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설계 및 방법론 Case Study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Mies van der Rohe가 걸어온 길

2. Barcelona Pavilion

3. Mies의 건축적 배경

4. mies의 건축적 사고

5. mies의 교육이념

본문내용

에 이른다. " 미스는 언제나 단순한 구조와 재료를 추구하였으나 완전하고 정밀하게 추구하였다. 미스가 50년간 추구해 온 강철과 유리의 건축은 이러한 근원적인 단순함에서 나타난다.
미스는 구조(structure)라는 말을 일반적인 뜻과 다르게 사용하였는데 즉 단순한 구조(Construction)에서의 비례, 스케일감의 세련됨, 부분과 전체와의 화합을 통하여 예술의 차원에 도달한 건물만을 말하는 철학적인 의미를 부여 하였다. (cf) 또한 미스는 재료와 디테일은 건축의 문법이라고 강조하면서 문법을 통달하지 않으면 좋은 문장을 만들 수 없으며 시인이 되는 것은 더욱 힘든 일이라고 말하였다.
처음부터 미스는 구조적 요소와 비구조적 요소들을 명확하게 구분하여야 한다는 생각을 갖고 설계를 하였다. 그리고 미스건축의 성격은 여러 요소들을 정확하게 통어 하는 것만이 아니라, 그 요소들사이에 확립되어 있는 조화로운 질서를 유지하고 있다는 점에 있다.
근대건축은 공간을 파악하는 능력에서 발생한 급격한 방향전환으로서 그 공간체계는 기둥, 벽, 지붕 등에 속하는 기능의 재평가에서 발생하였다. 그로 인하여 골조구조가 필연적으로 출현하였으며, 골조구조의 지지하는 기능은 외피의 비구조적인 기능과는 분리된 채 표현되어야만 했다.
해방된 기둥에서 분리되어 있는 벽돌은 자유롭게 배치된 일련의 칸막이가 되었으며, 그 결과 자유로운 평면과 자유로운 입면이 생겨난다.
[자유로운 평면과 명확한 구조(Construction)는 분리될 수 없다. 그 구조(Construction)는 전체의 중추(Spine)이며, 자유로운 평면을 가능하게 해준다. 평면은 그 중추없이는 부자연스럽고, 무질서를 나타내며 활기를 잃게 된다. 이처럼 미스가 생각하고 실천하고 말하던 그러한 방법속에는 항상 구조(Construction)이 존재하였으며, 각 요소들을 마음속에 음미하고 전체가 적응하여 합치될 때까지 그 가능성과 한계를 추구함으로써 제각기의 구조형태를 발전시켰다.
미스의 건축은 구조와 외피의 기능의 구별이 개념적으로 완벽하였다. 하중지지체(Supporting Elements)로서의 기둥과 단순한 외피로서 공간을 한정하는 기능을 갖는 벽체를 엄격하게 구분하였다. 미스 건축에 있어서의 지붕면은 그 자체가 하부의 평면구성이나 벽체와 기둥들에 의해 제약을 받거나 기능적 관련성을 갖지 않는다.
1) 십자형 기둥
① 기둥에서 칸막이 벽을 떼어 놓는 경향을 지니고 있다.
② 공간의 수평적인 움직임을 거의 방해하지 않는다.
③ 기둥주위에서 공간이 소용돌이치도록 하고 있으며 공간의 중심으로서 존재한다.
2) I형강 기둥
① 기둥으로 벽을 끌어당기는 성질이 있다.
② 공간의 수평적인 움직임을 현저하게 실질적으로 멈추돌 하고 있다.
③ 공간의 주요 부분의 외피와 한계로서 작용하고 있다.
④ 자율적인 구조단위의 존재를 나타내고 있으며, 이와 같은 일련의 기둥들은 뼈대만으로 된 칸막이 혹은 불연속적인 벽으로서 작용하게 된다.
미스는 건축을 구조(Construction)의 공학이라는 측면에서 생각함으로써 명확한 구조 (Clear Construction)에 기반을 둔 단순한 구조(structure)를 추구하였다. 그는 구조를 통하여 과학과 미학의 통합을 이루었다.
- mies의 교육이념 -
건축교육, 계획, 시각훈련(Visual training)의 융합을 통하여 건축의 예술적 요소를 탐구하는 것이 미스의 교육이념의 본질이며, 미스에 의해 공식화된 건축의 5개 원칙은 다음과 같다.
가) 건축적 요인으로의 구조, 그 가능성과 한계
나) 공간의 건축적 문제
다) 건축표현의 수단으로서의 비례
라) 재료의 표현가치
마) 회화의 조각과 건축과의 관계
참고문헌
1. 성익환, 현대건축작가시리즈, Mies van der rohe, 산업도서출판공사, 서울, 1977
2. 정인국, 근대건축론, 문운당, 서울, 1982
3. Broardbent, G. 건축디자인 방법론, 윤도근외 역, 기문당, 서울, 1982
4. Hilberseimer, L. 현대건축의 원류와 동향, 편집부역, 산업출판도서공사, 서울, 1981
5. Kahn, Johnson외 공저, 현대건축 12장, 편집부 역, 산업출판도서공사, 서울, 1977
6. Pevsner, N. 근대건축과 디자인, 이대일 역, 미진사, 서울, 1986
7. Scully, V.현대건축론, 조대성 역, 기문당, 서울, 1984
8. 진정, Mies 건축에 있어서의 건축요소의 독립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9권, 123호, 1985,
9. 공간, 1984, 2월호, 서울
10. G.A.(Global Architecture), 디테일1, Mies van der rohe, Farnsworth House, 1977
11. A+U, Mies van der rohe, 1981.1
12. http://user.chollian.net/~syj1123/archi/mies.htm
13. http://my.netian.com/~ippni/master.htm
14. http://my.netian.com/~inwon/links.htm
15. http://sb.dpc.ac.kr/~jska/htm/muju.htm
16. http://www.seoulforum.co.kr/SPACE/chodesign/chodesign5.html
17. http://zamchi.cau.ac.kr/barcelona.htm
18. http://pine.taejon.ac.kr/~s9681028/건축.htm
19. http://www.ssyenc.co.kr/ssNews/info/arch3.htm
바르셀로나 박람회 독일관,바르셀로나(German Pavilion)1929
판스워드 주택,일리노이(Famsworth House)1946~1950
레이크 쇼어 드라이브 아파트,시카고(North Lake Shore Drive Apartment)1949~1951
시그램 빌딩,뉴욕(Seagram Bldg)1945~1958 크라운 홀,시카고(Crown Hall,I.I.T.)1951~1955
국립미술관,베를린(New National Gallery)1962~1968
  • 가격2,3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03.01.23
  • 저작시기2003.0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01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