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건강증진학교의 개념
Ⅱ. 건강증진학교의 역사 및 배경
Ⅲ. 건강증진학교의 목적
Ⅳ. 건강증진학교의 원칙
Ⅴ. 건강증진학교의 6개 영역
Ⅵ. 건강증진학교의 사례
Ⅶ. 참고문헌
Ⅱ. 건강증진학교의 역사 및 배경
Ⅲ. 건강증진학교의 목적
Ⅳ. 건강증진학교의 원칙
Ⅴ. 건강증진학교의 6개 영역
Ⅵ. 건강증진학교의 사례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는 기회 부여. 흡연, 음주예방 교육, 올바른 식생활 교육, 손씻기 체험교육, 줄넘기 교육
학교보건 서비스
학생꽈 교직원이 이용할 수 있는 학교 보건 서비스, 학교 건강프로그램에 기여하는 지역건강 서비스, 학생 및 교직원 건강검진, 감염병 예방접종 안내, 신체검사 통계
Ⅵ. 건강증진학교의 사례: “온천초등학교”
온천초등학교는 교육과정 속에서 살아 숨쉬는 건강증진학교 만들기를 목적으로 우수하게 사업을 수행하였다(한국교육개발원, 2017).
첫째, 건강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통한 수업 속 건강한 학교 만들기를 진행하였다. 1학년에서 6학년까지 국어, 수학, 도덕, 미술, 사회, 체육 등 수업시간에 건강과 연계한 다양한 수업을 재구성하여 수행하였다. 두 번째로는 맞춤형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H2O 건강활동시간을 마련하여 등굣길 워킹데이 실시, 수업 전 사제동행 10분 눈맞춤 공감시간 갖기, 중간활동시간 스포츠 클럽 및 건강줄넘기 실시, 점심시간 식사 전 손씻기, 식사 후 양치질 실시, 방과후 문화예술·체육관련 방과후 교실 운영을 진행하였다. 또한 영양 및 보건 수업을 확대 운영하여 식습관 교육 및 성교육, 흡연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학년별 동아리 활동, 체험활동, 비만교실 등도 운영하였다. 전문가를 활용한 교육도 진행하였는데, 창업 시 농업기술과, 창원교육청, 창원정신건강증진센터, 월드비젼, 주)파이디아 등과 연계하여 농업활동, 수업, 정신건강증진교육, 나눔교육, 체육활동 등을 수행하였다. 세 번째는 건강중심 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한 사업을 진행하였다. 학생,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가 모두 건강한 구성원으로 성장하고 건강증진학교 만들기를 위해 협력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학생은 건강증진선언문 작성, 건강실천약속 제창, 건강증진 선포식을 진행하였으며, 교사는 건강증진협의회를 구성하고, 교사 동아리 활동, 교사연수 등을 실시하였다. 학부모 대상으로도 ‘온천건강뉴스’를 제작하여 배포하고, 학부모 건강교육 등을 진행하였다. 지역사회 차원에서는 창원보건소, 창원대학교 체육학과, 창원시 정신건강증진센터, 월드비젼, 굿네이버스 등과 협력하여 다양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온천초등학교에서는 건강증진연구학교를 수행한 결과 학생, 교사, 학부모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유관기관들은 체계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건강한 생활 습관을 습득하게 되었으며, 건강 중심 교육공동체의 공감대가 형성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참고문헌
-신유선 외(2019). 지역사회간호학 II. 수문사. p.645-647
-한국건강증진재단(2012). “더 건강한 우리학교!“ 건강증진학교 운영 매뉴얼. p.3-7
-교육부 학생건강정보센터. “건강증진학교란?”.
http://www.schoolhealth.kr/web/info/selectSchoolAbout.do?sMenuId=0100004100
-이봉주 외(2018). “통합적 사회서비스 제공을 위한 생활공간 활용 방안“. 보건복지부 최종보고서. p.20-21
학교보건 서비스
학생꽈 교직원이 이용할 수 있는 학교 보건 서비스, 학교 건강프로그램에 기여하는 지역건강 서비스, 학생 및 교직원 건강검진, 감염병 예방접종 안내, 신체검사 통계
Ⅵ. 건강증진학교의 사례: “온천초등학교”
온천초등학교는 교육과정 속에서 살아 숨쉬는 건강증진학교 만들기를 목적으로 우수하게 사업을 수행하였다(한국교육개발원, 2017).
첫째, 건강 교육과정 편성·운영을 통한 수업 속 건강한 학교 만들기를 진행하였다. 1학년에서 6학년까지 국어, 수학, 도덕, 미술, 사회, 체육 등 수업시간에 건강과 연계한 다양한 수업을 재구성하여 수행하였다. 두 번째로는 맞춤형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H2O 건강활동시간을 마련하여 등굣길 워킹데이 실시, 수업 전 사제동행 10분 눈맞춤 공감시간 갖기, 중간활동시간 스포츠 클럽 및 건강줄넘기 실시, 점심시간 식사 전 손씻기, 식사 후 양치질 실시, 방과후 문화예술·체육관련 방과후 교실 운영을 진행하였다. 또한 영양 및 보건 수업을 확대 운영하여 식습관 교육 및 성교육, 흡연 교육을 실시하였으며, 학년별 동아리 활동, 체험활동, 비만교실 등도 운영하였다. 전문가를 활용한 교육도 진행하였는데, 창업 시 농업기술과, 창원교육청, 창원정신건강증진센터, 월드비젼, 주)파이디아 등과 연계하여 농업활동, 수업, 정신건강증진교육, 나눔교육, 체육활동 등을 수행하였다. 세 번째는 건강중심 교육 공동체 구축을 위한 사업을 진행하였다. 학생, 교사, 학부모, 지역사회가 모두 건강한 구성원으로 성장하고 건강증진학교 만들기를 위해 협력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학생은 건강증진선언문 작성, 건강실천약속 제창, 건강증진 선포식을 진행하였으며, 교사는 건강증진협의회를 구성하고, 교사 동아리 활동, 교사연수 등을 실시하였다. 학부모 대상으로도 ‘온천건강뉴스’를 제작하여 배포하고, 학부모 건강교육 등을 진행하였다. 지역사회 차원에서는 창원보건소, 창원대학교 체육학과, 창원시 정신건강증진센터, 월드비젼, 굿네이버스 등과 협력하여 다양한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온천초등학교에서는 건강증진연구학교를 수행한 결과 학생, 교사, 학부모는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였으며, 유관기관들은 체계적인 건강증진 프로그램을 운영하게 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또한 건강한 생활 습관을 습득하게 되었으며, 건강 중심 교육공동체의 공감대가 형성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참고문헌
-신유선 외(2019). 지역사회간호학 II. 수문사. p.645-647
-한국건강증진재단(2012). “더 건강한 우리학교!“ 건강증진학교 운영 매뉴얼. p.3-7
-교육부 학생건강정보센터. “건강증진학교란?”.
http://www.schoolhealth.kr/web/info/selectSchoolAbout.do?sMenuId=0100004100
-이봉주 외(2018). “통합적 사회서비스 제공을 위한 생활공간 활용 방안“. 보건복지부 최종보고서. p.20-2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