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서에 대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상형(象形)

2. 지사(指事)

3. 회의(會意)

4. 형성(形聲)

5. 전주(轉注)

6. 가차(假借)

본문내용

확장하게 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방식의 발전이 전주방법으로 정착된 것이라 할 수 있다.
① 발음은 변하지 않고 뜻만 변한 것
예) 考 : 늙은이의 뜻인데 '생각하다''어버이'의 뜻으로 전용
老 : 늙은이의 뜻인데 '노련하다''어른'의 뜻으로 전용
② 발음과 뜻이 동시에 다 변한 것
예) 樂 : 본래 풍유(악)자 인데, 음악은 누구나 들으면 즐거운 것이기 때문에 '즐거울 락'이 되고,
누구나 좋아하는 것이기 때문에 '좋아할 요'가 되기도 한다.
6. 가차(假借)
이미 만들어져 있는 글자 가운데 글자 본래의 의미와는 상관없이 그 발음이나 모양만 빌어다가 다른 사상(事象)을 나타내는 뜻으로 빌어 쓰는 방법이다. 가차의 방법은 형성자 이전의 문자들을 차용했을뿐, 형성자를 차용한 것이 아니므로 학계에서는 가차는 한자 생성과정에서 형성보다 먼저 놓기도 한다.
① 유사한 음 또는 형태를 빌려 씀.
舍(집 사) 捨( 버릴 사)
然(그러할 연) 燃(사를 연)
燕(제비 연) 宴(잔지 연)
② 의성어, 의태어, 佛家에서 쓰는 용어.
③ 외국어 표기 佛蘭西, 巴利, 羅馬, 亞細亞 등
④ 모양이 비슷한 것을 빌려 씀 弗(아니 불) $(달러)

키워드

육서,   한자,   회의,   형성,   지사,   가차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03.03.20
  • 저작시기2003.0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179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