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가부키란 무엇인가?
2. 가부키의 역사
3. 가부키의 연극성
4. 연기, 연출
※ 가부키의 美
※ 대표적인 가부키 작품 10선
2. 가부키의 역사
3. 가부키의 연극성
4. 연기, 연출
※ 가부키의 美
※ 대표적인 가부키 작품 10선
본문내용
한 반주나 효과음이 아니라 배우의 기예와 대등하게 연주자 개인의 기예를 들려주려는 성격이 강하다.
세 번째로 나무막대이다. 막을 열거나 닫을 때의 신호이며 동시에 배우가 대기실로 들어가거나 대기실에 개막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나무막대로 나무바닥을 치는 소리로 클라이막스의 선명한 인상을 주기도 하며 발소리나 물건이 떨어지는 소리의 의성음을 담당한다.
3. 분장과 무대미술
화장, 의상, 가발은 양식과 인물의 역할에 따라 제각기 정형이 되어 있다. 아라고토의 구마도리(힘을 강조하기 위하여 얼굴에 선을 그리는 화장)는 그를 그리는 역의 성격에 따라 색과 형태의 기본에 차이가 있다. 예) 정의, 용기(붉은색), 초인적인 악(파란색), 미남(흰색)..
이러한 독특한 화장법은 마쓰리 때의 오래된 예능전승을 무의식중 계승하였기 때문이다.
가발도 역의 성격에 의해 정해진 유형이 있다. 무대장치와 소도구도 특수한 예외를 제외하고는 사실적인 표현을 피하고 양식성을 중시하여 제작된다.
4. 연출과 형
일본의 고전예능은 거의 일정한 형을 고스란히 지켜온 예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가부키의 경우는‘형의 예술’이라고 일컬어 질만큼 형에 충실하다. 고전적인 가부키의 연출에는 특정한 작품마다 고정적인 型이라는 것이 있다. 형은 가부키가 기나긴 시간을 거쳐 많은 배우들에 의해 반복되어 상연된 결과 연구가 계속되어 세련되어졌고, 엄격하게 취사선택이 행하여져서 현대에 전승된, 말하자면 결정판적인 성격을 지닌 연출을 말한다. 형은 배우의 가계에 의해 전승된 형과 특정 배우가 창출하여 완성시킨 형, 지역에 전승되어 지방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형이 있다.
가부키의 주역이 되는 배우의 연기를 중심으로 언어며 모든 동작이 일정한 형에 따라 이루어진다. 형의 존재는 고전연극으로서의 가부키를 규범을 고치지 않고 지켜 나가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그 속에는 잘못 해석하여 생긴 연출이나 맹목적으로 전승되어온 예도 없지 않다. 판에 박힌 형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 또한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5. 무대
가부키 무대의 특징은 하나미치와 회전무대가 있다는 점이다. 회전무대는 나미키 쇼조가 발명하여 동시간에 다른 장소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장치를 설치하는데 드는 시간의 절약에만 의의가 있을 뿐이다.
하나미치는 종종 노무대(能舞臺)에 있는 하시가카리와 비교되고 있으나 발상은 같아도 구체적인 면에서 차이가 많다. 하시가카리는 신이 현신하는 길로써 유명계와 노무대를 연결하는 통로지만 하나미치는 관객이 배우와 교류하는 길이다. 하나미치는 연출에 있어 도로나 복도의 표현으로 사용되거나 또 다른 무대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6. 무용
가부키 무용의 대표작은 "무스메도조지"이다. 이 작품은 노에서 상연되는 작품을 받아들여 가부키화시킨 것이다. 여성의 순수한 정열과 격력한 열정이라는 테마의 보편성으로 일본인들에게 애호된 도조지 설화의 후일담을 쫓고 있는데 내용이 극적이기 보다 무용본위로 짜여져 있다. 가부키에서는 무용을 마이(舞), 오도리(踊), 후리(振의) 3요소로 나누고 있다. 마이는 '돌다`라는 말에서 나왔다고 한다. 빙글빙글 조용히 도는 것이 기본이다. 오도리는 옛날에는 「躍」이라는 글자를 사용하여 문자 그대로 약동하는 모습을 의미한다. 후리는 몸 동작(제스추어)를 나타낸다. 이 3요소가 복잡하게 조합되어 일본무용을 이루고 있다.
※ 가부키의 美
비근미 (卑近美) - 순수한 그 자체의 미. 고상하고 전아한 것이 아닌 서민적인 미.
그로테스크적인 미 - 이단적이며 짙고 강한 느낌의 가부키 특징적인 미. 적색의 미.
에로티시즘 - 열락적이며 환락적인 미. 불가사의한 몽환의 세계를 담고 있음.
※ 대표적인 가부키 작품 10선
1) 주신구라(忠臣藏)--- 사랑과 충절
2) 요시쓰네 센본자쿠라(義經千本樓)--- 장구와 여우
3) 구마가이진야(熊谷陣屋)--- 무장의 비극
4) 간진초(勸進帳)--- 벵케이의 충성
5) 슈젠사이야기(修禪寺物語)--- 비극의 탈
6) 낭자도조사(娘道成寺)--- 처녀의 비련과 원한
7) 스케로쿠(助六)--- 요시와라의 쾌남아
8) 요쓰야 괴담(四谷怪談)--- 욕망, 살인, 보복의 말세
9) 스기와라덴주 데나라이카가미 (菅原傳授手習鑑)--- 보은과 자식의 희생
10) 산닝기치사(三人吉三)--- 도둑의 의리
<참고문헌>
1. 일본문화 이해와 연구 정수원 제이앤씨
2. 일본문화 속으로 박화진 외 일본어뱅크
3. 일본문화백과 홍윤기 서문당
세 번째로 나무막대이다. 막을 열거나 닫을 때의 신호이며 동시에 배우가 대기실로 들어가거나 대기실에 개막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나무막대로 나무바닥을 치는 소리로 클라이막스의 선명한 인상을 주기도 하며 발소리나 물건이 떨어지는 소리의 의성음을 담당한다.
3. 분장과 무대미술
화장, 의상, 가발은 양식과 인물의 역할에 따라 제각기 정형이 되어 있다. 아라고토의 구마도리(힘을 강조하기 위하여 얼굴에 선을 그리는 화장)는 그를 그리는 역의 성격에 따라 색과 형태의 기본에 차이가 있다. 예) 정의, 용기(붉은색), 초인적인 악(파란색), 미남(흰색)..
이러한 독특한 화장법은 마쓰리 때의 오래된 예능전승을 무의식중 계승하였기 때문이다.
가발도 역의 성격에 의해 정해진 유형이 있다. 무대장치와 소도구도 특수한 예외를 제외하고는 사실적인 표현을 피하고 양식성을 중시하여 제작된다.
4. 연출과 형
일본의 고전예능은 거의 일정한 형을 고스란히 지켜온 예능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특히 가부키의 경우는‘형의 예술’이라고 일컬어 질만큼 형에 충실하다. 고전적인 가부키의 연출에는 특정한 작품마다 고정적인 型이라는 것이 있다. 형은 가부키가 기나긴 시간을 거쳐 많은 배우들에 의해 반복되어 상연된 결과 연구가 계속되어 세련되어졌고, 엄격하게 취사선택이 행하여져서 현대에 전승된, 말하자면 결정판적인 성격을 지닌 연출을 말한다. 형은 배우의 가계에 의해 전승된 형과 특정 배우가 창출하여 완성시킨 형, 지역에 전승되어 지방적 특징을 보여주고 있는 형이 있다.
가부키의 주역이 되는 배우의 연기를 중심으로 언어며 모든 동작이 일정한 형에 따라 이루어진다. 형의 존재는 고전연극으로서의 가부키를 규범을 고치지 않고 지켜 나가는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지만 그 속에는 잘못 해석하여 생긴 연출이나 맹목적으로 전승되어온 예도 없지 않다. 판에 박힌 형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 또한 계속 이루어지고 있다.
5. 무대
가부키 무대의 특징은 하나미치와 회전무대가 있다는 점이다. 회전무대는 나미키 쇼조가 발명하여 동시간에 다른 장소에서 일어난 사건들을 보여주려는 의도가 있었으나 오늘날에는 장치를 설치하는데 드는 시간의 절약에만 의의가 있을 뿐이다.
하나미치는 종종 노무대(能舞臺)에 있는 하시가카리와 비교되고 있으나 발상은 같아도 구체적인 면에서 차이가 많다. 하시가카리는 신이 현신하는 길로써 유명계와 노무대를 연결하는 통로지만 하나미치는 관객이 배우와 교류하는 길이다. 하나미치는 연출에 있어 도로나 복도의 표현으로 사용되거나 또 다른 무대의 역할을 하는 경우도 있다.
6. 무용
가부키 무용의 대표작은 "무스메도조지"이다. 이 작품은 노에서 상연되는 작품을 받아들여 가부키화시킨 것이다. 여성의 순수한 정열과 격력한 열정이라는 테마의 보편성으로 일본인들에게 애호된 도조지 설화의 후일담을 쫓고 있는데 내용이 극적이기 보다 무용본위로 짜여져 있다. 가부키에서는 무용을 마이(舞), 오도리(踊), 후리(振의) 3요소로 나누고 있다. 마이는 '돌다`라는 말에서 나왔다고 한다. 빙글빙글 조용히 도는 것이 기본이다. 오도리는 옛날에는 「躍」이라는 글자를 사용하여 문자 그대로 약동하는 모습을 의미한다. 후리는 몸 동작(제스추어)를 나타낸다. 이 3요소가 복잡하게 조합되어 일본무용을 이루고 있다.
※ 가부키의 美
비근미 (卑近美) - 순수한 그 자체의 미. 고상하고 전아한 것이 아닌 서민적인 미.
그로테스크적인 미 - 이단적이며 짙고 강한 느낌의 가부키 특징적인 미. 적색의 미.
에로티시즘 - 열락적이며 환락적인 미. 불가사의한 몽환의 세계를 담고 있음.
※ 대표적인 가부키 작품 10선
1) 주신구라(忠臣藏)--- 사랑과 충절
2) 요시쓰네 센본자쿠라(義經千本樓)--- 장구와 여우
3) 구마가이진야(熊谷陣屋)--- 무장의 비극
4) 간진초(勸進帳)--- 벵케이의 충성
5) 슈젠사이야기(修禪寺物語)--- 비극의 탈
6) 낭자도조사(娘道成寺)--- 처녀의 비련과 원한
7) 스케로쿠(助六)--- 요시와라의 쾌남아
8) 요쓰야 괴담(四谷怪談)--- 욕망, 살인, 보복의 말세
9) 스기와라덴주 데나라이카가미 (菅原傳授手習鑑)--- 보은과 자식의 희생
10) 산닝기치사(三人吉三)--- 도둑의 의리
<참고문헌>
1. 일본문화 이해와 연구 정수원 제이앤씨
2. 일본문화 속으로 박화진 외 일본어뱅크
3. 일본문화백과 홍윤기 서문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