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About PUMA
Ⅱ PUMA Korea Marketing 전략분석
1. STP
(1) 시장 세분화(Market Segmentation)
(2) 표적 시장 선택(Market Targeting)
(3) 포지셔닝(Positioning)
2. 4P
(1) 상품(Product) 전략
(2) 가격(Price) 전략
(3) 촉진(Promotion) 전략
(4) 유통 및 상권(Place) 전략
3. 브랜드 자산의 관리
Ⅲ PUMA의 CEO
Ⅱ PUMA Korea Marketing 전략분석
1. STP
(1) 시장 세분화(Market Segmentation)
(2) 표적 시장 선택(Market Targeting)
(3) 포지셔닝(Positioning)
2. 4P
(1) 상품(Product) 전략
(2) 가격(Price) 전략
(3) 촉진(Promotion) 전략
(4) 유통 및 상권(Place) 전략
3. 브랜드 자산의 관리
Ⅲ PUMA의 CEO
본문내용
가격은 3위에 가장 많이 분포 되 있다. 결국 가격보다는 이미지와 디자인이 더욱 중요하다고 볼 수 있는 결과였다.
9. 이미지에 관한 대답이 가장 많았는데 우호적 대답에서는 정리한다면
심플한 디자인 그리고 레드라는 색깔이나 푸마 라는 영문 로고에 대한 이미지라는 대답이 있었고 또 축구라는 이미지가 떠오른다는 대답도 많았다.
부정적 이미지로는 푸마 자체 이미지가 좋지 않다 또 이 랜드 계열사임에도 가격이 비싸다라는 것 또 축구라는 이미지가 떠오르지만 그것 때문에 싫다는 대답도 있었다. 또 강북스타일이라 싫다는 대답도 있었다.
결국 축구를 통한 마케팅이 성공했지만 거기서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성을
찾아야한다는 결론이 나올 수 있다.
10 바라는 점에서는 정리한다면 다양한 디자인을 바란다는 대답이 가장 많았고, 이미지를 더 개선해야한다는 대답도 있었으며 소수의 의견이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졌다는 대답도 있었다. 아직까지 디자인의 다양성 추구와 이미지 개선의 여지가 많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결과였다.
Ⅲ PUMA의 CEO
1. 푸마 재건의 주역
- 조헨 자이츠 푸마 최고 경영자(CEO)
최근 PUMA는 오랜 기간의 부진을 털어 내고 성장 가도를 질주하고 있다. 푸마의 올해 매출은 지난해 대비 40% 이상 늘어난 8억45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나이키, 아디다스, 리복 등 경쟁사들의 매출이 모두 한자리 수 성장에 그친 점을 감안할 때 대단한 성과다.
스포츠 용품 업계의 강자가 된 푸마의 탄생은 그다지 순탄치 않았다. 지난 1948년 독일, 세계적인 스포츠 용품 메이커 아디다스에서는 경영권을 놓고 형제사이에 다툼이 있었다. 경쟁에서 밀린 동생 루돌프 다슬러는 급기야 형의 회사 아디다스를 박차고 뛰쳐나왔다. 절치 부심 하던 그는 새로운 회사를 세우고 형과 다시 맞붙게 된다. 업계에서는 올해 39세인 조헨 자이츠 푸마 최고경영자(CEO)를 푸마 재건의 주역으로 평가한다. 푸마는 90년대 들어서면서 변화를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 첫 단계로 93년 프록터 앤드 갬블(P&G)에서 마케팅 이사를 지내고 있던 자이츠를 사령탑으로 전격 영입했다. 이때 자이츠의 나이는 불과 서른 살이었다. 그러나 그는 불필요한 공장을 정리하고 생산 라인의 군살을 제거하는 등 구조 개혁의 칼을 과감히 휘둘렀다. 얼마가지 않아 적자 행진이 멈추고 이익은 70% 이상 뛰어올랐다.
자이츠는 여기서 만족하지 않고 보그 등 패션 잡지에 대대적인 광고를 내는 등 이미지 개선에도 상당한 공을 들였다. 세계적인 디자이너 질 샌더와 손을 잡은 것도 이때다. 질 샌더의 손길을 거친 195달러 짜리 운동화는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특히 젊은이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푸마가 50년대의 묵은 때를 벗어 던지고 화려한 스타일로 다시 태어나는 순간이었다.
자이츠가 얼마 전 비즈니스 위크와의 회견에서 “푸마는 이제 막 브랜드 가치를 극대화하는 작업에 돌입했다”고 말한 대목에서는 자신감이 묻어난다. 이에 자극 받은 아디다스는 지난 7월 디자이너 요지 야마모토와 계약을 맺고 신 감각의 운동복 제작에 들어갔다. 리복도 영국 디자이너 폴 스미스가 제작한 최신 운동화를 판매하고 있다.
푸마는 스포츠 마케팅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테니스 스타 세레나 윌리엄스를 발굴해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95년 이후의 이런 모든 혁신은 CEO인 조헨 자이츠의 적절한 경영전략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 푸마 코리아 2000년 이후 브랜드 혁신의 주역
- 오상흔 대표 이사
국내 스포츠 브랜드 중 최하위 권에 머물던 푸마가 갑자기 살아났다. 아디다스와 더불어 독일의 대표적인 스포츠 브랜드란 명성이 한국에서는 통하지 않았다. 이랜드 그룹의 계열사인 푸마 코리아가 운영하는 푸마는 2000년까지만 해도 스포츠 브랜드 중 매출 순위 12위로 거의 꼴찌였다. 연간 매출액이 1백억원도 안됐다. 그러던 것이 지난해에 3백40억 원으로 급증했으며, 올 상반기에는 4백 14억 원으로 지난해 전체 매출액보다 많았다.
푸마 코리아 오상흔 대표이사는 "월드컵 덕에 대부분의 스포츠 브랜드가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푸마의 급상승은 업계에서도 이례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올해 처음으로 1천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업계 7위에 오를 것"이라고 기대했다. 독일 본사에서조차 영업권을 다른 기업에 넘기려고 했던 불명예를 씻고 인기 브랜드로 거듭난 것이다.
이러한 푸마의 변화는 2000년 말 오상흔 사장의 브랜드 혁신으로 시작됐다. 브랜드 상징색을 녹색에서 붉은색으로 바꿨으며, 외곽 상권에 있던 대리점을 철수시키고 서울 명동. 종로. 신촌 등 핵심 상권에 대리점을 유치했다. 판매하는 제품도 20대 후반~30대인 주 소비층을 구매력이 강한 10~20대 여성들로 바꾸기 위해 힙합 스타일등 최신 패션을 접목했다.
오상흔 사장은 "다시 허물어지는 일이 없도록 매출 규모보다는 내실을 다지는 경영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이 푸마 코리아에서 브랜드 혁신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는 오상흔 사장과 33명의 단출한 푸마 식구들이 추진해온 ‘제로 베이스(Zero Base) 마케팅’ 덕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바꿀 수 없는 것은 없다’는 오상흔 사장의 생각이 새로운 혁신을 성공으로 이끌어냈다.
참고 문헌
<마케팅 원론>, 안광호 외 2명, 학현사, 2001.
<마케팅 관리>, 박충환, 박영사, 2002.
<마케팅 관리>, 김용만, 대명출판사, 2002.
<마케팅 포지셔닝>, Ries Al, 십일원 출판사, 2000.
참고 Site
http://www.puma.com
http://www.pumakorea.com
http://www.eland.com
http://www.chosun.com
http://www.joins.com
http://www.donga.com
http://www.mk.co.kr
http://www.fannenews.com
http://www.realshoes.co.kr
http://www.sportskiss.com
http://www.headlines.yahoo.co.kr
http://www.news.daum.net
9. 이미지에 관한 대답이 가장 많았는데 우호적 대답에서는 정리한다면
심플한 디자인 그리고 레드라는 색깔이나 푸마 라는 영문 로고에 대한 이미지라는 대답이 있었고 또 축구라는 이미지가 떠오른다는 대답도 많았다.
부정적 이미지로는 푸마 자체 이미지가 좋지 않다 또 이 랜드 계열사임에도 가격이 비싸다라는 것 또 축구라는 이미지가 떠오르지만 그것 때문에 싫다는 대답도 있었다. 또 강북스타일이라 싫다는 대답도 있었다.
결국 축구를 통한 마케팅이 성공했지만 거기서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다양성을
찾아야한다는 결론이 나올 수 있다.
10 바라는 점에서는 정리한다면 다양한 디자인을 바란다는 대답이 가장 많았고, 이미지를 더 개선해야한다는 대답도 있었으며 소수의 의견이지만 가격이 너무 비싸졌다는 대답도 있었다. 아직까지 디자인의 다양성 추구와 이미지 개선의 여지가 많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는 결과였다.
Ⅲ PUMA의 CEO
1. 푸마 재건의 주역
- 조헨 자이츠 푸마 최고 경영자(CEO)
최근 PUMA는 오랜 기간의 부진을 털어 내고 성장 가도를 질주하고 있다. 푸마의 올해 매출은 지난해 대비 40% 이상 늘어난 8억4500만 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으며, 나이키, 아디다스, 리복 등 경쟁사들의 매출이 모두 한자리 수 성장에 그친 점을 감안할 때 대단한 성과다.
스포츠 용품 업계의 강자가 된 푸마의 탄생은 그다지 순탄치 않았다. 지난 1948년 독일, 세계적인 스포츠 용품 메이커 아디다스에서는 경영권을 놓고 형제사이에 다툼이 있었다. 경쟁에서 밀린 동생 루돌프 다슬러는 급기야 형의 회사 아디다스를 박차고 뛰쳐나왔다. 절치 부심 하던 그는 새로운 회사를 세우고 형과 다시 맞붙게 된다. 업계에서는 올해 39세인 조헨 자이츠 푸마 최고경영자(CEO)를 푸마 재건의 주역으로 평가한다. 푸마는 90년대 들어서면서 변화를 모색하기 시작했다.
그 첫 단계로 93년 프록터 앤드 갬블(P&G)에서 마케팅 이사를 지내고 있던 자이츠를 사령탑으로 전격 영입했다. 이때 자이츠의 나이는 불과 서른 살이었다. 그러나 그는 불필요한 공장을 정리하고 생산 라인의 군살을 제거하는 등 구조 개혁의 칼을 과감히 휘둘렀다. 얼마가지 않아 적자 행진이 멈추고 이익은 70% 이상 뛰어올랐다.
자이츠는 여기서 만족하지 않고 보그 등 패션 잡지에 대대적인 광고를 내는 등 이미지 개선에도 상당한 공을 들였다. 세계적인 디자이너 질 샌더와 손을 잡은 것도 이때다. 질 샌더의 손길을 거친 195달러 짜리 운동화는 불티나게 팔려나갔다. 특히 젊은이들의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푸마가 50년대의 묵은 때를 벗어 던지고 화려한 스타일로 다시 태어나는 순간이었다.
자이츠가 얼마 전 비즈니스 위크와의 회견에서 “푸마는 이제 막 브랜드 가치를 극대화하는 작업에 돌입했다”고 말한 대목에서는 자신감이 묻어난다. 이에 자극 받은 아디다스는 지난 7월 디자이너 요지 야마모토와 계약을 맺고 신 감각의 운동복 제작에 들어갔다. 리복도 영국 디자이너 폴 스미스가 제작한 최신 운동화를 판매하고 있다.
푸마는 스포츠 마케팅에도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테니스 스타 세레나 윌리엄스를 발굴해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95년 이후의 이런 모든 혁신은 CEO인 조헨 자이츠의 적절한 경영전략에서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2. 푸마 코리아 2000년 이후 브랜드 혁신의 주역
- 오상흔 대표 이사
국내 스포츠 브랜드 중 최하위 권에 머물던 푸마가 갑자기 살아났다. 아디다스와 더불어 독일의 대표적인 스포츠 브랜드란 명성이 한국에서는 통하지 않았다. 이랜드 그룹의 계열사인 푸마 코리아가 운영하는 푸마는 2000년까지만 해도 스포츠 브랜드 중 매출 순위 12위로 거의 꼴찌였다. 연간 매출액이 1백억원도 안됐다. 그러던 것이 지난해에 3백40억 원으로 급증했으며, 올 상반기에는 4백 14억 원으로 지난해 전체 매출액보다 많았다.
푸마 코리아 오상흔 대표이사는 "월드컵 덕에 대부분의 스포츠 브랜드가 호황을 누리고 있지만 푸마의 급상승은 업계에서도 이례적인 것으로 받아들이고 있다"며, "올해 처음으로 1천억원의 매출을 기록해 업계 7위에 오를 것"이라고 기대했다. 독일 본사에서조차 영업권을 다른 기업에 넘기려고 했던 불명예를 씻고 인기 브랜드로 거듭난 것이다.
이러한 푸마의 변화는 2000년 말 오상흔 사장의 브랜드 혁신으로 시작됐다. 브랜드 상징색을 녹색에서 붉은색으로 바꿨으며, 외곽 상권에 있던 대리점을 철수시키고 서울 명동. 종로. 신촌 등 핵심 상권에 대리점을 유치했다. 판매하는 제품도 20대 후반~30대인 주 소비층을 구매력이 강한 10~20대 여성들로 바꾸기 위해 힙합 스타일등 최신 패션을 접목했다.
오상흔 사장은 "다시 허물어지는 일이 없도록 매출 규모보다는 내실을 다지는 경영에 초점을 맞출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이 푸마 코리아에서 브랜드 혁신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이유는 오상흔 사장과 33명의 단출한 푸마 식구들이 추진해온 ‘제로 베이스(Zero Base) 마케팅’ 덕분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바꿀 수 없는 것은 없다’는 오상흔 사장의 생각이 새로운 혁신을 성공으로 이끌어냈다.
참고 문헌
<마케팅 원론>, 안광호 외 2명, 학현사, 2001.
<마케팅 관리>, 박충환, 박영사, 2002.
<마케팅 관리>, 김용만, 대명출판사, 2002.
<마케팅 포지셔닝>, Ries Al, 십일원 출판사, 2000.
참고 Site
http://www.puma.com
http://www.pumakorea.com
http://www.eland.com
http://www.chosun.com
http://www.joins.com
http://www.donga.com
http://www.mk.co.kr
http://www.fannenews.com
http://www.realshoes.co.kr
http://www.sportskiss.com
http://www.headlines.yahoo.co.kr
http://www.news.daum.net
추천자료
이니스프리 innisfree SWOT분석및 마케팅사례분석과 새로운 마케팅전략제안, 4p, 마케팅전략 ...
그린마케팅전략,그린마케팅사례,그린마케팅의한계와전망,국외기업의 그린마케팅,국내기업의 ...
Dove RENAMING - 도브리네이밍,도브마케팅,마케팅전략사례,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
보령머드축제 - 기존 MKT MIX/활성화 방안 제시 (지역축제 마케팅,축제마케팅전략사례,브랜드...
현대자동차-기업소개,현대자동차광고마케팅전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
KT&G컬러마케팅-KT&G컬러마케팅전략,컬러마케팅사례,컬러마케팅분석,담배컬러마케팅
박카스 마케팅전략 기획서 -박카스 마케팅사례분석과 브랜드분석및 박카스 새로운 마케팅전략...
[마케팅원론 보고서] 롯데 칠성사이다 사례 - 롯데 칠성사이다마케팅전략사례,칠성사이다의 ...
[ 애슐리 마케팅사례연구 보고서 ] Ashley 애슐리 기업분석과 SWOT분석및 애슐리 마케팅전략...
[ 파리바게트 마케팅사례 PPT ] 파리바게트 기업현황과 마케팅전략과 글로벌전략(중국,미국)...
[ 청정원 마케팅사례 PPT ] 청정원 브랜드현황과 마케팅 SWOT,STP,4P전략분석및 청정원 새로...
[파리바게트 마케팅사례와 중국진출사례] 파리바게트 성공요인과 SWOT분석및 파리바게트 다양...
[ BMW 마케팅전략 PPT ] BMW 기업분석과 SWOT분석/ BMW 마케팅사례분석/ BMW 향후 마케팅 4P...
애플 APPLE 마케팅사례- 애플 성공전략과 SWOT분석* 애플 경영혁신전략과 마케팅전략 성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