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모더니즘의 배경
Ⅱ. 문학에서의 모더니즘의 특징
1. 시간의 의미
2. 관점의 차이
3. 신화의 사용
Ⅲ. 포스트 모더니즘
Ⅳ. 문학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1. 탈장르화
2. 대중문화의 활성화
3. 패더디(parody)
Ⅱ. 문학에서의 모더니즘의 특징
1. 시간의 의미
2. 관점의 차이
3. 신화의 사용
Ⅲ. 포스트 모더니즘
Ⅳ. 문학에서 포스트모더니즘의 특징
1. 탈장르화
2. 대중문화의 활성화
3. 패더디(parody)
본문내용
.
- 패더디(parody)
패러디는 포스트모던의 지지자나 반대자를 가릴 것 없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요체로 간주되어 왔다. 실제로 많은 예술가들은 패러디에 관심을 기울여 과거의 이미지들을 발굴해 내는 행위에 주력해왔다. 이것은 전통과 개인의 재능에 대한 포스트 모더니즘의 성격을 여실히 보여준다. 즉 포스트 모더니즘에서는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이 존재하지 않듯이 예술에서도 이제 더 이상의 새로운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예술적 소재의 고갈이나 소진을 어느시대보다 절실하게 느끼고, 또 작가의 어떤 독창성이나 창조적 능력을 기대하지 않기 때문에 과거에 이미 존재했던 소재를 다시 사용하고자 했다. 모더니즘시대의 엘리어트의 황무지가 이러한 패러디의 문화를 대표적으로 나타낸다. 수많은 신화적 원형과 전시대의 이야기들을 하나의 이야기로 엮어냄으로써 논리적 연결고리가 없어 보이는 작품들을 하나로 묶는 천재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엘리어트가 모더니스트이듯이 그의 작품은 소수의 엘리트만을 위한 작품으로 만족하였다. 포스트 모더니즘 시대에 와서는 이러한 작품이 모든 장르에 보편화, 다양화된다. 움베르트 에코의 「장미의 이름」, 토마스 핀쳔의 「V」등이 있다.
- 패더디(parody)
패러디는 포스트모던의 지지자나 반대자를 가릴 것 없이 포스트모더니즘의 요체로 간주되어 왔다. 실제로 많은 예술가들은 패러디에 관심을 기울여 과거의 이미지들을 발굴해 내는 행위에 주력해왔다. 이것은 전통과 개인의 재능에 대한 포스트 모더니즘의 성격을 여실히 보여준다. 즉 포스트 모더니즘에서는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이 존재하지 않듯이 예술에서도 이제 더 이상의 새로운 것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예술적 소재의 고갈이나 소진을 어느시대보다 절실하게 느끼고, 또 작가의 어떤 독창성이나 창조적 능력을 기대하지 않기 때문에 과거에 이미 존재했던 소재를 다시 사용하고자 했다. 모더니즘시대의 엘리어트의 황무지가 이러한 패러디의 문화를 대표적으로 나타낸다. 수많은 신화적 원형과 전시대의 이야기들을 하나의 이야기로 엮어냄으로써 논리적 연결고리가 없어 보이는 작품들을 하나로 묶는 천재성을 보여준다. 하지만 엘리어트가 모더니스트이듯이 그의 작품은 소수의 엘리트만을 위한 작품으로 만족하였다. 포스트 모더니즘 시대에 와서는 이러한 작품이 모든 장르에 보편화, 다양화된다. 움베르트 에코의 「장미의 이름」, 토마스 핀쳔의 「V」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