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가사 장르 연구의 역사
2.가사의 장르
1)시가장르설
2)수필장르설
3)교술장르설
4)종합장르설
5)독립장르설
2.가사의 장르
1)시가장르설
2)수필장르설
3)교술장르설
4)종합장르설
5)독립장르설
본문내용
하여 서정적, 서사적, 교술적 가사라는 하위분류의 장르계념을 확립해야 한다. 그러므로 가사장르의 국문학적 양태의 분류는 가사일 수밖에 없다.”
) 전일환, 앞의 책, p.150
라고 주장한 바 있다.
김동욱은 장편가사를 수필로 다루려는 입장에 반대하면서 그대로 '가사의 범주' 속에 두는 것이 좋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것의 예로 중국의 賦는 다른 장르에 귀속시키지 않고 그 자체 장르로서 근 2천년 내려오고 있다는 사실을 들고 있다. 그리고 그 내용은 가사도 있고 서정도 있고 감회도 있으니 우리의 가사와 비슷한 부류의 장르라고 하였다.
) 김동욱, 국문학개설, 민중서관, 1975, p.74
또 이동영은
) 이동영, 한국문학개론, 삼영사, 1991, p.156
가사는 '상춘곡'과 같은 서사적 양식, '사미인곡'과 같은 서정적 양식, '귄선지로가'와 같은 교술적 양식 등을 두루 포괄하고 있는 종합적인 특수한 존재라고 하면서, 문학양식이란 문학작품이 지향하고 있는 세계에 대한 작자의 정신적 태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양식 속에 가사 문학 전체가 포괄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가사를 서구의 장르 체계에서 파악할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문학장르를 인정하는 기술적 장르체제에서 파악해야 한다고 하며“가사는 가사이다.”라는 결론을 내렸다.
※ 참고문헌
김광순,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류연석, 한국가사문학사, 국학자료원, 1994
서원섭, 가사문학론, 형설출판사, 1983
정연희, 가사의 장르적 성격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00
최강현, 가사문학론, 새문사, 1986
) 전일환, 앞의 책, p.150
라고 주장한 바 있다.
김동욱은 장편가사를 수필로 다루려는 입장에 반대하면서 그대로 '가사의 범주' 속에 두는 것이 좋겠다는 뜻을 밝혔다. 그것의 예로 중국의 賦는 다른 장르에 귀속시키지 않고 그 자체 장르로서 근 2천년 내려오고 있다는 사실을 들고 있다. 그리고 그 내용은 가사도 있고 서정도 있고 감회도 있으니 우리의 가사와 비슷한 부류의 장르라고 하였다.
) 김동욱, 국문학개설, 민중서관, 1975, p.74
또 이동영은
) 이동영, 한국문학개론, 삼영사, 1991, p.156
가사는 '상춘곡'과 같은 서사적 양식, '사미인곡'과 같은 서정적 양식, '귄선지로가'와 같은 교술적 양식 등을 두루 포괄하고 있는 종합적인 특수한 존재라고 하면서, 문학양식이란 문학작품이 지향하고 있는 세계에 대한 작자의 정신적 태도에 따라 결정되는 것이므로 어느 하나의 양식 속에 가사 문학 전체가 포괄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가사를 서구의 장르 체계에서 파악할 것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 문학장르를 인정하는 기술적 장르체제에서 파악해야 한다고 하며“가사는 가사이다.”라는 결론을 내렸다.
※ 참고문헌
김광순, 국문학개론, 새문사, 2003
류연석, 한국가사문학사, 국학자료원, 1994
서원섭, 가사문학론, 형설출판사, 1983
정연희, 가사의 장르적 성격 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 국어국문학과, 2000
최강현, 가사문학론, 새문사, 19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