전』은 전대 小說에서 관습화된 여러 삽화를 적절히 결합하여 독자들에게 보다 흥미를 가져다 주는 쪽으로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특히 후반부에 나타나는 계후와 경애 사이에 發生한 婚事障碍의 과정과 그 해결로서의 어사출도 대목은 『춘향전』을 방불케 할 정도로 긴박하고 흥미있는 짜임새를 드러내게 되었다. 이를 통해『신계후전』또한『金鶴公傳』과는 다른 방향에서 小說的 변모를 꾀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여기서 구체적으로 검토하지는 않았지만『殺身成人』은『金鶴公傳』과『탄금대』는『신계후전』과 유사한 방향으로 小說化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3. 推奴係 小說인『金鶴公傳』『신계후전』『탄금대』『殺身成人』의 선후문제 및 이들이 맺고 있는 관련의 실상을 검토해 보았다. 지금으로서는 네 작품 중 필사 혹은 창작연대가 가장 앞서는 작품이 1906년에 발표된『殺身成人』이며,『金鶴公傳』『탄금대』는 1912년,『신계후전』은 1915년으로 필사연대를 올려잡을 수 있다. 이들 네 작품은 모두 復讐書類의 推奴係 野談을 근간으로 삼아 小說化된 것인데『金鶴公傳』과『殺身成人』『신계후전』과『탄금대』가 다른 작품과의 관계에 비해 상대적으로 밀접한 관련성을 가지는 것으로 파악했다.
그러나 네 작품이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에 이르는 거의 비슷한 시기에 지어진 것이기 때문에 선후 및 영향관계의 확정이 큰 의미를 가진는 것은 아니다. 중요한 것은『復讐說』을 근간으로 삼아 小說化된 이들 네 작품이 각가 어떻게 小說的 변용을 꾀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주제적 의미가 어떻게 변질되고 있는가에 대한 문제를 깊이있게 해명하는 일이다.

키워드

  • 가격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3.01.23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13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