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스포츠 댄스의 정의
2. 댄스 스포츠의 종류와 유래
1) 모던 볼룸 댄스(Modern Ballroom Dance)
(1) 왈 츠(Waltz) (2) 탱 고(Tango)
(3) 퀵 스텝(QuickStep) (4) 비엔나 왈츠(Viennese Waltz)
(5) 폭스트롯(FoxTrot)
2) 라틴 아메리칸 댄스(Latin American Dance)
(1) 삼 바(Samba) (2) 자이브(Jive)
(3) 차차차(Cha cha cha) (4) 룸 바(Rumba)
(5) 폭스트롯(FoxTrot)
3. 스포츠 댄스의 카운트·박자·액센트·템포
4. 스포츠 댄스의 국제기구 및 현황
1) 영국황실무도교사협의회
2) 국제 무도교사 협의회
3) 세게 무도협의회
4) 국제 무도 협의회
5. 한국 스포츠 댄스의 발전 현황
6. 스포츠 댄스의 특징
7. 스포츠 댄스의 용어와 약어
2. 댄스 스포츠의 종류와 유래
1) 모던 볼룸 댄스(Modern Ballroom Dance)
(1) 왈 츠(Waltz) (2) 탱 고(Tango)
(3) 퀵 스텝(QuickStep) (4) 비엔나 왈츠(Viennese Waltz)
(5) 폭스트롯(FoxTrot)
2) 라틴 아메리칸 댄스(Latin American Dance)
(1) 삼 바(Samba) (2) 자이브(Jive)
(3) 차차차(Cha cha cha) (4) 룸 바(Rumba)
(5) 폭스트롯(FoxTrot)
3. 스포츠 댄스의 카운트·박자·액센트·템포
4. 스포츠 댄스의 국제기구 및 현황
1) 영국황실무도교사협의회
2) 국제 무도교사 협의회
3) 세게 무도협의회
4) 국제 무도 협의회
5. 한국 스포츠 댄스의 발전 현황
6. 스포츠 댄스의 특징
7. 스포츠 댄스의 용어와 약어
본문내용
작하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국의 무도인들은 프로와 아마추어 모두 댄스스포츠의 발전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으며, 그 결과 KASDC는 1996년 IDSF제3회아시아태평양지역 무도선수권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아시아 댄스스포츠연맹의 창설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KASDC는 서울 총회에서 단체의 명칭을 한국 댄스스포츠연맹 (Korea Dance sport Federation : KDF)으로 개칭하였다. 현재 한국에서는 1970년에 설립된 사단법인 한국무도교육협회(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 of DanceSport), 1990년 설립된 한국 댄스스포츠연맹(Korea Amateur Sport Dance Committee), 한국무도평의회(Korea national Council of Ballroom Dancing), 1996년 설립된 한국무도강사협회 (Korea Association Education Ballroom Dancing), 1997년 설립된 대한스포츠댄싱연맹, 1998년 설립된 한국댄스스포츠연합회(DanceSport Federation of Korea) 등 6개의 주요한 무도단체가 있으며, 그 가운데 한국무도평의회는 WD & DSC에 가입하였고, 한국댄스스포츠연맹은 국제댄스스포츠 연맹에 가입해 왔다.
전국적으로 등록된 무도학원은 1천여 개이며, 주요 언론기관 및 문화쎈터에서 댄스스포츠 강좌를 개설하여 운영해 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지방자치단체와 대학부설 사치교육원 등 공공기관이나 대학에서도 댄스스포츠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어 교양강좌로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6. 스포츠 댄스의 특성
1)현대인의 스트레스 해소와 인격완성에 도움을 준다.
오늘날과 같은 긴장과 스트레스 속에서 생활하는 현대인에게 음악을 동반한 유연한 운동을 통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건강을 유지시켜 주는 이상적인 운동이다. 또한 정중한 예의와 사교성을 추구하는 원만한 사회성을 스포츠댄스(DanceSport)를 통하여 습득할 수 있다.
2)남녀간의 건전한 놀이 문화를 창조한다.
남녀칠세 부동석이라는 유교적 관습에서 벗어난 지 오래지만 사실 남녀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놀이는 많지 않은 현실이다. 이런 점에서 남녀의 협력과 조화로 음악의 리듬에 맞추어 춤을 추는 가운데 미적 가치를 창조하는 스포츠댄스(DanceSport)는 남녀의 놀이 문화로서 좋은 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의 유명한 무도교사인 Arthur Murry는 리드믹컬한 신체적 움직임을 통하여 미적 가치를 정서적으로 표현하는 스포츠 댄스를 '음악과의 대화'라고 정의하기도 하였다. Arthur Murry가 스포츠 댄스를 '음악과의 대화'라고 한 것은 스포츠댄스가 리듬을 통한 감정 이입과 미적 향수를 포함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7. 스포츠 댄스의 용어와 약어
L.O.D(Line of Dance or Line of Direction)
춤의 진행방향을 말한다. 이것은 보통 시계 바늘 반대방향이 된다.
벽면: F.W.(Facing to Wall)
보통 벽의 정면을 말한다.
벽사:F.W.D.(Facing to Wall Diagonal)
벽면을 향했을 때 왼쪽 앞쪽을 말한다.
역벽사: F.A.W.(Facing Against to Wall)
벽면을 향했을 때 오른쪽 앞쪽을 말한다.
D.W(Diagonal of Wall)
벽쪽으로 비스듬히 향함
D.C(Diagonal of Center)
중앙 쪽으로 비스듬히 향함
B.D.W(Backing diagnal of Wall)
D.W의 반대반향
B.D.C(Backing Diagnal Center)
D.C의 반대반향
Figure
2보 이상 step이 연결하여 하나의 모양으로 짜여진 것.
Amalgamation
2개 이상의 Figure의 모임
Sway
몸의 기울임(몸을 좌우로 하되 곡선으로 정지 상태가 없다.)
Tilt
몸 전체를 사선이 되도록 기울임
Rise
몸을 높임(뒤꿈치를 들어 몸 전체를 올리는 것
Fall
몸을 낮춤(무릎을 굽혀 몸을 낮춘 것)
In side
상대방의 발끝을 따라 발끝이 따라가며 진행하는 것
Out side
서로의 발이 외측으로 진행하는 것
C.B.M.(Contray Body Movement)
역학적으로 균형을 잡는 것 또는 역동작으로 함으로써 되돌아오는 동작을 보충시킨다.
C.B.M.P.(Contray Body Movement Position)
반동운동에서 오동작이 정지된 상태를 말한다.
M
Man(신사)
W
Woman(숙녀)
L
Left(왼쪽)
R
Right(오른쪽)
F
Forward(전진)
B
BackWard(후진)
Sid
Side(옆)
T
Turn(돌기)
I
In Place(제자리)
Up
뒤축을 들고 발끝으로 선다.
D
Down(무릎을 굽힘)
P(Point)
체중을 두지 않은 채 발끝으로 찍는다.
Toe
발끝
H
Heel(뒤축)
H.T.
Heel Turn(뒤축으로 회전하되 발을 모은다)
Pu
Pull(끌어 당긴다)
H.T.Pu.
Heel Turn Pull(뒤축을 끌어당기며 회전하되 발이 약간 벌어진다.
F.L.
왼쪽 전진
F.R.
오른쪽 전진
B.L.
왼쪽 후진
B.R.
오른쪽 후진
S.L.
왼쪽 옆
S.R.
오른쪽 옆
Acr
Acrosse 발을 꼬아 놓음 = X
AP
Apple 발을 굴러 마루를 친다.
Sli
Slightly 45˚쯤 비켜 옆으로 나감.
S/F
45˚비켜 전진함
S/B
45˚비켜 후진함
X/F
발을 앞으로 꼬아 놓음
X/B
발을 뒤로 꼬아 놓음
CI
Closed 발을 합침
U.A.T(Under Arm turn)
팔 밑으로 회전
|| :: ||
이것은 음악 악보에서 딴 기호로 반복의
표시다.
S
Slow로 1보 step을 2박자로 취한다.
Q
Quick로 1보 step을 1박자로 취한다.
&
and로서 Q 리듬을 1/2로 줄인 시간(Rythm) 표시다.
a
ah로서 &의 Rythm을 1/2한 것이다.
참고문헌...
댄스스포츠의 실제 , 조규청 , 홍경 펴냄, 1999년
http://members.tripod.lycos.co.kr/dancemania/
http://www.koreada.org/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국의 무도인들은 프로와 아마추어 모두 댄스스포츠의 발전을 위해 꾸준히 노력해 왔으며, 그 결과 KASDC는 1996년 IDSF제3회아시아태평양지역 무도선수권대회를 성공적으로 개최하고 아시아 댄스스포츠연맹의 창설을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게 되었다.
KASDC는 서울 총회에서 단체의 명칭을 한국 댄스스포츠연맹 (Korea Dance sport Federation : KDF)으로 개칭하였다. 현재 한국에서는 1970년에 설립된 사단법인 한국무도교육협회(Korea Association of Education of DanceSport), 1990년 설립된 한국 댄스스포츠연맹(Korea Amateur Sport Dance Committee), 한국무도평의회(Korea national Council of Ballroom Dancing), 1996년 설립된 한국무도강사협회 (Korea Association Education Ballroom Dancing), 1997년 설립된 대한스포츠댄싱연맹, 1998년 설립된 한국댄스스포츠연합회(DanceSport Federation of Korea) 등 6개의 주요한 무도단체가 있으며, 그 가운데 한국무도평의회는 WD & DSC에 가입하였고, 한국댄스스포츠연맹은 국제댄스스포츠 연맹에 가입해 왔다.
전국적으로 등록된 무도학원은 1천여 개이며, 주요 언론기관 및 문화쎈터에서 댄스스포츠 강좌를 개설하여 운영해 오고 있으며, 최근에는 지방자치단체와 대학부설 사치교육원 등 공공기관이나 대학에서도 댄스스포츠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보이고 있어 교양강좌로서 크게 각광을 받고 있다.
6. 스포츠 댄스의 특성
1)현대인의 스트레스 해소와 인격완성에 도움을 준다.
오늘날과 같은 긴장과 스트레스 속에서 생활하는 현대인에게 음악을 동반한 유연한 운동을 통하여 스트레스를 해소하고 건강을 유지시켜 주는 이상적인 운동이다. 또한 정중한 예의와 사교성을 추구하는 원만한 사회성을 스포츠댄스(DanceSport)를 통하여 습득할 수 있다.
2)남녀간의 건전한 놀이 문화를 창조한다.
남녀칠세 부동석이라는 유교적 관습에서 벗어난 지 오래지만 사실 남녀가 함께 어울릴 수 있는 놀이는 많지 않은 현실이다. 이런 점에서 남녀의 협력과 조화로 음악의 리듬에 맞추어 춤을 추는 가운데 미적 가치를 창조하는 스포츠댄스(DanceSport)는 남녀의 놀이 문화로서 좋은 점을 가지고 있다. 미국의 유명한 무도교사인 Arthur Murry는 리드믹컬한 신체적 움직임을 통하여 미적 가치를 정서적으로 표현하는 스포츠 댄스를 '음악과의 대화'라고 정의하기도 하였다. Arthur Murry가 스포츠 댄스를 '음악과의 대화'라고 한 것은 스포츠댄스가 리듬을 통한 감정 이입과 미적 향수를 포함하고 있다는 의미이다.
7. 스포츠 댄스의 용어와 약어
L.O.D(Line of Dance or Line of Direction)
춤의 진행방향을 말한다. 이것은 보통 시계 바늘 반대방향이 된다.
벽면: F.W.(Facing to Wall)
보통 벽의 정면을 말한다.
벽사:F.W.D.(Facing to Wall Diagonal)
벽면을 향했을 때 왼쪽 앞쪽을 말한다.
역벽사: F.A.W.(Facing Against to Wall)
벽면을 향했을 때 오른쪽 앞쪽을 말한다.
D.W(Diagonal of Wall)
벽쪽으로 비스듬히 향함
D.C(Diagonal of Center)
중앙 쪽으로 비스듬히 향함
B.D.W(Backing diagnal of Wall)
D.W의 반대반향
B.D.C(Backing Diagnal Center)
D.C의 반대반향
Figure
2보 이상 step이 연결하여 하나의 모양으로 짜여진 것.
Amalgamation
2개 이상의 Figure의 모임
Sway
몸의 기울임(몸을 좌우로 하되 곡선으로 정지 상태가 없다.)
Tilt
몸 전체를 사선이 되도록 기울임
Rise
몸을 높임(뒤꿈치를 들어 몸 전체를 올리는 것
Fall
몸을 낮춤(무릎을 굽혀 몸을 낮춘 것)
In side
상대방의 발끝을 따라 발끝이 따라가며 진행하는 것
Out side
서로의 발이 외측으로 진행하는 것
C.B.M.(Contray Body Movement)
역학적으로 균형을 잡는 것 또는 역동작으로 함으로써 되돌아오는 동작을 보충시킨다.
C.B.M.P.(Contray Body Movement Position)
반동운동에서 오동작이 정지된 상태를 말한다.
M
Man(신사)
W
Woman(숙녀)
L
Left(왼쪽)
R
Right(오른쪽)
F
Forward(전진)
B
BackWard(후진)
Sid
Side(옆)
T
Turn(돌기)
I
In Place(제자리)
Up
뒤축을 들고 발끝으로 선다.
D
Down(무릎을 굽힘)
P(Point)
체중을 두지 않은 채 발끝으로 찍는다.
Toe
발끝
H
Heel(뒤축)
H.T.
Heel Turn(뒤축으로 회전하되 발을 모은다)
Pu
Pull(끌어 당긴다)
H.T.Pu.
Heel Turn Pull(뒤축을 끌어당기며 회전하되 발이 약간 벌어진다.
F.L.
왼쪽 전진
F.R.
오른쪽 전진
B.L.
왼쪽 후진
B.R.
오른쪽 후진
S.L.
왼쪽 옆
S.R.
오른쪽 옆
Acr
Acrosse 발을 꼬아 놓음 = X
AP
Apple 발을 굴러 마루를 친다.
Sli
Slightly 45˚쯤 비켜 옆으로 나감.
S/F
45˚비켜 전진함
S/B
45˚비켜 후진함
X/F
발을 앞으로 꼬아 놓음
X/B
발을 뒤로 꼬아 놓음
CI
Closed 발을 합침
U.A.T(Under Arm turn)
팔 밑으로 회전
|| :: ||
이것은 음악 악보에서 딴 기호로 반복의
표시다.
S
Slow로 1보 step을 2박자로 취한다.
Q
Quick로 1보 step을 1박자로 취한다.
&
and로서 Q 리듬을 1/2로 줄인 시간(Rythm) 표시다.
a
ah로서 &의 Rythm을 1/2한 것이다.
참고문헌...
댄스스포츠의 실제 , 조규청 , 홍경 펴냄, 1999년
http://members.tripod.lycos.co.kr/dancemania/
http://www.koreada.org/
추천자료
사교댄스
밸리댄스에 대하여
포스트 모던댄스의 한국적 수용의 과제
더티댄싱과 쉘위댄스 영화감상문
생활무용과 재즈댄스
쉘위댄스 감상문
댄스 댄스 댄스 REMIX(타이핑 레슨)를 읽고나서
[발레 의상과 얼굴분장][발레의 현대화][재즈댄스][청각장애아교육][발레의 교육적 가치]발레...
[모던댄스][현대춤]현대무용(모던댄스, 현대춤)의 특징과 전개, 현대무용(모던댄스, 현대춤)...
[교육활동][교수학습활동][수업활동][학습활동]바른행동교육활동, 인성교육활동, 독서교육활...
무라카미 하루키의 ‘댄스댄스’를 읽고....
쉘 위 댄스 (Shall we ダンス?/Shall We Dance?) - 쉘위댄스
재즈댄스(Jazz Dance)의 역사와 종류 및 가치
에어로빅댄스의 본질 탐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