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본론
산성비의 원인
인체에 미치는 영향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
하천 및 호수에 미치는 영향
산림에 미치는 영향
토양에 미치는 영향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
-결론
-참고 문헌-
-본론
산성비의 원인
인체에 미치는 영향
건축물에 미치는 영향
하천 및 호수에 미치는 영향
산림에 미치는 영향
토양에 미치는 영향
농작물에 미치는 영향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데 그 형태는 작물에 따라 다양하다.
비의 산성도에 대한 모용의 피해가 상이함은 각 작물의 산성도에 대한 내성차이도 있겠지만 엽맥에 빗물이 고임에 따른 산성비에 대한 노출시간 차이도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잎표면의 피해가 작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보고와 가시적 피해는 없어도 작물의 생육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는 보고 등으로 볼 때 산성비에 대한 농작물의 일반적인 피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많은 작물과 다양한 품종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약산성비에 의한 직접적인 작물의 피해는 발견할 수 없더라도 잎 표면조직의 피해로 인한 병원균이나 해충 등의 침입이 용이해짐에 따른 간접적인 피해가 우려된다.
결론
세계 제일의 석탄 생산국인 중국은 '91년 배출가스 총량이 101,000만 m3
이었으며, 아황산가스 배출량은 1,600만 톤으로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10배였다. 또한 도시의 연평균 아황산가스 오염도는 최고 0.12ppm으로 서울보다 3배 가량 높았다. 이러한 오염원의 주변에 놓인 우리나라로서는 산성비가 유럽이나 북미에 국한된 문제라고 말할 수 없는 일이며,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산성비의 원인은 대기오염 물질에 있으므로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은 첫째로 대기오염 물질 저감에 있을 것이다. 즉, 화석연료의 사용량 감소와 황 성분이 적게 함유된 기름을 공급하며, 완벽한 탈황시설 설치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절대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둘째로 작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산성비에 강한 품종이나 산성비의 빈도가 큰 시기에 내성이 큰 생육단계를 갖는 품종 등을 개발하는 일이며, 셋째로 석회나 백운석 등을 처리하여 pH를 조절하고 부족한 양분을 보충하는 일 등을 둘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 보았듯이 산성비는 오염원이 발생한 지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범세계적으로 함께 대처 해야할 문제이다. 따라서 우리도 세계 각국과 보조를 함께하여 이의 해결을 위한 노력과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o 산업환경신문. 1992. 7. 2.
o Kohno Yoshishisa (1989) :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growth of soybean.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43:11-19.
o 이종식, 김복영, 우기대. (1994) : 수원지역 강우의 성분조성과 작물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13(1):31-38
o 이종식, 김복영, 우기대, 정구복. (1993) : 인공산성비에 의한 참깨 잎 조직의 형태변 화에 관한 연구. 토양비료학회지 26(4)
o 이종식, 김복영, 최선, 이규승. (1995) : 인공산성비에 의한 농작물 잎의 조직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Ⅰ. 고추, 들깨 및 가지에 관하여. 환경농학회지 14(3)
o 이종식, 김복영, 정구복. (1996) : 인공산성비에 의한 농작물 잎의 조직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Ⅱ. 벼, 콩, 보리, 무에 관하여. 환경농학회지 15(1)
비의 산성도에 대한 모용의 피해가 상이함은 각 작물의 산성도에 대한 내성차이도 있겠지만 엽맥에 빗물이 고임에 따른 산성비에 대한 노출시간 차이도 있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잎표면의 피해가 작물 수량에 미치는 영향이 적다는 보고와 가시적 피해는 없어도 작물의 생육저하가 일어날 수 있다는 보고 등으로 볼 때 산성비에 대한 농작물의 일반적인 피해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많은 작물과 다양한 품종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약산성비에 의한 직접적인 작물의 피해는 발견할 수 없더라도 잎 표면조직의 피해로 인한 병원균이나 해충 등의 침입이 용이해짐에 따른 간접적인 피해가 우려된다.
결론
세계 제일의 석탄 생산국인 중국은 '91년 배출가스 총량이 101,000만 m3
이었으며, 아황산가스 배출량은 1,600만 톤으로 같은 기간 우리나라의 10배였다. 또한 도시의 연평균 아황산가스 오염도는 최고 0.12ppm으로 서울보다 3배 가량 높았다. 이러한 오염원의 주변에 놓인 우리나라로서는 산성비가 유럽이나 북미에 국한된 문제라고 말할 수 없는 일이며, 이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앞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산성비의 원인은 대기오염 물질에 있으므로 이에 대한 근본적인 대책은 첫째로 대기오염 물질 저감에 있을 것이다. 즉, 화석연료의 사용량 감소와 황 성분이 적게 함유된 기름을 공급하며, 완벽한 탈황시설 설치로 대기중으로 방출되는 오염물질의 절대량을 감소시키는 것이다. 둘째로 작물의 피해를 줄이기 위하여 산성비에 강한 품종이나 산성비의 빈도가 큰 시기에 내성이 큰 생육단계를 갖는 품종 등을 개발하는 일이며, 셋째로 석회나 백운석 등을 처리하여 pH를 조절하고 부족한 양분을 보충하는 일 등을 둘 수 있다.
지금까지 살펴 보았듯이 산성비는 오염원이 발생한 지역에만 국한되는 문제가 아니라 범세계적으로 함께 대처 해야할 문제이다. 따라서 우리도 세계 각국과 보조를 함께하여 이의 해결을 위한 노력과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o 산업환경신문. 1992. 7. 2.
o Kohno Yoshishisa (1989) : Effect of simulated acid rain on the growth of soybean. Water, Air, and Soil Pollution. 43:11-19.
o 이종식, 김복영, 우기대. (1994) : 수원지역 강우의 성분조성과 작물에 미치는 영향. 한국환경농학회지 13(1):31-38
o 이종식, 김복영, 우기대, 정구복. (1993) : 인공산성비에 의한 참깨 잎 조직의 형태변 화에 관한 연구. 토양비료학회지 26(4)
o 이종식, 김복영, 최선, 이규승. (1995) : 인공산성비에 의한 농작물 잎의 조직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Ⅰ. 고추, 들깨 및 가지에 관하여. 환경농학회지 14(3)
o 이종식, 김복영, 정구복. (1996) : 인공산성비에 의한 농작물 잎의 조직형태 변화에 관한 연구. Ⅱ. 벼, 콩, 보리, 무에 관하여. 환경농학회지 15(1)
추천자료
농업환경오염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환경문제 공해문제)
환경문제 (환경오염 사회문제 사회복지)
중국의 환경오염과 환경산업
인간과 환경 스크랩<환경오염>
(환경오염) 환경문제에 대한 이론적 관점과 환경문제 대책방안
[환경오염실태]여성과 미래사회 프로젝트-우리나라 환경오염의 실태와 대책
환경문제의 본질과 환경오염규제
[환경문제]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사법상 규제
[환경협력][환경협력 의미][환경협력 메커니즘][환경협력 현황][환경협력 대응 과제][환경문...
인간에 의한 환경오염이 지구촌 환경에 미치는 영향
[환경오염문제] 지구의 환경위기와 해결방안
[인간과환경] 환경오염의 정의, 등장, 실태 및 대처 방안에 대해서
환경오염 - 환경오염으로 인한 생태계 파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