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정신간호의 개념적 모형
1.2.1 정신분석 모형(paychoanalytic model)
1.2.2 대인관계 모형(interpersonal model)
1.2.3 사회적 모형(social model)
1.2.4 실존적 모형(existential model)
1.2.5 의사소통 모형(communication model)
1.2.6 행동모형(behavioral model)
1.2.7 지지치료 모형(supportive therapy model)
1.2.8 의학모형(medical model)
* 스트레스, 불안 및 대응
1.3.1 스트레스(stress)
1.3.2 불안(anxiety)
1.3.3 스트레스와 불안에 대한 대응
* 스트레스 정신간호
1.4.1 이론적 가정
1.4.2 생물정신사회적 요소
1.4.3 반응패턴
1.4.4 치료단계와 간호활동
1.2.1 정신분석 모형(paychoanalytic model)
1.2.2 대인관계 모형(interpersonal model)
1.2.3 사회적 모형(social model)
1.2.4 실존적 모형(existential model)
1.2.5 의사소통 모형(communication model)
1.2.6 행동모형(behavioral model)
1.2.7 지지치료 모형(supportive therapy model)
1.2.8 의학모형(medical model)
* 스트레스, 불안 및 대응
1.3.1 스트레스(stress)
1.3.2 불안(anxiety)
1.3.3 스트레스와 불안에 대한 대응
* 스트레스 정신간호
1.4.1 이론적 가정
1.4.2 생물정신사회적 요소
1.4.3 반응패턴
1.4.4 치료단계와 간호활동
본문내용
3.3 스트레스와 불안에 대한 대응
* Lazarus - 대응(coping)이란,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모든 행위라고 정의
내적인 요구에 대한 반응으로서 적응보다는 협의의 개념.
* 대응방법 -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개인이 그 상황을 호전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사용하는
일련의 행위로서 세상을 살아가는 일상적인 방법
1)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일상적인 방법
(1) 편안한 사람에게 의지함 (2) 자기 통제
(3) 강렬한 감정표현 (4) 회피와 철회
(5) 기탄없는 토론 (6) 심사숙고함
(7) 긴장해소를 위한 행동
(8) 상징적 대치물의 이용
(9) 신체화(somatizing) = 장기들의 언어(organ longuage)
2) 전문적인 스트레스 관리법
(1) 점진적 이완요법(progressive relaxation)
(2) 심호흡(deep breathing)
(3) 심상화(visualization)
(4) 명상(meditation)
(5) 치유적 접촉(therapeutic touch)
(6) 마사지법
(7) 생체역학(bioenergetics)
(8) 자기 최면(self-hypnosis)
(9) 사고의 정지(thought stopping)
(10)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
3) 대응자원(coping resources)
(1) 신체 및 생화학적 일반 저항자원(physical and biochemical GRRs)
- 신체 및 생화학적인 일반 저항자원은 적응을 도와주는 유전인자와 면역기능 등과 같은 생리적 특성과 신경계와 내분비계의 상호작용을 모두 포함
(2) 물질적 일반 저항자원(antifactual and material GRRs)
- 물질적인 풍요와 부는 질병으로부터의 대응을 보다 용이하게 도와주는 물질적 일반 저항자원을 구성
(3) 인지적 일반 저항자원(cognitive GRRs)
- 지능과 지식에 관한 것
(4) 정서적 일반 저항자원(emotional GRRs)
- 자신을 잘 인식하고 있는 사람
(5) 가치관 및 태도 측면에서의 일반 저항자원(valuative and attitudinal GRRs)
-개인의 문화와 환경의 산물
(6) 대인관계적 일반 저항자원(interpersonal relational GRRs)
- 이용 가능한 사회적 지지체계
(7) 거시적 사회문화적 일반 저항자원(macrosociocultural GRRs)
- 대응을 촉진시키는 제도적 장치
4) 방어지향적 대응방법(defense-oriented ways of coping)
- 일상생활을 통하여 흔히 경험하게 되는 단순한 대응방법
1.4 스트레스 정신간호 모형
- 생물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및 환자간호의 법적 윤리적 측면을 실무의 통일된 기틀로 통합
- 정신간호 관점에서 나온 다양한 지식체를 합성한 것으로서 1980년대에 Gail Stuart에 의해
개발되어 다소 수정
1.4.1 이론적 가정
① 제 1 가정 - 자연은 가장 간단한 단위에서 가장 복잡한 단위에 이르기까지 사회적 체계로서 배열된다.
② 제 2 가정 - 간호는 생물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및 법적- 윤리적 맥락 내에서
제공된다.
③ 제 3 가정 - 건강/질병 및 적응/부적응이란 독특한 연속체이다.
④ 제 4 가정 - 정신의학적 치료의 구별된 네 가지 단계(위기, 급성, 유지 및 건강증진)을
기술함으로써 1차, 2차 및 3차 예방을 포함한다.
⑤ 제 5 가정 - 간호과정의 사용에 기초한다.
모델의 특징
① 자연을 사회적 체계에 따라 배열된 것으로 간주
② 정신간호 업무에 대한 전인적인 생물정신사회적 접근을 가정
③ 적응/부적응을 건강/질병과 구별된 것으로 간주
④ 1차, 2차, 3차 예방의 요소를 통합
⑤ 네 단계의 정신의학적 치료와 관련된 간호활동을 확인
⑥ 간호의 연속체를 통해 정신과적 세팅을 넘어서 사용될 수 있다.
⑦ 정신간호의 표준과 전문직 수행에 기초함
1.4.2 생물정신사회적 요소
요소
정의
예
소인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 개인이 끌어낼 수 있는 자원의 양과 형태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소
유전적 배경, 지능, 자기 개념, 연령, 종족, 교육, 성, 신념체계
유인
개인이 도전적, 위협적 혹은 요구적이라고 인지하는 자극, 그리고 대응을 위해 지나친 에너지를 요하는 자극
생활사건, 손상, 난관(hassles), 긴장
스트레스원에
대한 평가
스트레스원의 의미, 강도 및 중요성을 고려할 때 개인의 안녕에 대한 스트레스원의 중요성을 평가
강인성, 인지된 심각도, 불안, 귀인(attribution)
대응자원
개인의 대응선택과 전략에 대한 평가
재정, 사회적지지, 자아 통합
대응기제
스트레스 관리에 향해진 어떤 노력
문제해결, 순응, 방어기제
대응반응의
연속선
적응적 혹은 부적응적 인간반응의 범위
사회변화, 신체적 증상, 정서적 안녕
치료단계 활동
치료목표, 간호사정, 간호중재 및 바라는 결과와 관련된 간호 기능의 범위
환경관리, 환자교육, 역할 모델링 지지
1.4.3 반응패턴
-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반응은 특정한 소인요소, 스트레스원의 성질, 상황에 대한 지각 및
대응자원과 대응 기제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고 있다.
- 통합된 기능을 지지하는 반응들은 적응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이것은 성장, 학습, 목표성취를 가져온다.
- 통합된 기능을 방해하는 반응들은 부적응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이것은 성장을 방해하고 자율성 을 감소시켜서 환경의 지배를 방해한다.
간호모델과 의학모델의 비교
분야
간호학
의학
원인
취약성
원인
사정
위험요인
질병
진단
인간의 반응
건강문제
중재
간호
치료
1.4.4 치료단계와 간호활동
치료단계
위 기
치료목표
간호사정
간호중재
기대되는 결과
안 정 화
위험요소
환경관리
자기나 타인에게 해가없음
치료단계
급 성
치료목표
간호사정
간호중재
기대되는 결과
경감(remission)
증상과 대응반응
상간의 치료계획
모델링 및 교육
증상경감
치료단계
유 지
치료목표
간호사정
간호중재
기대되는 결과
회 복
기능상태
강화와 지지
기능향상
치료단계
건강증진
치료목표
간호사정
간호중재
기대되는 결과
최적의 건강수준
삶의 질과 안녕
고무, 회복을 확신시켜 줌
최적의 삶의 질
* Lazarus - 대응(coping)이란, 스트레스 상황을 극복하기 위하여 수행하는 모든 행위라고 정의
내적인 요구에 대한 반응으로서 적응보다는 협의의 개념.
* 대응방법 -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개인이 그 상황을 호전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사용하는
일련의 행위로서 세상을 살아가는 일상적인 방법
1) 스트레스에 대응하는 일상적인 방법
(1) 편안한 사람에게 의지함 (2) 자기 통제
(3) 강렬한 감정표현 (4) 회피와 철회
(5) 기탄없는 토론 (6) 심사숙고함
(7) 긴장해소를 위한 행동
(8) 상징적 대치물의 이용
(9) 신체화(somatizing) = 장기들의 언어(organ longuage)
2) 전문적인 스트레스 관리법
(1) 점진적 이완요법(progressive relaxation)
(2) 심호흡(deep breathing)
(3) 심상화(visualization)
(4) 명상(meditation)
(5) 치유적 접촉(therapeutic touch)
(6) 마사지법
(7) 생체역학(bioenergetics)
(8) 자기 최면(self-hypnosis)
(9) 사고의 정지(thought stopping)
(10) 바이오피드백(biofeedback)
3) 대응자원(coping resources)
(1) 신체 및 생화학적 일반 저항자원(physical and biochemical GRRs)
- 신체 및 생화학적인 일반 저항자원은 적응을 도와주는 유전인자와 면역기능 등과 같은 생리적 특성과 신경계와 내분비계의 상호작용을 모두 포함
(2) 물질적 일반 저항자원(antifactual and material GRRs)
- 물질적인 풍요와 부는 질병으로부터의 대응을 보다 용이하게 도와주는 물질적 일반 저항자원을 구성
(3) 인지적 일반 저항자원(cognitive GRRs)
- 지능과 지식에 관한 것
(4) 정서적 일반 저항자원(emotional GRRs)
- 자신을 잘 인식하고 있는 사람
(5) 가치관 및 태도 측면에서의 일반 저항자원(valuative and attitudinal GRRs)
-개인의 문화와 환경의 산물
(6) 대인관계적 일반 저항자원(interpersonal relational GRRs)
- 이용 가능한 사회적 지지체계
(7) 거시적 사회문화적 일반 저항자원(macrosociocultural GRRs)
- 대응을 촉진시키는 제도적 장치
4) 방어지향적 대응방법(defense-oriented ways of coping)
- 일상생활을 통하여 흔히 경험하게 되는 단순한 대응방법
1.4 스트레스 정신간호 모형
- 생물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및 환자간호의 법적 윤리적 측면을 실무의 통일된 기틀로 통합
- 정신간호 관점에서 나온 다양한 지식체를 합성한 것으로서 1980년대에 Gail Stuart에 의해
개발되어 다소 수정
1.4.1 이론적 가정
① 제 1 가정 - 자연은 가장 간단한 단위에서 가장 복잡한 단위에 이르기까지 사회적 체계로서 배열된다.
② 제 2 가정 - 간호는 생물적, 심리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및 법적- 윤리적 맥락 내에서
제공된다.
③ 제 3 가정 - 건강/질병 및 적응/부적응이란 독특한 연속체이다.
④ 제 4 가정 - 정신의학적 치료의 구별된 네 가지 단계(위기, 급성, 유지 및 건강증진)을
기술함으로써 1차, 2차 및 3차 예방을 포함한다.
⑤ 제 5 가정 - 간호과정의 사용에 기초한다.
모델의 특징
① 자연을 사회적 체계에 따라 배열된 것으로 간주
② 정신간호 업무에 대한 전인적인 생물정신사회적 접근을 가정
③ 적응/부적응을 건강/질병과 구별된 것으로 간주
④ 1차, 2차, 3차 예방의 요소를 통합
⑤ 네 단계의 정신의학적 치료와 관련된 간호활동을 확인
⑥ 간호의 연속체를 통해 정신과적 세팅을 넘어서 사용될 수 있다.
⑦ 정신간호의 표준과 전문직 수행에 기초함
1.4.2 생물정신사회적 요소
요소
정의
예
소인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해 개인이 끌어낼 수 있는 자원의 양과 형태에 영향을 주는 위험요소
유전적 배경, 지능, 자기 개념, 연령, 종족, 교육, 성, 신념체계
유인
개인이 도전적, 위협적 혹은 요구적이라고 인지하는 자극, 그리고 대응을 위해 지나친 에너지를 요하는 자극
생활사건, 손상, 난관(hassles), 긴장
스트레스원에
대한 평가
스트레스원의 의미, 강도 및 중요성을 고려할 때 개인의 안녕에 대한 스트레스원의 중요성을 평가
강인성, 인지된 심각도, 불안, 귀인(attribution)
대응자원
개인의 대응선택과 전략에 대한 평가
재정, 사회적지지, 자아 통합
대응기제
스트레스 관리에 향해진 어떤 노력
문제해결, 순응, 방어기제
대응반응의
연속선
적응적 혹은 부적응적 인간반응의 범위
사회변화, 신체적 증상, 정서적 안녕
치료단계 활동
치료목표, 간호사정, 간호중재 및 바라는 결과와 관련된 간호 기능의 범위
환경관리, 환자교육, 역할 모델링 지지
1.4.3 반응패턴
- 스트레스에 대한 개인의 반응은 특정한 소인요소, 스트레스원의 성질, 상황에 대한 지각 및
대응자원과 대응 기제에 대한 분석에 기초하고 있다.
- 통합된 기능을 지지하는 반응들은 적응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이것은 성장, 학습, 목표성취를 가져온다.
- 통합된 기능을 방해하는 반응들은 부적응적인 것으로 간주되며 이것은 성장을 방해하고 자율성 을 감소시켜서 환경의 지배를 방해한다.
간호모델과 의학모델의 비교
분야
간호학
의학
원인
취약성
원인
사정
위험요인
질병
진단
인간의 반응
건강문제
중재
간호
치료
1.4.4 치료단계와 간호활동
치료단계
위 기
치료목표
간호사정
간호중재
기대되는 결과
안 정 화
위험요소
환경관리
자기나 타인에게 해가없음
치료단계
급 성
치료목표
간호사정
간호중재
기대되는 결과
경감(remission)
증상과 대응반응
상간의 치료계획
모델링 및 교육
증상경감
치료단계
유 지
치료목표
간호사정
간호중재
기대되는 결과
회 복
기능상태
강화와 지지
기능향상
치료단계
건강증진
치료목표
간호사정
간호중재
기대되는 결과
최적의 건강수준
삶의 질과 안녕
고무, 회복을 확신시켜 줌
최적의 삶의 질
추천자료
정신장애유형-정신간호학
정신간호학-컨퍼런스(정신분열증)
정신간호학 case -schizophrenia(정신분열증)
[정신간호] 생물학적 측면과 심리사회적 측면에서 인간의 특성(정신간호사역할)
[정신간호학] 공황장애 (panic disorder, somatization disorder)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정신간호학][Bipolar disorder][양극성인격장애]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우...
[CASE STUDY] 정신간호학 알콜중독 케이스 스터디 - 알콜중독 대상자에 관련된 사례연구보고서
정신간호학 실습지침서(조현병간호, 정신간호, 간호진단, 계획,수행, 평가 포함. 조현병)
정신간호 - 해리성 장애와 간호
[A+, 칭찬받은 자료] 정신간호 실습 케이스 Case SPR, Schizophrenia, 조현병, 정신분열증 간...
[정신간호학] 사회문화적, 영적 이해
[정신간호학] 물질 관련 장애
정신간호학 /조현병/schizophrenia/문헌고찰/간호과정/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