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단군신화 고찰
본문내용
관련하여 단군을 신앙의 대상으로 삼아 종교로 발전한 것이 대종교(大倧敎)이다. 대종교는 1909년(융희 3) 나철(羅喆)을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대종교에서 단군의 탄생일을 기념하는 행사이던 개천절(開天節)을 8·15해방 후 정부가 정식으로 국경일로 지정했다. 1945년 대한민국정부 수립과 동시에 법령으로 공포되어 사용되던 단기(檀紀)는 고려말 우왕(禑王)의 사부였던 백문보(白文寶)가 사용한 예에서 처음 보인다. 요즘의 단기는 조선시대의 사서 〈동국통감 東國通鑑〉에서 고조선의 건국을 요 즉위 25년 무진년으로 본 것에 근거하여, 단군 원년을 BC 2333년으로 정한 것이다. 5·16군사정변으로 군사정부가 집권한 뒤인 1962년 1월 1일부터 단기 사용을 중지시키고 공식적으로는 서기(西紀)만을 쓰고 있다.
추천자료
(한국신화)신화란 무엇인가?
우리나라 모든 건국신화 상세정리.. (창세신화)
한국의 신화를 읽고 - 여러 신화의 분석과 감상
신화에 대한 정리자료
신화 네 가지
신화에서 보여지는 남자와 여자의 관계와 부자(父子) 관계 중심
신화주인공들의 삶과 영웅의 일생
주몽신화의 실상과 이해
[주몽, 동명성왕 고주몽, 주몽 탄생, 주몽신화, 고구려, 유리왕]주몽(동명성왕 고주몽)의 탄...
[작품해석][작품][해석][여류시조][금오신화][고려가요 가시리][청산별곡][시인 홍희표]여류...
<전통 신화의 서사구조 및 현대 신화의 양상과 구조>
고조선, 고구려, 신라, 가야, 탐라 등 한국의 건국신화 가운데 하나를 선택하고 이를 다른 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