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연구의 방법
Ⅲ. 무도의 스포츠사회화 요소
Ⅳ. 무도의 스포츠사회화 특성
Ⅴ. 결 론
※. 참고문헌
Ⅱ. 연구의 방법
Ⅲ. 무도의 스포츠사회화 요소
Ⅳ. 무도의 스포츠사회화 특성
Ⅴ. 결 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조건을 동등하게 만들고, 정신력도 소홀히 하지 않으면서 동시에 신체적 기량도 중
- 89 -
시하는 스포츠로 변화되었다(김명수, 1992). 점차 경쟁 상황이 경기조건을 동등하게 규정하면서 경기의 결과가 신체기량의 우열에 의하여 결정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따라서 신체기량을 강조하게 되었다. 더불어 상대방을 이기기 위하여 신체기량을 强化하기 위한 노력이 연구되고, 이를 위한 트레이닝이 필요하게 되었다.
경기기술면에서도 초
14
기에는 힘의 威力을 위주로 수련하던 것이 1970년대 이후 경기를 모형화 하여 效率的인 경기를 할 수 있는 기술을 훈련하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현대에 와서는 보다 專門的이고 合理的인 技術 中心의 훈련과 전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신체적 기량을 지나치게 강조하므로 점차 얼마나 빨리, 높이 뛸 수 있는가 등의 획일적인 방향을 경기나 기술에 치중, 몰아가는 경향으로 인한 副作用을 함께 招來하고 있음도 중요한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Ⅴ. 결 론
武道의 스포츠社會化에 관한 연구 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武道가 스포츠社會化에서 가장 두드러진 特徵은 人格과 精神을 修養하고 道를 깨닫는 本質이 점차 虛構化 되면서 護身的 役割을 强調하던 動作에서 點數를 위한 동작이나 技術의 訓練으로 바뀌고, 實質性보다는 非生産性으로, 경기규칙은 細分化, 複雜性, 嚴格化 되면서 점점 規則化되고, 性別, 年齡別, 體級別, 競技化와 競技場의 構造 및 競技時間은 規格化 되었으며, 競技結果의 公正性 등의 分離性을 이루었다.
둘째, 약속된 규칙을 통하여 같은 條件, 機會, 道具의 制度로 경기대회의 量的 膨脹, 體級의 承繼, 등의 競爭性을 갖추었다.
셋째, 경기결과의 偶然性 보다는 競技技術과 戰術의 開發, 身體技術과 戰術의 중요성 등이 결과의 결정요인에 중요시 되었다.
넷째, 精神力을 중요시하는 무도는 기술의 開發과 訓練, 스포츠의 身體技倆의 중요성 측면이 점차 신체적 기량을 중시하게 되었다.
- 90 -
참 고 문 헌
강상조(1996). 체육연구방법. 서울 : 21세기교육사.
강신욱(1992). 사회체육 프로그램의 개발원리. 서울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고동영(1995). 한국상고무예사. 서울 : 한뿌리.
고영복(1973). 현대사회심리학. 서울 : 법문사.
(1986). 현대사회학. 서울 : 범문사.
고흥환,김종선,김기웅(1986). 스포츠 심리학 개론. 서울 : 선일문화사.
김경동(1990). 현대의 사회학. 서울 : 박영사.
김명수(1988). 근대사회의 무도
武道의 스포츠社會化에 關한 考察 15
와 스포츠. 서울 : 한양대 체육학논문집 제11호.
(1989). 태권도의 스포츠화과정에 관한 고찰. 서울 : 한국체육학회지 제28권
(1992) 태권도의 스포츠제도화 과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
김상철,이병익,윤상화(1996). 현대 무도론 연구. 경기 : 용인대 무도연구소지.
김영선(1987). 태권도가 지닌 스포츠적 성격에 관한 고찰. 석사논문, 연세대학교
김재일(1987). 검도총서. 서울 : 예맥.
김정행,김상철,김창룡(1997). 무도론. 서울 : 대한미디어.
김창룡(1997). 스포츠 철학. 서울 : 대한미디어.
민원규(1991). 체육사회학에서 본 태권도의 역할에 관한 고찰. 석사논문, 경희대.
오문충(1980). 중국무술 종합유명집. Asian Journal of P.E, Vol.3, No. 1.
유근림(1988). 운동선수의 스포츠 사회화 과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
육군사관학교(1981). 무도교본. 서울 : 형설출판사.
이상철(1990). 스포츠 사회학 개론. 서울 : 형설.
이제홍(1993). 스포츠 사회학 상황요인과 사회체육 참여의 관계. 박사논문, 고려대.
이천희(1996). 스포츠의 철학적 탐구. 서울 : 고려대출판사.
이학래(1990). 한국유도발달사. 서울 : 보경문화사.
임동규(1994). 무예사 연구. 서울 : 학민사.
임번장(1996). 스포츠사회학개론. 서울 : 동화문화사.
(1986). 스포츠사회화에 있어서 경기성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
전형상(1996). 대학 운동선수와 일반학생들의 스포츠사회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D. W. Balland g J. Loy(1975). Sport and Social Order. Massachusetts : Addison-
Welsey Publising Co.
Edwards, H(1975). Sociology
- 91 -
of Sport. Univ. of Califoria
E. Dunning and K.Sheard(1979). Barbarians Gentleman and player-A Socia-logical study of deveopment of Rugby Football "Martin Roberts on g Co.
G. Sage(1974). Sport and American Socialization : Seleccted Reading,
Kenyon, & Mcpherson(1973). Becomimg involved in physical activity and sport : A process of Socialization. N.Y : Academic Press.
Lee. Jong-Young(1986). Karate and TaeKwondo : a Comparative analysis" Univ. of lllinois. Unpublish
16
ed Paper.
Leonard(1980). A Sociological perspectiv of sport, minneapolis, Mn : Burgess publishing co.
Loy, Mcpherson, Kenyon(1978). Sport and Social Systems, Wesly, California.
J. W. Loy(1984). The Agon Motif in Modern Sport. Univ. of lllinois.
Larry Einderbaum(19
- 92 -
77). The Martial Encyclopedia. Indcape, Washngton.
- 89 -
시하는 스포츠로 변화되었다(김명수, 1992). 점차 경쟁 상황이 경기조건을 동등하게 규정하면서 경기의 결과가 신체기량의 우열에 의하여 결정되는 경우가 많아졌으며, 따라서 신체기량을 강조하게 되었다. 더불어 상대방을 이기기 위하여 신체기량을 强化하기 위한 노력이 연구되고, 이를 위한 트레이닝이 필요하게 되었다.
경기기술면에서도 초
14
기에는 힘의 威力을 위주로 수련하던 것이 1970년대 이후 경기를 모형화 하여 效率的인 경기를 할 수 있는 기술을 훈련하는 것으로 바뀌었으며, 현대에 와서는 보다 專門的이고 合理的인 技術 中心의 훈련과 전술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신체적 기량을 지나치게 강조하므로 점차 얼마나 빨리, 높이 뛸 수 있는가 등의 획일적인 방향을 경기나 기술에 치중, 몰아가는 경향으로 인한 副作用을 함께 招來하고 있음도 중요한 현상으로 나타나고 있다.
Ⅴ. 결 론
武道의 스포츠社會化에 관한 연구 結果는 다음과 같다.
첫째, 武道가 스포츠社會化에서 가장 두드러진 特徵은 人格과 精神을 修養하고 道를 깨닫는 本質이 점차 虛構化 되면서 護身的 役割을 强調하던 動作에서 點數를 위한 동작이나 技術의 訓練으로 바뀌고, 實質性보다는 非生産性으로, 경기규칙은 細分化, 複雜性, 嚴格化 되면서 점점 規則化되고, 性別, 年齡別, 體級別, 競技化와 競技場의 構造 및 競技時間은 規格化 되었으며, 競技結果의 公正性 등의 分離性을 이루었다.
둘째, 약속된 규칙을 통하여 같은 條件, 機會, 道具의 制度로 경기대회의 量的 膨脹, 體級의 承繼, 등의 競爭性을 갖추었다.
셋째, 경기결과의 偶然性 보다는 競技技術과 戰術의 開發, 身體技術과 戰術의 중요성 등이 결과의 결정요인에 중요시 되었다.
넷째, 精神力을 중요시하는 무도는 기술의 開發과 訓練, 스포츠의 身體技倆의 중요성 측면이 점차 신체적 기량을 중시하게 되었다.
- 90 -
참 고 문 헌
강상조(1996). 체육연구방법. 서울 : 21세기교육사.
강신욱(1992). 사회체육 프로그램의 개발원리. 서울 : 한국사회체육학회지.
고동영(1995). 한국상고무예사. 서울 : 한뿌리.
고영복(1973). 현대사회심리학. 서울 : 법문사.
(1986). 현대사회학. 서울 : 범문사.
고흥환,김종선,김기웅(1986). 스포츠 심리학 개론. 서울 : 선일문화사.
김경동(1990). 현대의 사회학. 서울 : 박영사.
김명수(1988). 근대사회의 무도
武道의 스포츠社會化에 關한 考察 15
와 스포츠. 서울 : 한양대 체육학논문집 제11호.
(1989). 태권도의 스포츠화과정에 관한 고찰. 서울 : 한국체육학회지 제28권
(1992) 태권도의 스포츠제도화 과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
김상철,이병익,윤상화(1996). 현대 무도론 연구. 경기 : 용인대 무도연구소지.
김영선(1987). 태권도가 지닌 스포츠적 성격에 관한 고찰. 석사논문, 연세대학교
김재일(1987). 검도총서. 서울 : 예맥.
김정행,김상철,김창룡(1997). 무도론. 서울 : 대한미디어.
김창룡(1997). 스포츠 철학. 서울 : 대한미디어.
민원규(1991). 체육사회학에서 본 태권도의 역할에 관한 고찰. 석사논문, 경희대.
오문충(1980). 중국무술 종합유명집. Asian Journal of P.E, Vol.3, No. 1.
유근림(1988). 운동선수의 스포츠 사회화 과정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
육군사관학교(1981). 무도교본. 서울 : 형설출판사.
이상철(1990). 스포츠 사회학 개론. 서울 : 형설.
이제홍(1993). 스포츠 사회학 상황요인과 사회체육 참여의 관계. 박사논문, 고려대.
이천희(1996). 스포츠의 철학적 탐구. 서울 : 고려대출판사.
이학래(1990). 한국유도발달사. 서울 : 보경문화사.
임동규(1994). 무예사 연구. 서울 : 학민사.
임번장(1996). 스포츠사회학개론. 서울 : 동화문화사.
(1986). 스포츠사회화에 있어서 경기성향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양대
전형상(1996). 대학 운동선수와 일반학생들의 스포츠사회화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D. W. Balland g J. Loy(1975). Sport and Social Order. Massachusetts : Addison-
Welsey Publising Co.
Edwards, H(1975). Sociology
- 91 -
of Sport. Univ. of Califoria
E. Dunning and K.Sheard(1979). Barbarians Gentleman and player-A Socia-logical study of deveopment of Rugby Football "Martin Roberts on g Co.
G. Sage(1974). Sport and American Socialization : Seleccted Reading,
Kenyon, & Mcpherson(1973). Becomimg involved in physical activity and sport : A process of Socialization. N.Y : Academic Press.
Lee. Jong-Young(1986). Karate and TaeKwondo : a Comparative analysis" Univ. of lllinois. Unpublish
16
ed Paper.
Leonard(1980). A Sociological perspectiv of sport, minneapolis, Mn : Burgess publishing co.
Loy, Mcpherson, Kenyon(1978). Sport and Social Systems, Wesly, California.
J. W. Loy(1984). The Agon Motif in Modern Sport. Univ. of lllinois.
Larry Einderbaum(19
- 92 -
77). The Martial Encyclopedia. Indcape, Washngt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