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 론
2. 적과 흑의 사회적 배경: 격동과 혼돈의 사회
3.사회적 상향의지
1. 사회적 상향의지의 실현
2.. 사회적 상향의지의 동기
3. 열등의식
4. 계급의식
4.사회적 상향의지의 좌절
1. 직접적 원인
2. 간접적 원인
5. 결 론
6. 참고 문헌
2. 적과 흑의 사회적 배경: 격동과 혼돈의 사회
3.사회적 상향의지
1. 사회적 상향의지의 실현
2.. 사회적 상향의지의 동기
3. 열등의식
4. 계급의식
4.사회적 상향의지의 좌절
1. 직접적 원인
2. 간접적 원인
5. 결 론
6. 참고 문헌
본문내용
것이다.
Quel pere voudrait donner sa fille cherie
a un tel homme ! A dieu!(R.N. p.644)
결국 그의 저격 사건은 그의 피할 수 없는 절대적인 의무였다. 이 점은 단순한 출세주의자에게서는 발견할 수 없는 것일 뿐 아니라 그가 추구하는 것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실현시킨 사회적 성공만이 아닌 또 다른 무엇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곧 Julien 이 추구하는 정신적인 고귀성과 영혼의 위대성일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Julien의 사회적 추락의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해 봄으로써 보다 뚜렷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B.간접적 원인
Julien 의 사회적 추락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는 Renal 부인의 저격 사건의 전말을 밝힘으로써 Julien이 단순한 사회적 출세만을 추구하는 사람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의 사회적 상향의지의 좌절에는 보다 근본적인 원인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Julien 은 사회적 상향의지를 실현시키려면 반드시 따라야만 되는 당대의 출세비결을 잘 알면서도 따르지 못했던 것이다. 이러한 비결은 사회의 정치 사회적 메커니즘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작품 속에서 많은 예를 찾아 볼 수 있다.
Julien 은 자신의 개인적인 능력을 과신하고 이에 합당한 권리를 줄 것을 사회에 요구하고 있다. 즉 평등을 주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당대 사회는 왕정 복고 라는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었으므로 재능이 출세의 필요 조건은 될 수있을지라도 충분조건은 될 수 없었다. 이 점은 다음 예문에서 볼 수 있다.
... est-ce qu il voudrait arriver a la prefecture par la genie? Il etale ce front chauve qu il dit remplie de hautes pensees. (R.N. p.460)
따라서 그가 아무리 재능이 많을지라도 개인이 사회를 바꿀 수는 없는 것이고 사회에서 출세하려면 정해져 있는 놀음에 복종했어야 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당대 사회는 정당이 승리하면 그 정당에 가입한 자들이 출세하는 사회가 되고 있었다. 그러나 Julien은 정당에 가입할 생각을 하지 않고 오히려 가는 곳마다 무수한 강적을 만들고 있다. 이것은 Julien의 고귀한 영혼이 그를 오만한 사람으로 보이게 한데서 연유한 것이라 생각된다. 이 점을 Pirard 사제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Je vois en toi quelque chose qui offense le vulgaire.
La jalousie et la calomnie te poursuivront. (R.N. p.403)
또한 당대 사회는 지배권이 혈통이 좋은 자들로부터 서서히 경제력을 가진 자들로 이행하는 사회였다. 그러나 Julien은 이점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혈통의 비천함으로 인한 열등의식에만 사로잡혀 경제력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그는 5프랑에 양심을 파는 인물이나 수입이 많고 적은가에 따라서만 사제직을 판단하는 신학생들을 경멸한다. Julien 이 따를 수 없었던 또하나의 출세비결은 위선과 간계에 능하고 세력가에게 아첨을 잘해야만 출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작품속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은 위선으로 가득찬 인물로 묘사되고 있다. 물론 Julien 도 위선적인 인물로 묘사되고 있으나 Julien 의 위선은 다른 사람과는 다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죽음에 임박해서도 위선의 탈을 벗지 못하는 자신을 원망하고 있다.
Parlant seul avec moi-meme a deux pas de la mort,
je suis encore hypocrite... O dix-neuvieme siecle! (R.N. p.692)
Julien 이 위선을 행하는 것은 그의 본성 때문이 아니라 하나의 생존을 위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출세를 갈망하면서도 출세의 비결을 따르지 못 한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그의 영웅주의를 들 수 있겠다. 그는 나폴레옹을 모델로 따르는 사람이다. 따라서 나폴레옹의 영웅주의가 그를 지배했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의 야망의 이면에 숨어있는 정신적 고귀성이라는 또하나의 욕망이 이를 방해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결국 Julien은 사회적 출세를 위해서는 사회의 메커니즘을 잘 따라야 했고 그도 이를 잘 알고 있었으나 정신적 고귀성이라는 형이상학적 욕망 때문에 이를 따를 수 없었고 결국 그것이 그의 추락의 근본적인 원인이 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Ⅴ.결 론
지금까지 Julien 의 야망의 본질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결국 Julien 은 단순한 사회적 성공뿐만 아니라 정신적 고귀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의 몰락 또한 그가 지닌 정신적 고귀성 때문이었다.Julien 은 Renal 부인을 저격함으로써 자신이 추구하는 것이 더러운 출세가 아니었음을 세상에 보여준 것이며 그가 세속적 출세의 비결을 알면서도 이를 따르지 않았던 것도 그의 정신적 고귀성이 그것을 방해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결국 Julien 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던 것은 행복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가 사회적 성공을 통하여 행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데서 그의 비극이 시작 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정신적 고귀성이라는 것이 사회적 성공을 통해서만 얻어지는 것이 아니고 불합리한 사회일수록 정신적 고귀성과 사회적 성공은 상충되는 면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Julien 은 혼란의 시기. 타락한 시기에 양자를 동시에 추구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갈등을 겪게되고 최후에는 사회적 성공에 대한 야망보다 정신적 고귀성을 지키려는 욕구가 강해서 비극적 결말을 맞이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참고 문헌>
1."적과 흑"을 통해본 Stendhal 의 에고티즘 연구 -이동렬 1971-
2.Stendhal: Le Rouge et le Noir
3.Castex: "Le Rouge et le Noir" de Stendhal 1970
4.Blum: Stendhal et le Beylisme
5.Barthes: Essais critiques.
Quel pere voudrait donner sa fille cherie
a un tel homme ! A dieu!(R.N. p.644)
결국 그의 저격 사건은 그의 피할 수 없는 절대적인 의무였다. 이 점은 단순한 출세주의자에게서는 발견할 수 없는 것일 뿐 아니라 그가 추구하는 것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실현시킨 사회적 성공만이 아닌 또 다른 무엇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것은 곧 Julien 이 추구하는 정신적인 고귀성과 영혼의 위대성일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Julien의 사회적 추락의 근본적인 원인을 분석해 봄으로써 보다 뚜렷이 나타날 것으로 보인다.
B.간접적 원인
Julien 의 사회적 추락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고 있는 Renal 부인의 저격 사건의 전말을 밝힘으로써 Julien이 단순한 사회적 출세만을 추구하는 사람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그의 사회적 상향의지의 좌절에는 보다 근본적인 원인이 있음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Julien 은 사회적 상향의지를 실현시키려면 반드시 따라야만 되는 당대의 출세비결을 잘 알면서도 따르지 못했던 것이다. 이러한 비결은 사회의 정치 사회적 메커니즘을 말하는 것으로 이는 작품 속에서 많은 예를 찾아 볼 수 있다.
Julien 은 자신의 개인적인 능력을 과신하고 이에 합당한 권리를 줄 것을 사회에 요구하고 있다. 즉 평등을 주장하는 것이다. 그러나 당대 사회는 왕정 복고 라는 특수한 상황에 처해 있었으므로 재능이 출세의 필요 조건은 될 수있을지라도 충분조건은 될 수 없었다. 이 점은 다음 예문에서 볼 수 있다.
... est-ce qu il voudrait arriver a la prefecture par la genie? Il etale ce front chauve qu il dit remplie de hautes pensees. (R.N. p.460)
따라서 그가 아무리 재능이 많을지라도 개인이 사회를 바꿀 수는 없는 것이고 사회에서 출세하려면 정해져 있는 놀음에 복종했어야 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당대 사회는 정당이 승리하면 그 정당에 가입한 자들이 출세하는 사회가 되고 있었다. 그러나 Julien은 정당에 가입할 생각을 하지 않고 오히려 가는 곳마다 무수한 강적을 만들고 있다. 이것은 Julien의 고귀한 영혼이 그를 오만한 사람으로 보이게 한데서 연유한 것이라 생각된다. 이 점을 Pirard 사제는 다음과 같이 지적하고 있다.
Je vois en toi quelque chose qui offense le vulgaire.
La jalousie et la calomnie te poursuivront. (R.N. p.403)
또한 당대 사회는 지배권이 혈통이 좋은 자들로부터 서서히 경제력을 가진 자들로 이행하는 사회였다. 그러나 Julien은 이점을 잘 인식하지 못하고 있으며 혈통의 비천함으로 인한 열등의식에만 사로잡혀 경제력의 중요성을 간과하고 있다. 그는 5프랑에 양심을 파는 인물이나 수입이 많고 적은가에 따라서만 사제직을 판단하는 신학생들을 경멸한다. Julien 이 따를 수 없었던 또하나의 출세비결은 위선과 간계에 능하고 세력가에게 아첨을 잘해야만 출세할 수 있다는 것이다. 작품속에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은 위선으로 가득찬 인물로 묘사되고 있다. 물론 Julien 도 위선적인 인물로 묘사되고 있으나 Julien 의 위선은 다른 사람과는 다른 것이라 할 수 있다. 그는 죽음에 임박해서도 위선의 탈을 벗지 못하는 자신을 원망하고 있다.
Parlant seul avec moi-meme a deux pas de la mort,
je suis encore hypocrite... O dix-neuvieme siecle! (R.N. p.692)
Julien 이 위선을 행하는 것은 그의 본성 때문이 아니라 하나의 생존을 위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면 출세를 갈망하면서도 출세의 비결을 따르지 못 한 이유는 무엇일까? 우선 그의 영웅주의를 들 수 있겠다. 그는 나폴레옹을 모델로 따르는 사람이다. 따라서 나폴레옹의 영웅주의가 그를 지배했을 것임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무엇보다도 그의 야망의 이면에 숨어있는 정신적 고귀성이라는 또하나의 욕망이 이를 방해하였기 때문일 것이다. 결국 Julien은 사회적 출세를 위해서는 사회의 메커니즘을 잘 따라야 했고 그도 이를 잘 알고 있었으나 정신적 고귀성이라는 형이상학적 욕망 때문에 이를 따를 수 없었고 결국 그것이 그의 추락의 근본적인 원인이 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Ⅴ.결 론
지금까지 Julien 의 야망의 본질에 대하여 언급하였다. 결국 Julien 은 단순한 사회적 성공뿐만 아니라 정신적 고귀성을 동시에 추구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의 몰락 또한 그가 지닌 정신적 고귀성 때문이었다.Julien 은 Renal 부인을 저격함으로써 자신이 추구하는 것이 더러운 출세가 아니었음을 세상에 보여준 것이며 그가 세속적 출세의 비결을 알면서도 이를 따르지 않았던 것도 그의 정신적 고귀성이 그것을 방해했기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결국 Julien 이 궁극적으로 추구하고 있던 것은 행복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가 사회적 성공을 통하여 행복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데서 그의 비극이 시작 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정신적 고귀성이라는 것이 사회적 성공을 통해서만 얻어지는 것이 아니고 불합리한 사회일수록 정신적 고귀성과 사회적 성공은 상충되는 면이 많은데도 불구하고 Julien 은 혼란의 시기. 타락한 시기에 양자를 동시에 추구하려고 하였기 때문에 갈등을 겪게되고 최후에는 사회적 성공에 대한 야망보다 정신적 고귀성을 지키려는 욕구가 강해서 비극적 결말을 맞이하게 된 것이라 할 수 있겠다.
<참고 문헌>
1."적과 흑"을 통해본 Stendhal 의 에고티즘 연구 -이동렬 1971-
2.Stendhal: Le Rouge et le Noir
3.Castex: "Le Rouge et le Noir" de Stendhal 1970
4.Blum: Stendhal et le Beylisme
5.Barthes: Essais critiqu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