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권도 경기기술 훈련방법 연구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내용

Ⅲ.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본문내용

밀어차기+뒷발밀어차기,주먹지르기,나래차기,뒷발돌려차기 등.
공격 + 반격형태
① 발붙여차기+앞발끌면서앞발돌려차기(몸통.얼굴), 뒷발끌면서뒷발돌려차기(몸통.얼굴), 나래차기, 뒷차기 등.
② 앞발밀어차기+뒷주먹지르기, 앞발후려차기, 뒷발받아차기 등.
③ 오른발돌려차기+왼발돌려차
- 314 -
기, 오른앞발후려차기 등.
반격 + 공격형태
① 왼발뒤로빼면서앞발돌려차기+오른뒷발돌려차기(몸통.얼굴), 발붙여차기,뒤차기,앞발뛰어내려차기,나래차기,빠른발돌려차기 등.
② 오른발받아차기+왼발돌려차기, 발붙여차기, 앞발뛰어내려차기,나래차기, 앞후려차기.
③ 뛰어뒷차기+돌려차기, 앞후려차기.
반격 + 반격형태
① 앞발돌려차기+오른발받아차기,앞발돌려차기(길게.짧게), 뒷차기, 앞후려차기,나래차기, 돌개차기.
수영운동이 50대 여성의 체력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태권도 경기기술 훈련방법 연구 15
② 오른발받아차기+왼발받아차기, 뛰어뒷차기, 앞후려차기.
③ 나래차기+돌려차기(얼굴.몸통), 주먹지르기, 앞발후려차기.
다. 감각기술 훈련법(3단계훈련법)
실제 경기상황과 같은 조건에서 훈련하는 방법으로 응용된 기술과 연결된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는 훈련방법으로서 상대동작에 대한 예측능력 (자세.거리조절), 페인트나 모션에 대한 대처능력 등 자동화된 경기기술들을 감각능력에 향상시키는 훈련단계로서 개인의 모든 능력과 기량을 발휘하는 최상의 훈련단계이다
(1) 단일공격에 대한 반격훈련
(가) 대형 : ① 호구를 착용한채 2인1조 겨루기형태로 마주선다.
② 호구를 착용한채 2인1조 이동형태로 마주선다.
(나) 지도 : ① 단일거리를 항상 유지할 수 있도록 주지시킨다.
② 공격자는 보조자의 움직임을 주시한채 보조자의 움직임에 따라 득점부위를 정확 하고 신속하게 가격한다.
(다) 방법 : ① 횟수목표를 지정한다.
② 공격자와 반격자를 구분한다.
③ 상호교대하며 반복한다.
④ 순간동작을 가격할 수 있도록 주의를 집중시킨다.
(라) 내용 : ① 대 응 기 술(발붙여차기시) ⇒ 앞발뒤로빼면서돌려차기(몸통.얼굴), 한걸음빠지면서나래차기,뒤후리기, 뛰어뒷차기, 앞발후리기, 앞주먹걸고돌려차기(몸통.얼굴),앞주먹지르기.
② 대 응 기 술(뒷발돌려차기시
- 315 -
) ⇒ 앞발빼면서뒷발돌려차기, 한걸음빠지면서상단 돌려차기, 앞발후리기, 뒷주먹지르기, 뒷주먹걸고 돌려차기.
③ 대 응 기 술(뒷발내려차기시) ⇒ 앞발45도 방향으로 틀면서 뒷발돌려차기, 한걸음 빠지면서돌려차기
④ 대 응 기 술(뒷차기시) ⇒ 한걸음빠지면서받아차기, 앞발밀어차기
⑤ 대 응 기 술(돌개차기시) ⇒ 제자리에서돌려차기, 뛰어뒷차기, 뒤후리기
⑥ 대 응 기 술(밀어차기시) ⇒ 제자리에서앞발돌려차기,앞발뒤로빼면서돌려차기,나래차기, 뒷차기, 옆으로 빠지면서 앞발 돌려차기.
(2) 복합공격에 대한 반격훈련
(가) 대형 : ① 호구를 착용한 채 2인1조 겨루기 형태로 마주선다.
② 호구를 착용한 채 2인1조 이동형태로 마주선다.
③ 호구를 착용한 채
16
3인1조 형태로 마주선다.
(나) 지도 : ① 상대모션이나 페인트 동작을 주시한다.
② 연결동작의 흐름을 감지해야 한다.
③ 동작과 동작, 모션과 연결동작의 헛점을 파악해서 신속하게 가격한다.
(다) 방법 : ① 목표 횟수를 지정한다.
② 공격자와 반격자을 구분한다.
③ 2-3동작을 연결시켜 반복시킨다.
④ 보조자의 임의대로 가격 순간을 정하도록 한다.
(라) 내용 : ① 대응전술(모션줄때)⇒앞발돌려차기,앞후리기,주먹지르기, 옆으로빠지면서, 앞발돌려차기(몸통,얼굴),뒷발공격후+뒷발빠졌다동시돌려차기,앞발뒤로빼면서차기, 한스탭빠졌다주먹지르기.
② 대응전술(붙여찰때)⇒동시에뒷차기,앞발뺏다차기, 주먹지르기, 나래차기,나래차기시+주먹지르기,뒷차기,뒷발돌려차기.
③ 대응전술(뒤로돌때)⇒동시에뒷발돌려차기.
④ 대응전술(폼바꿀때)⇒발돌려차기(몸통,얼굴)
⑤ 대응전술(뒷발돌려찰때)⇒주먹지르기, 동시에뒷발돌려차기.
⑥ 대응전술(모션
- 316 -
줄때)⇒앞발돌려차기,앞발밀어차기,옆으로빠지면서 돌려차시(몸통, 얼굴).
⑦ 대응전술(발붙여찰때)⇒앞주먹걸어주고돌려차기, 앞발빠지면서 앞발돌려차기,차기.⇒돌개차기시
⑧ 대응전술(돌개찰때)⇒2스탭빠지면서차기, 1스탭 빠지면서 안쪽으로 접근하기.
⑨ 대응전술(뒷차기시) 1-2스텝빠졌다가 뒷차기(몸통, 얼굴).
Ⅲ. 결론 및 제언
이 연구는 현장경험과 문헌고찰 그리고 지도자 면담을 토대로 경기기술의 구성요소들을 구분, 분류했다. 이렇게 구분된 기술의 구성요소들을 모형화시켜 기술의 구조를 설명하였고 경기기술을 보다 효율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기초적인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훈련방법과 프로그램모형
수영운동이 50대 여성의 체력 및 폐기능에 미치는 영향
태권도 경기기술 훈련방법 연구 17
을 제시함으로써 경기기술을 구체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론화시킬 수 있었다. 그러나 경기기술 요인 및 훈련법 프로그램이 실행을 통한 경기력 효과를 검증하지 못하는 제한이 있었으며 기술을 분류하는데 자료가 충분치 않아 어려움이 있었다.
끝으로 이러한 연구를 토대로 더욱 활발한 경기기술의 이론적 정립과 기술분석이 이루어져 태권도 발전에 지속적인 도약이 있기를 바란다.
참 고 문 헌
김운용(1987). 국기태권도교본, 서울 : 오성출판사.
김세혁(1993). 태권도 경기의 공격 및 발놀림 유형에 따른 시도횟수와 성공도 분석,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김채문(1996). 태권도겨루기 훈련모형, 1급 경기지도자수료논문.
박천재(1985). 태권도의 겨루기 기본거리와 돌려차기거리간의 관계연구, 석사학위논문.한국체육대학대학원.
손천댁(1990). 태권도경기 공격유형의 탐색, 태권도학회 연구논문집.
이승국(1984). 태권도 경기스탭 유형
- 317 -
별 분석에 관한 연구, 계간 태권도 한국체육대학학회.
임신자(1993). 태권도경기 기술구조에 관한연구,석사학위논문,상명대학교대학원.
정낙희(1988). 태권도경기의 공격 유형에 따른 득점변인과 실점변인 분석, 태권도 연구논문집.
한국체육과학연구원(1997). 1급경기지도자연수교재. -트레이닝론Ⅱ- 한국체육과학연구원, 경기지도자연수원.

키워드

  • 가격2,0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03.05.11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08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