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용어와 매춘의 역사
1-1. 성 상품화
1-2. 매춘
1-3. 매춘의 역사
1-4. 우리나라 매매춘의 역사
1-5.여성의 성 상품화의 경향에 대하여
2. 매매춘(Prostitution 賣買春)을 어떻게 볼 것인가?
3. 매매춘 문제에 있어서의 논쟁점
4.우리사회의 매매춘 실태
4-1.남성들의 매매춘에 대한 태도
4-2. 매매춘에 종사하는 여성의 실태
4-3.향락산업의 급팽창 원인( 향락산업↑ --매매춘↑)
4-4. 매춘의 유형
4-5. 매춘여성의 의식
5.한국 윤락여성(매춘여성)의 실태와 문제점
5-1.윤락여성이란?
5-2. 윤락여성들이 당면하고 있는 다양한 측면의 문제점
6. 매매춘 문제에 대한 다양한 입장과 시각
6-1.법제도: 금지주의와 규제주의, 합법화
6-2.국제적 기준
6-3.여성운동의 입장
7. 사회문화의 코드에서 보여지는 성 상품화에 논란
7-1. 스포츠 경기에 일어난 논란 : `테니스 짧은치마 편해서 입어요`
7-2.광고 속의 성상품화
7-3.우리나라 광고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여성상
7-4.광고에서의 에로티시즘
8. 매매춘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
9. 결론을 대신하여
9-1.현재의 정책
9-2.올바른 성문화
9-3.매매춘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
9-4.앞으로의 과제
1-1. 성 상품화
1-2. 매춘
1-3. 매춘의 역사
1-4. 우리나라 매매춘의 역사
1-5.여성의 성 상품화의 경향에 대하여
2. 매매춘(Prostitution 賣買春)을 어떻게 볼 것인가?
3. 매매춘 문제에 있어서의 논쟁점
4.우리사회의 매매춘 실태
4-1.남성들의 매매춘에 대한 태도
4-2. 매매춘에 종사하는 여성의 실태
4-3.향락산업의 급팽창 원인( 향락산업↑ --매매춘↑)
4-4. 매춘의 유형
4-5. 매춘여성의 의식
5.한국 윤락여성(매춘여성)의 실태와 문제점
5-1.윤락여성이란?
5-2. 윤락여성들이 당면하고 있는 다양한 측면의 문제점
6. 매매춘 문제에 대한 다양한 입장과 시각
6-1.법제도: 금지주의와 규제주의, 합법화
6-2.국제적 기준
6-3.여성운동의 입장
7. 사회문화의 코드에서 보여지는 성 상품화에 논란
7-1. 스포츠 경기에 일어난 논란 : `테니스 짧은치마 편해서 입어요`
7-2.광고 속의 성상품화
7-3.우리나라 광고에 나타나는 일반적인 여성상
7-4.광고에서의 에로티시즘
8. 매매춘의 정당성에 대한 논란
9. 결론을 대신하여
9-1.현재의 정책
9-2.올바른 성문화
9-3.매매춘문제의 해결을 위한 방안
9-4.앞으로의 과제
본문내용
을 모으기 전까지는 매춘을 그만두려는 생각은 안하리라는 것을 쉽게 추측할 수 있다. 사실상 아무 기술이나 능력이 없이 높은 수입을 올릴 수 있을 때, 일단 매춘생활에 들어가게 되면 쉽게 나오지 못하게 된다.
그러나 자립할 수 있는 돈을 모았더라도 매춘을 청산하고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 경우 그것이 성공하리라는 보장은 없다. 실제로 룸살롱의 호스티스나 마담의 경우 돈을 모아 옷가게를 하거나 가락국수장사를 한 경우도 있었지만, 사업에 실패하거나 너무 일이 힘들어서 포기하고 다시 매춘으로 복귀한 경우도 있다.(Shin, 1991).
따라서 매매춘문제에 대한 가장 최선의 대책은 어떻게 하면 매춘으로 유입되는 처음의 경로를 차단할 것인가에 있다. 특히 매춘여성의 절대 다수가 일단 가출을 한 후 매춘을 하게 되므로 가출의 요인을 방지하는데 최대의 역점을 두어야 한다고 본다. 즉 가정 내에서의 불화나 성폭행등 학대를 제거할 수 있는 방안, 그리고 모자가정, 여성세대주 등에 대한 생계비지원을 확대하여 가출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가정복지국의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가출소녀나 성인여성들이 매춘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극적으로 유도하여 올바른 교육을 시킬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하여 매춘여성을 위한 직업보도시설을 가출소녀, 성인여성들을 위한 시설로 전환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매춘여성들을 위해서는 건강관리와 상담, 돈을 잘 관리할 수 있는 생활훈련등이 오히려 더 필요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한국여성개발원의 연구에서는 매춘을 방지하고 매춘여성들의 사회복귀를 위해 정책대상자를 세 집단으로 분류하여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매춘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일반집단으로 가출청소녀, 성폭력 피해자, 미혼모, 결손가정 자녀, 빈곤여성, 결혼파경 여성등을 상정하고 이들에 대한 긴급전화, 상담서비스, 성교육, 의식향상 프로그램등을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특히 매춘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유흥업소 종사여성, 음식, 숙박업소 종사여성들을 위험집단으로 상정하고, 이들을 위해서는 앞의 일반집단에게 하는 서비스에 덧붙여 현장지원 서비스와 일시보호 및 생애전환 서비스, 직업훈련, 약물 및 알콜 개입 서비스 등을 추가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매춘에 종사하고 있는 여성들을 위해서는 개인 보건 서비스와 탁아서비스를 추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지원을 하는 목표를 "여성 힘의 증강(women empowerment)"으로 삼았다.
그런데 여성의 힘을 증강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힘을 약화시키는 유해환경의 정화도 동시에 필요하다. 즉 여성의 상품화를 조장하는 그릇된 성문화를 바로 잡는일, 여성의 경제적 자립을 저해하는 성차별 등을 개선하는 일이 같이 진행되어야 한다.
9-4.앞으로의 과제
위와 같은 정책제안은 정말로 매매춘 문제의 해결을 위해 꼭 필요한 제안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사회복귀방안을 제시해봐야 그것이 실시되도록 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그리고 나의 제안은 위의 정책제안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여성운동의 몫이고 이를 위하여 지금부터 노력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즉 여성계의 힘을 모아 위와 같은 좋은 제안들 중에서 우선 가능한 것부터 시작하는 것, 그리고 이를 정부가 실행하도록 여론형성작업을 하는 일이다.
사실 한국의 여성운동은 지금까지 많은 것을 이루어냈고 세계에 자랑할 만할 정도로 저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많은 여성관련 법들을 제정해 냈고, 여성의 차별적인 위치를 바꾸기 위한 노력을 부단히 해 왔다. 그러나 매매춘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문제의 심각성과 어려움 때문에 이에 뛰어들 용기를 별로 내지 못하고, 열성적인 일부 활동가들의 운동에 의존해 왔다. 매매춘 문제의 해결을 여성운동의 주요과제의 하나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가부장적 성문화는 자본주의와 결탁하여 성의 상품화를 창출하였다. 남성의 눈에 비친 여성은 이중적인 성규범에 따른 극단적인 여성상(순결한 여성-매춘부 여성)뿐이다. 성적 주도권이 남성에게는 적극성을 여성에게는 수동성과 순종성을 정당화시켰다. 대학생들의 성의식에 대한 연구의 조사 분석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성에 대한 개념을 단지 성행위로만 보는 경향이 높았으며 성욕의 자제에서도 상황에 따라 자제여부가 달라진다고 하였다. 이 모두가 성에 대한 사회통념적인 사항을 그대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주로 여성에 게 성은 잘못하면 피해를 입는 불쾌하고 부정적인 것이지만 멋진 남자의 일방적인 사랑으로 결혼을 하면 긍정적이 되는 이중성을 지니게 되는데 주체성이 결여된 여성은 이러한 이중성을 내면화하여 성을 은폐하게 된다. 우리사회는 성체계의 이중구조, 여성과 남성에게 적용되는 가부장적 성규범으로 인해 여성에게는 은폐된 성을, 남성에게는 과장된 성의 가치관을 제공한다. 이런 잘못된 성의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올바른 성교육의 제공과 우리의 삶에 주체적인 역할자가 되어야 할것이며 자본주의에 편승한 성상품화와 가부장적 사회구조 에 의한 성이분화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의식과 부단한 개혁의지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김미경, '매춘'을 통해서 본 성통제 구조 일고찰;,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논문, 1987
박종성, 정치권력과 매매춘, 『성, 권력, 정치』, 1995
조형, 장필화, 매매춘에 대하여, 한국여성학 논집, 제 7집, 1990
하은경,『그러나 매춘은 없다 : 젊은 여성학도가 쓴 성문화 에세이, 새길, 1994
백승목, 인간과 매춘
공미혜, 은폐된 성 과장된 성 : 여성문제연구소 여성논집(4)
한겨레 21, 1994. 4. 7.일자
인터넷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2121900000034055&s=295,458&e=430,556
http://www.booksori.or.kr/politics/s014404.html
http://chunma.yu.ac.kr/%7Em0012036/2-1.html
http://www.we-ok.or.kr/technote/read.cgi?board=sung09&y_number=60&nnew=2
그러나 자립할 수 있는 돈을 모았더라도 매춘을 청산하고 새로운 사업을 시작할 경우 그것이 성공하리라는 보장은 없다. 실제로 룸살롱의 호스티스나 마담의 경우 돈을 모아 옷가게를 하거나 가락국수장사를 한 경우도 있었지만, 사업에 실패하거나 너무 일이 힘들어서 포기하고 다시 매춘으로 복귀한 경우도 있다.(Shin, 1991).
따라서 매매춘문제에 대한 가장 최선의 대책은 어떻게 하면 매춘으로 유입되는 처음의 경로를 차단할 것인가에 있다. 특히 매춘여성의 절대 다수가 일단 가출을 한 후 매춘을 하게 되므로 가출의 요인을 방지하는데 최대의 역점을 두어야 한다고 본다. 즉 가정 내에서의 불화나 성폭행등 학대를 제거할 수 있는 방안, 그리고 모자가정, 여성세대주 등에 대한 생계비지원을 확대하여 가출을 방지하는 방향으로 가정복지국의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가출소녀나 성인여성들이 매춘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는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적극적으로 유도하여 올바른 교육을 시킬 수 있는 대책을 수립하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를 위하여 매춘여성을 위한 직업보도시설을 가출소녀, 성인여성들을 위한 시설로 전환해야 한다고 본다. 그리고 매춘여성들을 위해서는 건강관리와 상담, 돈을 잘 관리할 수 있는 생활훈련등이 오히려 더 필요한 것이 아닐까 생각한다.
한국여성개발원의 연구에서는 매춘을 방지하고 매춘여성들의 사회복귀를 위해 정책대상자를 세 집단으로 분류하여 대책을 제시하고 있다. 먼저 매춘의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일반집단으로 가출청소녀, 성폭력 피해자, 미혼모, 결손가정 자녀, 빈곤여성, 결혼파경 여성등을 상정하고 이들에 대한 긴급전화, 상담서비스, 성교육, 의식향상 프로그램등을 제시하고 있다. 다음으로 특히 매춘에 노출될 위험이 있는 유흥업소 종사여성, 음식, 숙박업소 종사여성들을 위험집단으로 상정하고, 이들을 위해서는 앞의 일반집단에게 하는 서비스에 덧붙여 현장지원 서비스와 일시보호 및 생애전환 서비스, 직업훈련, 약물 및 알콜 개입 서비스 등을 추가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현재 매춘에 종사하고 있는 여성들을 위해서는 개인 보건 서비스와 탁아서비스를 추가하여 제안하고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지원을 하는 목표를 "여성 힘의 증강(women empowerment)"으로 삼았다.
그런데 여성의 힘을 증강하기 위해서는 여성의 힘을 약화시키는 유해환경의 정화도 동시에 필요하다. 즉 여성의 상품화를 조장하는 그릇된 성문화를 바로 잡는일, 여성의 경제적 자립을 저해하는 성차별 등을 개선하는 일이 같이 진행되어야 한다.
9-4.앞으로의 과제
위와 같은 정책제안은 정말로 매매춘 문제의 해결을 위해 꼭 필요한 제안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아무리 좋은 사회복귀방안을 제시해봐야 그것이 실시되도록 하지 않으면 아무 소용이 없다. 그리고 나의 제안은 위의 정책제안이 실행되도록 하는 것이 여성운동의 몫이고 이를 위하여 지금부터 노력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즉 여성계의 힘을 모아 위와 같은 좋은 제안들 중에서 우선 가능한 것부터 시작하는 것, 그리고 이를 정부가 실행하도록 여론형성작업을 하는 일이다.
사실 한국의 여성운동은 지금까지 많은 것을 이루어냈고 세계에 자랑할 만할 정도로 저력이 있다고 생각한다. 많은 여성관련 법들을 제정해 냈고, 여성의 차별적인 위치를 바꾸기 위한 노력을 부단히 해 왔다. 그러나 매매춘 문제에 대해서는 지금까지 문제의 심각성과 어려움 때문에 이에 뛰어들 용기를 별로 내지 못하고, 열성적인 일부 활동가들의 운동에 의존해 왔다. 매매춘 문제의 해결을 여성운동의 주요과제의 하나로 삼을 것을 제안한다.
가부장적 성문화는 자본주의와 결탁하여 성의 상품화를 창출하였다. 남성의 눈에 비친 여성은 이중적인 성규범에 따른 극단적인 여성상(순결한 여성-매춘부 여성)뿐이다. 성적 주도권이 남성에게는 적극성을 여성에게는 수동성과 순종성을 정당화시켰다. 대학생들의 성의식에 대한 연구의 조사 분석에서 남학생이 여학생에 비해, 성에 대한 개념을 단지 성행위로만 보는 경향이 높았으며 성욕의 자제에서도 상황에 따라 자제여부가 달라진다고 하였다. 이 모두가 성에 대한 사회통념적인 사항을 그대로 보여주는 사례이다. 주로 여성에 게 성은 잘못하면 피해를 입는 불쾌하고 부정적인 것이지만 멋진 남자의 일방적인 사랑으로 결혼을 하면 긍정적이 되는 이중성을 지니게 되는데 주체성이 결여된 여성은 이러한 이중성을 내면화하여 성을 은폐하게 된다. 우리사회는 성체계의 이중구조, 여성과 남성에게 적용되는 가부장적 성규범으로 인해 여성에게는 은폐된 성을, 남성에게는 과장된 성의 가치관을 제공한다. 이런 잘못된 성의식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올바른 성교육의 제공과 우리의 삶에 주체적인 역할자가 되어야 할것이며 자본주의에 편승한 성상품화와 가부장적 사회구조 에 의한 성이분화에서 탈피하고자 하는 의식과 부단한 개혁의지가 필요할 것으로 본다.
참고문헌
김미경, '매춘'을 통해서 본 성통제 구조 일고찰;, 이화여자 대학교 석사논문, 1987
박종성, 정치권력과 매매춘, 『성, 권력, 정치』, 1995
조형, 장필화, 매매춘에 대하여, 한국여성학 논집, 제 7집, 1990
하은경,『그러나 매춘은 없다 : 젊은 여성학도가 쓴 성문화 에세이, 새길, 1994
백승목, 인간과 매춘
공미혜, 은폐된 성 과장된 성 : 여성문제연구소 여성논집(4)
한겨레 21, 1994. 4. 7.일자
인터넷
http://news.naver.com/news_read.php?oldid=2002121900000034055&s=295,458&e=430,556
http://www.booksori.or.kr/politics/s014404.html
http://chunma.yu.ac.kr/%7Em0012036/2-1.html
http://www.we-ok.or.kr/technote/read.cgi?board=sung09&y_number=60&nnew=2
추천자료
미혼모 문제와 미혼모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성문제,사회문제)
성과 관련된 문제들-성기능장애, 성도착증, 성정체성장애
[유아 성교육][성교육][유아교육][유치원교육][성문제][성의식]성교육의 목표, 성교육의 중요...
청소년과 성(性) 성문제, 성매매, 성착취, 매춘, 윤락, 음란, 미혼모
[노인문제] 노년기 소득감소와 건강문제, 역할상실과 갈등문제, 노인학대와 성문제 - 노인학...
[성교육][성문제][성문화][성의식][성교육 기본방침][성교육 고려사항][성교육 지도방안]성교...
[★우수레포트★][장애인복지] 여성장애인과 성(性) - 여성장애인의 성문제의 실태와 차별문제 ...
청소년의성과_성문제,임신과 낙태 그리고 미혼모,성윤리,성교육의 문제 및 개선방안,성폭력,...
여성복지론 - 여성의 성과 성차별문제(성에 관한 개념들, 성차에 대한 관점들, 성차별문제)
교육학개론-성교육,성교육및사회문제,성윤리,성 미성숙,사회이슈ppt자료
청소년 이성교제와 성문제가 수반하는 문제점과 대책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시오 - 청...
청소년의 성(청소년성문제, 청소년성매매, 낙태, 미혼모, 청소년성문제해결방안, 성문화센터)...
장애인의결혼문제(장애인의성, 뇌성마비장애인성문제, 정신지체인의성문제, 장애인의성적권리...
[청소년복지] 청소년의 성문화와 성의식 변화 성문제에 대해서 논하세요. 바람직한 성문화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