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들어가는말
Ⅱ. 이동전화의 역사
Ⅲ. 이동전화 이용의 심리적 이유
Ⅳ. 이동전화의 다양한 기능
Ⅴ. 정보이용료와 이동전화
Ⅵ. 이동전화의 사회적인 문제
Ⅶ. 결론
Ⅱ. 이동전화의 역사
Ⅲ. 이동전화 이용의 심리적 이유
Ⅳ. 이동전화의 다양한 기능
Ⅴ. 정보이용료와 이동전화
Ⅵ. 이동전화의 사회적인 문제
Ⅶ. 결론
본문내용
흔히 볼 수 있다. 중·고등학교 수업시간에도 마찬가지라고 한다. 한때 청소년들의 무분별한 핸드폰 사용이 수업을 방해하는 일이 문제가 되기도 했다. 그 문제가 있었을 때보다 핸드폰 소지 율이 높아진 지금은 더 심각하다. 이미 거의 모든 청소년들이 핸드폰을 소지하고 있는 때에 이런 문제들을 가지고 그들에게서 핸드폰을 빼앗을 수는 없을 것이다. 하지만 각 이동통신 회사에서 벌이는 청소년을 위한 핸드폰 광고는 이제 절제를 해야 할 것이다. TV에서 모든 아이들의 필수품으로 정해버리고 신제품이 나올 때마다 청소년들을 부추기는 짓을 그만하자는 것이다. 청소년들이 자신의 힘으로 핸드폰을 향유할 수 없다는 것을 우리가 모두 알고 있지 않은가?
3. 난 흑백폰을 쓰고 싶다.
얼마 전 핸드폰을 구입하러 고사동에 있는 한 이동통신업체의 대리점에 갔다. 기존에 있던 핸드폰이 망가져서 바꿀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고가의 핸드폰은 필요 없고, 그저 전화통화만 잘 되는 핸드폰이면 족했다. 하지만 대리점에 있는 핸드폰은 요즘 한창 광고 중인 56화음에 몇 백가지 색이라는 최신형밖에 없었다. 최신형이라 가격은 모두 30만 원 이상. 거금을 들일 필요가 없다는 생각에 구형 핸드폰을 요구했지만 대리점의 대답은 이제 흑백 폰은 가져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구형 핸드폰은 단종 됐다는 말이었다. 울며 겨자 먹기로 36만원을 주고 모토로라에서 나온 최신형 컬러 핸드폰을 샀다. 모바일 방송은 물론 아직까지 파악하지 못한 수십 가지의 기능이 있는 핸드폰이었다.
21세기는 정보화 사회라고 한다. 갖가지 문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단다. 기술의 발전은 우리의 삶을 더욱 윤택하게 해줄 거란다. 좋은 일이다. 윤택한 삶이라니. 하지만 나는 잠시 나의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기술발전의 혜택을 받는 것을 좀 미루고 싶었다. 그런데 이동통신대리점에서는 그 혜택을 거절 할 수 없다고 한다. 혜택이란 내가 꼭 필요한 것이 있을 때, 나의 요구를 보다 더 잘 실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핸드폰 발전의 혜택을 조금 미루겠다는 나의 소망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금 36만원 짜리 최신형 핸드폰은 더 이상 나에게 기술발전의 혜택이 아니다. 부담일 뿐이며, 더 나아가 자본주의와 기술의 횡포이다. 현재 전국의 모든 이동통신 대리점의 현실이 같을 것이다. 있는 것을 안 가져다 놓는 것이 아니라 “단종”이라면 어느 곳에서도 더 이상 흑백폰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내가 당한 횡포를 당할지를 생각하면 화가 난다. 우리에게는 “혜택”을 거부할 권리조차 없단 말인가?
Ⅶ. 결론
2800만 명이 가지고 있는 이동전화는 처음에는 무선전신으로 1900년대 초 해상선박의 안전운행, 긴급 통신용으로 시작되어 세계 1·2차 대전을 겪으면서 무선 전화로, 해상용에서 육상용으로 발전되었다. 약 백년간의 짧은 이동전화의 역사는 최근 급격한 기술의 발전으로 오늘날과 같은 이동전화의 모습을 띄게 되었다. 이러한 이동전화는 특히 정(精)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한국사회에서 빠른 증가율을 보였고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사회의 유행현상은 항상 이중적인 모습을 띄게 된다. 하나는 어떤 집단에 소속하게 하며 다른 하나는 다른 집단과의 차별이다. 이런 속성으로 말미암아 이동통신업자들은 계속해서 새로운 기능을 선보이고 있다. 새로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즉, 다른 집단과 차별화가 되려면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그 비용이 높게 책정되어 있는 게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 이동통신회사의 주장에 따르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요즘 이동전화를 가지고 할 수 있는 게 아주 많아졌다. 컨텐츠는 참으로 다양해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막상 그것을 일반 소비자가 이용하기에는 부담이 된다. 광고에서는 매번 새로운 모델과 기능을 선보이면서 이동전화 사용의 폭이 매우 커졌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그들은 막상 이런 얘기는 하지 않는다. 이동전화로 영화 한편을 보는데, 축구 경기를 보는데 얼마의 비용이 드는지는 말하지 않는다. 단지 이동전화로 영화를 보고, TV를 보는 것이 소위 사회에서 앞서가는 혹은 멋있는 사람이라는 것만을 강조한다. 실제적으로 요즘 이동전화를 새로 하기 위해 대리점을 가면 흑백폰은 없고 칼라폰만 있다는 것이다. 이는 소비자에게 부담만 안길 뿐이다. 정보화 된 사회라는 것이 앞선 기술만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정보가 많고, 컨텐츠가 다양해지고, 기술이 발전해도 그것을 이용하는데 드는 비용이 비싸다면 우리는 그것들에 접근을 할 수가 없게 되어있다. 이동전화 보급이 많아졌다해도 고급정보,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도 정보격차가 야기될 수도 있다. 우리는 여기서 생각해봐야 할 것이 있다. 전화기에 인터넷이 들어오면서 이제 이동전화 한 대만 가지고 있으면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끊임없이 들어 왔다.(아마 여기엔 설득되어져 왔다는 것이 더 맞는 말일 거 같다.) 그리고 정보사회에서 이동전화가 인터넷에 이어서 필수적인 것이라고 들었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는 짚고 넘어갈 것이 있다. 과연 이동전화로 모든 정보에 접근하고 그 기능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누구이고, 이동전화가 정보사회에 있어 필수적인 항목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누구이고, 그리고 이동전화가 정보사회에 끼친 영향이 그렇게 대단한 것인지 묻고 싶다. 물론 이에 대한 대답은 '있는 자'라는 것이다. 그리고 '있는 자'들의 논리대로 사회영향이 좌지우지 되어왔다. 이제 우리는 현명해질 때이다. 이동전화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기술이 발전한다고 해서 정보화가 '우리'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가 그 기술과 기능에 부담 없는 비용으로 접근할 수 있을 때야 비로소 정보화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하나의 문화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및 사이트...
김현택외 8인공저, 심리학 이해 , 학지사
김문수,박소현, 학습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1
홍대식, 사회심리학, 청암미디어,2001
www.sktelecom.com
www.ktf.co.kr KTF
3. 난 흑백폰을 쓰고 싶다.
얼마 전 핸드폰을 구입하러 고사동에 있는 한 이동통신업체의 대리점에 갔다. 기존에 있던 핸드폰이 망가져서 바꿀 수밖에 없었기 때문이다. 고가의 핸드폰은 필요 없고, 그저 전화통화만 잘 되는 핸드폰이면 족했다. 하지만 대리점에 있는 핸드폰은 요즘 한창 광고 중인 56화음에 몇 백가지 색이라는 최신형밖에 없었다. 최신형이라 가격은 모두 30만 원 이상. 거금을 들일 필요가 없다는 생각에 구형 핸드폰을 요구했지만 대리점의 대답은 이제 흑백 폰은 가져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구형 핸드폰은 단종 됐다는 말이었다. 울며 겨자 먹기로 36만원을 주고 모토로라에서 나온 최신형 컬러 핸드폰을 샀다. 모바일 방송은 물론 아직까지 파악하지 못한 수십 가지의 기능이 있는 핸드폰이었다.
21세기는 정보화 사회라고 한다. 갖가지 문명의 혜택을 받을 수 있단다. 기술의 발전은 우리의 삶을 더욱 윤택하게 해줄 거란다. 좋은 일이다. 윤택한 삶이라니. 하지만 나는 잠시 나의 개인적인 사정으로 인해 기술발전의 혜택을 받는 것을 좀 미루고 싶었다. 그런데 이동통신대리점에서는 그 혜택을 거절 할 수 없다고 한다. 혜택이란 내가 꼭 필요한 것이 있을 때, 나의 요구를 보다 더 잘 실행할 수 있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개인적인 사정으로 핸드폰 발전의 혜택을 조금 미루겠다는 나의 소망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금 36만원 짜리 최신형 핸드폰은 더 이상 나에게 기술발전의 혜택이 아니다. 부담일 뿐이며, 더 나아가 자본주의와 기술의 횡포이다. 현재 전국의 모든 이동통신 대리점의 현실이 같을 것이다. 있는 것을 안 가져다 놓는 것이 아니라 “단종”이라면 어느 곳에서도 더 이상 흑백폰을 볼 수 없기 때문이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내가 당한 횡포를 당할지를 생각하면 화가 난다. 우리에게는 “혜택”을 거부할 권리조차 없단 말인가?
Ⅶ. 결론
2800만 명이 가지고 있는 이동전화는 처음에는 무선전신으로 1900년대 초 해상선박의 안전운행, 긴급 통신용으로 시작되어 세계 1·2차 대전을 겪으면서 무선 전화로, 해상용에서 육상용으로 발전되었다. 약 백년간의 짧은 이동전화의 역사는 최근 급격한 기술의 발전으로 오늘날과 같은 이동전화의 모습을 띄게 되었다. 이러한 이동전화는 특히 정(精)문화를 바탕으로 하는 한국사회에서 빠른 증가율을 보였고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 사회의 유행현상은 항상 이중적인 모습을 띄게 된다. 하나는 어떤 집단에 소속하게 하며 다른 하나는 다른 집단과의 차별이다. 이런 속성으로 말미암아 이동통신업자들은 계속해서 새로운 기능을 선보이고 있다. 새로운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즉, 다른 집단과 차별화가 되려면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그 비용이 높게 책정되어 있는 게 우리 사회의 현실이다. 이동통신회사의 주장에 따르면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서는 연구개발비가 필요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요즘 이동전화를 가지고 할 수 있는 게 아주 많아졌다. 컨텐츠는 참으로 다양해진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막상 그것을 일반 소비자가 이용하기에는 부담이 된다. 광고에서는 매번 새로운 모델과 기능을 선보이면서 이동전화 사용의 폭이 매우 커졌음을 강조한다. 그러나 그들은 막상 이런 얘기는 하지 않는다. 이동전화로 영화 한편을 보는데, 축구 경기를 보는데 얼마의 비용이 드는지는 말하지 않는다. 단지 이동전화로 영화를 보고, TV를 보는 것이 소위 사회에서 앞서가는 혹은 멋있는 사람이라는 것만을 강조한다. 실제적으로 요즘 이동전화를 새로 하기 위해 대리점을 가면 흑백폰은 없고 칼라폰만 있다는 것이다. 이는 소비자에게 부담만 안길 뿐이다. 정보화 된 사회라는 것이 앞선 기술만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정보가 많고, 컨텐츠가 다양해지고, 기술이 발전해도 그것을 이용하는데 드는 비용이 비싸다면 우리는 그것들에 접근을 할 수가 없게 되어있다. 이동전화 보급이 많아졌다해도 고급정보, 컨텐츠에 접근할 수 있는 사람은 제한적이기 때문에 여기에서도 정보격차가 야기될 수도 있다. 우리는 여기서 생각해봐야 할 것이 있다. 전화기에 인터넷이 들어오면서 이제 이동전화 한 대만 가지고 있으면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는 사실을 우리는 매스미디어를 통해 끊임없이 들어 왔다.(아마 여기엔 설득되어져 왔다는 것이 더 맞는 말일 거 같다.) 그리고 정보사회에서 이동전화가 인터넷에 이어서 필수적인 것이라고 들었다. 그런데 여기서 우리는 짚고 넘어갈 것이 있다. 과연 이동전화로 모든 정보에 접근하고 그 기능을 사용하는 사람들은 누구이고, 이동전화가 정보사회에 있어 필수적인 항목이라고 주장하는 사람들은 누구이고, 그리고 이동전화가 정보사회에 끼친 영향이 그렇게 대단한 것인지 묻고 싶다. 물론 이에 대한 대답은 '있는 자'라는 것이다. 그리고 '있는 자'들의 논리대로 사회영향이 좌지우지 되어왔다. 이제 우리는 현명해질 때이다. 이동전화의 기능이 다양해지고 기술이 발전한다고 해서 정보화가 '우리'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가 그 기술과 기능에 부담 없는 비용으로 접근할 수 있을 때야 비로소 정보화가 이루어지는 것이고 하나의 문화도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 참고문헌 및 사이트...
김현택외 8인공저, 심리학 이해 , 학지사
김문수,박소현, 학습심리학, 시그마프레스, 2001
홍대식, 사회심리학, 청암미디어,2001
www.sktelecom.com
www.ktf.co.kr KTF
키워드
추천자료
[IT산업] 이동통신산업에 대하여
이탈리아 정부, 제3이동통신인가를 위해 노력
SK텔레콤의 기업분석 (이동통신사업)
[마케팅]국내 이동통신 시장의 마케팅 전략(SK 텔레콤, KTF, LG 텔레콤)
SK 텔레콤 - 무선 이동통신
SK텔레콤의 기업전략 및 이동통신시장분석
[발표자료]위성이동통신서비스
(4G 이동통신) LTE, LTE Advanced 기술 소개 및 LTE 완벽정리
스마트폰 시장 확대에 따른 이동통신 산업의 변화 가능성 - 2011년의 키워드는 바로 ‘스마트’...
국제경영전략,이동통신산업,핸드폰,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
올레KT,SKT,이동통신사,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
올레KT 경영분석과 마케팅전략분석및 KT의 이동통신시장 1위등극위한 새로운 마케팅전략 제안...
TTL의 브랜드 마케팅 [이동통신 발전]
4G 4세대 이동통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