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 1. 조사 설계
2. 설문내용분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부 록 (설문지)
Ⅱ. 본론 - 1. 조사 설계
2. 설문내용분석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Ⅴ. 부 록 (설문지)
본문내용
정도가 하루에 1시간에서 3시간정도 인터넷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흥미로웠던 점은 인터넷을 많이 사용하면서도 비해 신뢰도 부분에서는 기존미디어(신문)가 앞섰다는 점이다. 또한 인터넷, 신문 모두 정보검색을 위해 사용한다고 하면서 인터넷의 정보는 그다지 신뢰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는 인터넷의 한계, 즉 상호작용성과 선택적 노출 그리고 이용자 중심성으로 인해 다양한 정보의 불균형 현상을 초래하거나 정보의 과다로 인한 정보의 선별력이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또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면서도 인터넷을 통해서 TV프로그램을 접하는 비율은 무척 낮음을 알 수 있다. 60%의 응답자가 인터넷 TV프로그램 다시보기 서비스(VOD)를 거의 이용하지 않거나 이용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인터넷으로 신문을 보는 것은 지면상 표현하기 힘든 여러점을 인터넷이 대신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지만, TV프로그램의 경우, 동영상, 음성정보등 인터넷과 크게 다르지 않음으로 굳이 인터넷으로 TV프로그램을 보지 않기 때문이다.
인터넷이 기존 미디어를 대체할 것이냐는 물음에 49%의 응답자는 그렇다고 대답해 기존미디어를 대체 하지 못할 것이란 대답(42%)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인터넷이 완전히 기존미디어를 대체하거나, 그렇지 못한다기보다 통합적인 미디어가 나올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인터넷이란 하나의 뉴미디어가 TV, 신문 등 기존미디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다. 편리하고 신속하며 정보의 양이 무한하다는 강점을 지닌 인터넷이 점점 더 기존 미디어 시장을 잠식하긴 하겠지만, 완전히 기존 미디어를 무너뜨리기보다 상호보완적인 새로운 통합형매체가 등장할 것이라고 잠정적인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숙명여자대학교 재학생'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이 결론이 전체를 반영한다고는 할 수 없다. 차후에 이와 유사한 연구가 계속되어 이 한계점을 극복하길 기대해본다.
Ⅳ. 참고문헌
이승아. 2002. 뉴미디어로서의 인터넷 등장에 따른 미디어 이용자 실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국제관계대학원
柳芝賢. 1994. 뉴미디어 시대의 방송 시청자의 기호 변화에 관한 연구. 延世大 行政大學院,
윤준수. 인터넷과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대전환
김영우. 2001. 인터넷 시대에도 'TV 프로그램은 TV 수상기로. 한국방송
심미선. 2001. 케이블TV 및 인터넷 등장에 따른 지상파방송 시청행위 변화에 관한 연구
韓國言論學報
【참고 사이트】
김용섭 홈페이지, 인터넷 방송 강의실,5 인터넷 방송의 역사
국회도서관 www.nanet.go.kr/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회 www.cybercom.or.kr
신문가게 www.newspaper.co.kr
인터넷 백서 www.nclab.hanyang.ac.kr/~whitwpaper/chapter/ch5/ch5-6.htm
(주)이 트렌드 www.e-trend.co.kr
카인즈 www.kinds.or.kr
한국방송학회 kabs.or.kr
한국인터넷 정보센터 www.stat.nic.co.or user.chollian.net/~antiys/history.htm
Ⅴ. 부록 (설문지)
안녕하세요? 저희는 000대 언론정보학부 학생입니다.
저희가 이번 학기 '미디어와 사회조사'라는 과목에서 연구주제로,
인터넷과 TV, 신문의 이용 행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에 필요한 자료를 얻고자 설문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본 설문지는 익명으로 통계 처리되오니, 솔직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아래의 질문을 읽어보시고, 해당 되는 곳에 표 해주시기 바랍니다.
1. 귀하가 사용하는 컴퓨터에는 인터넷 전용선이 설치되어 있습니까?
① 그렇다
② 아니다
2. 귀하가 평균 하루 동안 인터넷과 TV, 신문을 이용하는 시간을 아래 표를 보고 해당하는 곳에 각각 표 해 주십시오. (인터넷으로 신문이나 방송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도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이용시간
미디어
1시간 미만
1시간이상 ~
2시간 미만
2시간이상 ~
3시간 미만
3시간이상 ~
4시간 미만
4시간 이상
인터넷
TV
신문
3~5번은 복수응답이 가능합니다. 해당하는 대답에 순서대로 2가지만 기입해 주십시오.
3. 귀하가 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첫번째( ), 두번째( )
① 자료정보검색
② 학습(외국어 사이트, 온라인 교육 등)
③ 메일
④ 쇼핑, 금융 등의 서비스 이용
⑤ 오락, 게임
⑥ 채팅
⑦ 기타( )
4. 귀하의 TV시청 이유는 무엇입니까? 첫번째( ), 두번째( )
① 정보습득
② 학습
③ 무의식적으로
④ 기타( )
5. 귀하가 신문을 구독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첫번째( ), 두번째( )
① 정보습득
② 학습
③ 습관적으로
④ 기타( )
다음 질문부터는 해당하는 곳에 표 해주시기 바랍니다.
6. 귀하가 정보를 얻을 때 가장 많이 이용하는 매체는 무엇입니까?
① 인터넷
② 신문
③ TV
④ 기타
7. 귀하는 인터넷과 신문, TV가 가진 정보 중 어떤 것에 가장 믿음이 가십니까?
① 인터넷
② 신문
③ TV
④ 셋 다 믿음이 가지 않는다.
⑤ 셋 다 믿음직스럽다.
⑥ 잘 모르겠다.
자주 이용함
가끔 이용함
거의 이용하지 않음
이용한 적이 없다.
인터넷 신문
인터넷 방송
8. 인터넷으로 TV방송 프로그램과 신문을 본 적이 있다면 얼마나 자주 이용하십니 까?
9. 만약 귀하가 여유 시간이 생길 경우 다음 세 가지 매체 중에서 가장 먼저 손이 가는 매체는 어느 것입니까?
① 인터넷
② 신문
③ TV
10. 귀하는 미래에 인터넷이 신문이나 TV를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그렇다
② 아니다.
③ 잘 모르겠다.
11. 귀하는 컴퓨터는 몇 사람과 함께 이용하십니까?
① 혼자서 이용한다.
② 1명
③ 2명
④ 3명
⑤ 4명 이상
12. 귀하의 전공은 무엇입니까?
학부
13. 귀하는 몇 학년 입니까?
① 1학년
② 2학년
③ 3학년
④ 4학년(과)
14. 귀하는 현재 어디서 생활하고 있습니까?
① 집
② 하숙
③ 기숙사
④ 자취
⑤ 기타(학사, 친척집 등)
설문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또 인터넷을 많이 이용하면서도 인터넷을 통해서 TV프로그램을 접하는 비율은 무척 낮음을 알 수 있다. 60%의 응답자가 인터넷 TV프로그램 다시보기 서비스(VOD)를 거의 이용하지 않거나 이용한 적이 없다고 답했다. 인터넷으로 신문을 보는 것은 지면상 표현하기 힘든 여러점을 인터넷이 대신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지만, TV프로그램의 경우, 동영상, 음성정보등 인터넷과 크게 다르지 않음으로 굳이 인터넷으로 TV프로그램을 보지 않기 때문이다.
인터넷이 기존 미디어를 대체할 것이냐는 물음에 49%의 응답자는 그렇다고 대답해 기존미디어를 대체 하지 못할 것이란 대답(42%)과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인터넷이 완전히 기존미디어를 대체하거나, 그렇지 못한다기보다 통합적인 미디어가 나올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를 통해 인터넷이란 하나의 뉴미디어가 TV, 신문 등 기존미디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볼 수 있었다. 편리하고 신속하며 정보의 양이 무한하다는 강점을 지닌 인터넷이 점점 더 기존 미디어 시장을 잠식하긴 하겠지만, 완전히 기존 미디어를 무너뜨리기보다 상호보완적인 새로운 통합형매체가 등장할 것이라고 잠정적인 결론을 내렸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숙명여자대학교 재학생'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이 결론이 전체를 반영한다고는 할 수 없다. 차후에 이와 유사한 연구가 계속되어 이 한계점을 극복하길 기대해본다.
Ⅳ. 참고문헌
이승아. 2002. 뉴미디어로서의 인터넷 등장에 따른 미디어 이용자 실태에 관한 연구. 숙명여대 국제관계대학원
柳芝賢. 1994. 뉴미디어 시대의 방송 시청자의 기호 변화에 관한 연구. 延世大 行政大學院,
윤준수. 인터넷과 커뮤니케이션 패러다임의 대전환
김영우. 2001. 인터넷 시대에도 'TV 프로그램은 TV 수상기로. 한국방송
심미선. 2001. 케이블TV 및 인터넷 등장에 따른 지상파방송 시청행위 변화에 관한 연구
韓國言論學報
【참고 사이트】
김용섭 홈페이지, 인터넷 방송 강의실,5 인터넷 방송의 역사
국회도서관 www.nanet.go.kr/
사이버커뮤니케이션 학회 www.cybercom.or.kr
신문가게 www.newspaper.co.kr
인터넷 백서 www.nclab.hanyang.ac.kr/~whitwpaper/chapter/ch5/ch5-6.htm
(주)이 트렌드 www.e-trend.co.kr
카인즈 www.kinds.or.kr
한국방송학회 kabs.or.kr
한국인터넷 정보센터 www.stat.nic.co.or user.chollian.net/~antiys/history.htm
Ⅴ. 부록 (설문지)
안녕하세요? 저희는 000대 언론정보학부 학생입니다.
저희가 이번 학기 '미디어와 사회조사'라는 과목에서 연구주제로,
인터넷과 TV, 신문의 이용 행태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합니다.
이에 필요한 자료를 얻고자 설문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본 설문지는 익명으로 통계 처리되오니, 솔직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아래의 질문을 읽어보시고, 해당 되는 곳에 표 해주시기 바랍니다.
1. 귀하가 사용하는 컴퓨터에는 인터넷 전용선이 설치되어 있습니까?
① 그렇다
② 아니다
2. 귀하가 평균 하루 동안 인터넷과 TV, 신문을 이용하는 시간을 아래 표를 보고 해당하는 곳에 각각 표 해 주십시오. (인터넷으로 신문이나 방송프로그램을 이용하는 것도 인터넷을 사용하는 것으로 간주합니다.)
이용시간
미디어
1시간 미만
1시간이상 ~
2시간 미만
2시간이상 ~
3시간 미만
3시간이상 ~
4시간 미만
4시간 이상
인터넷
TV
신문
3~5번은 복수응답이 가능합니다. 해당하는 대답에 순서대로 2가지만 기입해 주십시오.
3. 귀하가 주로 인터넷을 이용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첫번째( ), 두번째( )
① 자료정보검색
② 학습(외국어 사이트, 온라인 교육 등)
③ 메일
④ 쇼핑, 금융 등의 서비스 이용
⑤ 오락, 게임
⑥ 채팅
⑦ 기타( )
4. 귀하의 TV시청 이유는 무엇입니까? 첫번째( ), 두번째( )
① 정보습득
② 학습
③ 무의식적으로
④ 기타( )
5. 귀하가 신문을 구독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첫번째( ), 두번째( )
① 정보습득
② 학습
③ 습관적으로
④ 기타( )
다음 질문부터는 해당하는 곳에 표 해주시기 바랍니다.
6. 귀하가 정보를 얻을 때 가장 많이 이용하는 매체는 무엇입니까?
① 인터넷
② 신문
③ TV
④ 기타
7. 귀하는 인터넷과 신문, TV가 가진 정보 중 어떤 것에 가장 믿음이 가십니까?
① 인터넷
② 신문
③ TV
④ 셋 다 믿음이 가지 않는다.
⑤ 셋 다 믿음직스럽다.
⑥ 잘 모르겠다.
자주 이용함
가끔 이용함
거의 이용하지 않음
이용한 적이 없다.
인터넷 신문
인터넷 방송
8. 인터넷으로 TV방송 프로그램과 신문을 본 적이 있다면 얼마나 자주 이용하십니 까?
9. 만약 귀하가 여유 시간이 생길 경우 다음 세 가지 매체 중에서 가장 먼저 손이 가는 매체는 어느 것입니까?
① 인터넷
② 신문
③ TV
10. 귀하는 미래에 인터넷이 신문이나 TV를 대체할 수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① 그렇다
② 아니다.
③ 잘 모르겠다.
11. 귀하는 컴퓨터는 몇 사람과 함께 이용하십니까?
① 혼자서 이용한다.
② 1명
③ 2명
④ 3명
⑤ 4명 이상
12. 귀하의 전공은 무엇입니까?
학부
13. 귀하는 몇 학년 입니까?
① 1학년
② 2학년
③ 3학년
④ 4학년(과)
14. 귀하는 현재 어디서 생활하고 있습니까?
① 집
② 하숙
③ 기숙사
④ 자취
⑤ 기타(학사, 친척집 등)
설문에 응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추천자료
초고속 인터넷의 보급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정보사회의 전개와 정보이용
프랑스의 방송제도
인터넷의 사회적 문제점
기술발달에 따른 새로운 대중매체의 출현과 정치적 의사결정
[전자정부][인터넷시대][전자민주주의][정보통신기술 영향][전자정부 추진실태][전자정부 발...
[광고학개론]국내 방송프로그램의 간접광고(PPL) 실태와 장단점 분석 및 해결방안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도입배경, DMB-디지털멀티미디어방송의 특성과 DMB-디지털멀티미...
[인터넷][인터넷활용][인터넷환경][인터넷전망]인터넷의 개념, 인터넷의 종류, 인터넷의 특징...
[사이버공간][인터넷][불온통신규제]사이버공간(인터넷)의 역기능, 사이버공간(인터넷)의 범...
멀티미디어개론(교양_2010년)
인터넷과 국제미디어시장의 재편
[공익캠페인, 공익광고, 언론보도, 사회문제, 미디어공익캠페인, 공공캠페인]공익캠페인과 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