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직종의 성별 분절
2. 여성업?여성직에 대한 차별적 대우
Ⅲ. 결론
Ⅱ. 본론
1. 직종의 성별 분절
2. 여성업?여성직에 대한 차별적 대우
Ⅲ. 결론
본문내용
의 차별적 적용은 성별간의 엄격한 업무 분담에 의해 정당화된다. 즉 男女에게 동일노동을 시키지 않기 때문에 동일賃金을 지급하지 않는 것을 정당화하게 된다. 따라서 女性이 집중적으로 몰린 여성업·여성직에 대한 임금수준을 전반적으로 낮춤으로써 賃金에서의 남녀차이를 正當化하게 된다.
노동부의 1988년 賃金실태조사보고서에 의하면, 10인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노동자 중 여자는 남자의 52%의 賃金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성별 賃金격차는 학력을 통제하여 동일학력의 男女를 비교해도 크게 줄어들지 않는다. 더구나 성별 賃金격차는 女性들이 가장 많이 고용되어 있는 중졸 이하의 학력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다. 사무직의 경우는 경력이 높을수록 賃金격차가 줄어들고 있지만 생산직의 경우는 경력이 쌓일수록 男女간의 賃金격차는 더 커진다. 즉, 女性들이 집중적으로 종사하고 있는 소위 女性職의 경우 성별간의 賃金격차가 더 큰 것으로 알 수 있다. 1986년에 혼성직 남성직 賃金의 76%, 女性職 賃金은 남성직 賃金의 55%인 것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
연도별, 성별 임금격차
90년
91년
92년
93년
94년
95년
53.5
54.5
55.9
56.7
58.4
59.4
여 자
남 자
월평균임금
823.143원 / 59.6%
1.381.770원 / 100%
월급여액(정액급여+초과급여)
628.275원 / 59.6%
1.049.646원 / 100%
Ⅲ. 結論
男女고용불평등의 원인은 한국사회의 뿌리깊은 성차별 구조와 성차별 理念, 정규교육과정의 성차별 敎育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많이 補完되고 있긴하지만 여전히 핵심적인 개정요구안은 배제되어 있는 졸소적인 법을 制定, 改定하고 형식적인 행정지도에서 자율점검적 행정지도로 변환하여 각 사업장에서 自律的으로 고용차별규정제도등을 자율 개선토록 지도해야할 것이다.
상당수의 勞動組合에서 不平等에 대한 목적의식적인 해결노력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스스로 한국사회 성차별 理念과 구조를 인식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선도적인 여성간부의 헌신적인 노력과 노동조합운동이 더욱 더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나열한 勞力들이 잘 이루어진다면 남녀 고용평등 뿐 아니라 사회全般的인 남녀 평등의식은 韓國社會에서 천천히 자리잡아가고 진정한 男女平等時代가 올 것이라고 믿는다.
REPORT
경제영역에서의 불평등한 한국여성의 현실
제목 : 사회노동에서의 남녀고용불평등
노동부의 1988년 賃金실태조사보고서에 의하면, 10인 이상을 고용하고 있는 사업체에 종사하고 있는 노동자 중 여자는 남자의 52%의 賃金을 받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성별 賃金격차는 학력을 통제하여 동일학력의 男女를 비교해도 크게 줄어들지 않는다. 더구나 성별 賃金격차는 女性들이 가장 많이 고용되어 있는 중졸 이하의 학력집단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다. 사무직의 경우는 경력이 높을수록 賃金격차가 줄어들고 있지만 생산직의 경우는 경력이 쌓일수록 男女간의 賃金격차는 더 커진다. 즉, 女性들이 집중적으로 종사하고 있는 소위 女性職의 경우 성별간의 賃金격차가 더 큰 것으로 알 수 있다. 1986년에 혼성직 남성직 賃金의 76%, 女性職 賃金은 남성직 賃金의 55%인 것으로 연구결과 나타났다.
연도별, 성별 임금격차
90년
91년
92년
93년
94년
95년
53.5
54.5
55.9
56.7
58.4
59.4
여 자
남 자
월평균임금
823.143원 / 59.6%
1.381.770원 / 100%
월급여액(정액급여+초과급여)
628.275원 / 59.6%
1.049.646원 / 100%
Ⅲ. 結論
男女고용불평등의 원인은 한국사회의 뿌리깊은 성차별 구조와 성차별 理念, 정규교육과정의 성차별 敎育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많이 補完되고 있긴하지만 여전히 핵심적인 개정요구안은 배제되어 있는 졸소적인 법을 制定, 改定하고 형식적인 행정지도에서 자율점검적 행정지도로 변환하여 각 사업장에서 自律的으로 고용차별규정제도등을 자율 개선토록 지도해야할 것이다.
상당수의 勞動組合에서 不平等에 대한 목적의식적인 해결노력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스스로 한국사회 성차별 理念과 구조를 인식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선도적인 여성간부의 헌신적인 노력과 노동조합운동이 더욱 더 활성화되어야 할 것이다.
위에서 나열한 勞力들이 잘 이루어진다면 남녀 고용평등 뿐 아니라 사회全般的인 남녀 평등의식은 韓國社會에서 천천히 자리잡아가고 진정한 男女平等時代가 올 것이라고 믿는다.
REPORT
경제영역에서의 불평등한 한국여성의 현실
제목 : 사회노동에서의 남녀고용불평등
추천자료
'성차별'에 관한 사회과학이론과 이론의 비판
직장 재 성차별
[여성차별]여성차별(남녀차별)의 의미와 유형, 여성차별(남녀차별)에 대한 학문적 견해와 관...
성차별 문화와 기독교교육적 대처방안
[여성차별] 직장에서의 여성차별에 대한 대책방안
직장내 성차별
성차별 문제의 원인과 실태분석 및 해결방안(A+레포트)
[성차별] 성차별의 대책방안 및 사례
[사회문제론] 성차별과 사회문제
성차별의 배경, 정의, 역사, 관점, 성차별 요소, 현대 성차별 인식, 설문조사, 문제점, 해결...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교원, 양성평등(남녀평등)과 교육, 양성평등(남녀평등)과 성교육, 양성...
[성사랑사회A형] 참고도서가다루고있는사람들삶과나의삶을함께참고하여 우리사회에서 성적 차...
[성불평등 해소 방안] 성(性) 불평등(차별)의 현황과 성불평등(성차별) 종류와 사례, 성불평...
2015년 2학기 성사랑사회 중간시험과제물 B형(일상 속에서 여성이 겪게 되는 차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