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에 대한 상위평가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제1절 서 론

제2절 탈춤페스티벌에 대한 상위평가
제2절-1. 투입요소에 대한 평가
1. 평가자의 자질
2. 평가예산
3. 평가자료
제2절-2. 평가과정에 대한 평가
1. 평가방법상의 절차
2. 평가보고서
제2절-3. 평가효과에 대한 평가

제3절 결론

본문내용

있다고 하였다.
안동시청 문화체육관광과에 근무하고 있는 이 사람은 이 평가보고서의 주요 이용자라 할 수 있다. 그런 측면에서 이 평가보고서를 적극적으로 활용한다는 것은 평가보고서가 이를 이용하는 사람들의 요구를 충분히 충족시켜준다고 볼 수 있다.
<적시성>
적시성은 평가보고서의 제출시기가 적절했느냐와 관계된 것이다. 그러나 평가보고서의 제출시기는 위에서 언급한 내용이므로 넘어가기로 한다.
<평가연구방법의 질>
평가연구방법의 질이 평가결과의 활용도와 많은 관련이 없지만, 평가보고서가 활용되기를 기대한다면 평가방법의 질이 훌륭해야 함은 필요한 조건이다. 이 항목 또한 위에서 언급한 것이므로 넘어가기로 한다.
<의사소통>
의사소통이란 평가자와 평가결과 이용자 사이의 의사전달과정을 의미하는데, 의사소통의 빈도나 직접성, 평가보고서의 용이성과 관련된다. 그런 측면에서 안동시청 문화체육관광과의 실무자는 탈춤평가보고서가 만들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다른 추진위원이나 다른 교수님들과 실무자가 많은 간담회와 토론을 하고 이 과정을 통해 보고서가 나오게 된다고 했다. 그렇기 때문에 의사소통의 빈도나 직접성은 충분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평가보고서에는 많은 표를 사용함으로써 보고서를 보는 사람들의 이해도를 높였고 내용 면에서도 누구나 쉽게 알 수 있도록 쉽게 쓰여져 있다.
<개인적인 요인>
개인적인 요인은 평가결과의 활용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라 할 수 있다. 개인적 요인에는 이용자의 지도력·관심·열의·결의·적극성·호의 등이 있다. 이것은 이용자가 평가작업에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있으며 이 작업을 지지하며 그 결과를 다음에 얼마나 활용할 것인가 하는 문제이다. 탈춤페스티벌의 연구결과보고서는 많은 부분에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탈춤페스티벌의 추진에 있어서 수족의 노릇을 하는 사무국에 한 직원의 말에 따르면 그는 평가보고서를 제대로 읽어보지도 않았으며 단지 사무국장님만이 그 보고서를 봤을 거라고 했다. 이것은 탈춤페스티벌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사무국에서조차 보고서에 별로 관심이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안동시청의 문화체육관광과에 있는 실무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서는 평가보고서를 충분히 활용해서 다음 사업을 진행하는데 있어 참고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개인적인 요인에 관해서는 탈춤페스티벌에 있어 자기가 맡고 있는 업무나 개인적 성격, 책임감등으로 인해서 활용도의 여부가 차이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제 3절 결 론
지금까지 "2001탈춤페스티벌"의 평가보고서를 평가해 본 결과 우리조원의 생각을 요약하면 평가투입요소에서 평가자의 자질 면에서는 평가위원장은 지역사회문제에 관심도가 높고 많은 평가경험이 있는 사람을 평가자로 선정했으며, 그 외 평가원들은 지역사회와 축제에 관심이 있고 탈춤에 대한 지식도 있으나 평가에 필요한 지식이 약간 부족하다고 생각된다. 예산 면에서는 평가를 하는데 있어서 충분하지 못하였지만,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애정이 있었기에 가능했다고 생각된다. 평가자료의 면에서는 많은 자료를 요하지 않는 평가의 특성으로 인해 경제적 효과분석을 위해 사용한 산업연관표를 제외하고는 거의 평가자들의 개인적인 역량을 많이 활용한 것으로 생각된다.
평가과정에 대한 평가는 방법상의 절차에서는 설문지를 이용한 자료수집 방법을 사용하였고, 표본추출에는 무작위표본추출과 할당표본추출을 사용하였고, 분석방법에는 SPSS를 사용하였다. 이는 전반적으로 객관적인 방법을 사용하였으므로 어느 정도 타당하다고 볼 수 있다. 평가보고서의 측면에서 제출시기는 평가보고서가 나오기까지 간담회나 토론 등의 많은 절차를 거쳐야 함에도 불구하고 한달 이라는 제출기간은 너무 촉박하다고 생각된다. 명료성측면에서는 보고서에서 많은 그림이나 표를 사용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명료하다고 할 수 있고 이용자 측면에서도 이해하기 쉽게 쓰여져 있다고 하였으므로 전체적으로 봤을 때 명료하다고 할 수 있다. 결론의 타당성 측면에서는 전문가가 지역경제에 미친 효과와 증대방안, 축제의 잘된 점과 개선할 점 그리고 앞으로의 발전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어느 정도 타당하다고 보아진다.
평가효과에 대한 평가에서는 평가가 미친 영향에 대한 요인들을 분석해 본 결과 대체적으로 모든 요인들에 있어서 만족한 수준으로 평가되고 있고, 따라서 평가의 결과가 이용자들에게 충분히 활용되고 있다고 판단된다.
축제평가의 원칙은 일면적이지 않고 입체적으로, 종합적이면서도 개별적으로, 개별적이면서도 상호교차적인 원칙들이 마련되어야 한다. 문제는 서로 성격이 다른 축제를 개별적 특성에 따라 평가하면서 동시에 모든 개별 축제들에 대한 종합적인 평가 틀을 어떻게 마련하는가에 있다. 말하자면 평가의 기본원칙은 축제의 내용에 따라 분류하여 평가의 틀을 범주화하면서, 동시에 개별 축제에 공통적으로 들어갈 평가항목들을 만들고, 이를 종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보면 축제기획에 대한 타당성 평가, 축제의 예산에 대한 평가, 축제 준비과정에 대한 평가, 축제 시행과정에 대한 평가축제의 지역문화발전에 대한 기여정도와 파급효과 등의 원칙 하에서 평가의 객관성 있게 잘 평가됐다고 본다.
현재의 평가보고서는 이름 그대로 축제를 평가하여 잘된 점과 개선할 점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 축제는 안동시에서 개최되는 가장 큰 문화행사일 뿐만 아니라 오래 지속될 축제이므로 축제와 관련된 자료를 보관하고 모든 행사의 내용을 상세히 기록하여 역사적 자료로 보존하는 것도 중요하다. 내년이면 벌써 7회 째를 맞는 만큼 자료가 없어지거나 관련 인사들의 기억이 희미해지기 전에 평가보고서와는 별도로 종합보고서를 작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참고자료】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추진위원회, 1등 축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 영남사(2002)
☞안동대학교안동지역사회개발연구소,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01조사연구, 안동지역사회개발연구소(2001)
☞김명수, 공공정책평가론, 박영사(1998)
☞http://www.maskdance.com
☞탈춤페스티벌 평가위원장 이희재교수님 인터뷰
☞안동시청 문화체육관광과 문화예술담당자 인터뷰
☞탈춤페스티벌추진위원회 소속 사무국직원 인터뷰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98페이지
  • 등록일2003.03.05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3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