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궁근종 case study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병태생리

2.원인

3.증상

4.진단

5.치료

6.간호

본문내용

조기이상, 사지운동 시범과 교육연습
④ 수술 승낙서를 받고 수술 전 직장을 비워 수술부위 압력을 감소시킨다.(금연)
⑤ 수술 전 며칠동안 저 섬유 식이를 권하여 수술전날 10시 이후부터 금식한다.
(물먹는 것도 금지)
⑥ 하제 투여, 관장실시
⑦ 목욕은 필요에 따라 수술전날 실시
⑧ 수술부위 청결 위해 피부 준비한다.
⑨ 유치 도뇨관을 삽입 : 수술 중 방광 팽만으로 인해 수술부위 압박을 예방하기 위해
⑩ 질식 자궁절제술 시행시-질 궤양, 위축성 질 염은 미리 치료
⑪ 근치 자궁절제술은 위관을 삽입하여 복부 팽만을 예방할 수도 있다.
⑫ 수술을 위한 기본검사를 실시한다
: 흉부, 복부 X선 촬영, 혈액검사, 소변검사, 간 기능 검사, 심전도, 초음파술
⑬ 수술당일아침에는 수술 복을 입히고 손톱, 발톱, 매니큐어, 화장 지우고, 장신구등 보철 제품 제거한다.
⑭ 환자 이완 위해 수술 전 투약
2) 수술 후 간호
① 회복실에서 대상자가 돌아왔을 때 필요한 사정
·의식 수준
·수술 방법, 마취 과정
·투여된 약물
·수술 중 어려웠던 점
·정맥 주입 또는 수혈 연결
·상처의 모양과 분비물
·질강내 패킹 또는 도뇨관 배액관의 유무
·구강 섭취 가능의 여부
·체위 : 좌측위
②수술 직후 출혈과 호흡기 합병증 조기 발견을 위하여 필요한 사정
·충분한 수분 공급-탈수, 저혈압 예방
·활력 징후 측정
·숨소리 청진-분비물 축적 유무 사정
·피부색 상태 관찰
·복부 상처, 출혈, 회음 패드 관찰
·헤모박의 양과 특성 관찰
·I/O체크
·복대 : 복부 근육을 지지하기 위해
·대상자의 의식이 명료해지고 오심, 구토가 사라지면 베개를 밴다.
③ 안위 간호
·진통제 투여
·복식 자궁 절제술을 한 경우
* 수술 부위에 모래주머니를 올려 지혈과 동통 완화에 효과가 있게 한다.
* 자세는 편하게 하고 움직일 때는 수술 부위를 지지한다.
* 심호흡, 객담 배출, 체위변경, 조기 이상등의 필요성, 중요성을 설명하고 이때 수술 상처를 지지한다.
·질식 자궁 절제술을 한 경우 : 좌욕, 회음 램프, 빙낭 적용 → 회음부의 불편감 완화
·간호사는 부드럽고, 여유있는 태도로 대상자를 대한다.
·구강 간호, 등마사지 등으로 신체적 안위 도모
·수면 장애 요인 사정해 충분한 수면을 돕는다.
④ 심리적 안위 간호
·수술 후 신체, 생리 변화 설명
·수술 결과,예후 재설명
·수술부위 봉합의 발사 시기,퇴원 예정일 설명
⑤ 호흡기 합병증 예방 간호
·의식이 회복되면 심호흡, 객담 배출(가습기를 틀어 용이하도록 한다.), 체위 변경 실시
·일어나 앉는 것 권장 → 폐확장을 도모 시킨다.
·호흡수 측정, 청진 → 무기폐 예방
⑥ 복부 팽만 간호
·체위 변경 자주
·비위관을 손으로 짜주거나 흡인 → 배액 작용, 장운동 촉진 → 복부 팽만 예방
⑦ 순환기 합병증 예방 간호
·마취에서 깨어난 뒤, Fowler체위를 취할때는 2시간마다 10분간 앙와위
·운동을 하도록 권장
·장시간 앉거나 다리를 꼬아 눕거나 앉는 자세, 무릎을 오래 구부리는 자세는 피한다.
·무릎 아래에 베개를 고이지 않는다.
⑧ 수술 부위 간호
·염증 증후(발적, 부종, 동통, 출혈유무) 관찰, 기록
·복대로지지
⑨ 영양 간호
·장음 청진 : 연동 운동 회복 사정
·장운동 회복시 물부터 마시게 한다. → 유동식, 반유동식, 고형식으로
·상처 회복을 위해 단백질, 비타민 B,C등 필요
⑩ 배설 간호
▶·복부 및 질식 자궁 절제술 후의 배설 간호
* 48시간후 소변 배출 복귀
* 감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 요법
* 충분한 수액 요
* 혈뇨(방광 손상) 관찰
* 합병증 관찰
▶근치 자궁 절제술을 받은 후 배설 간호
* 자연 배뇨 불가능시 유치 도뇨관 장기간 삽입 - 감염 조심
* 장기간 요정체시 방광 훈련
* 전 자궁 절제술 받은 환자보다 배뇨 장애가 더 심하다.
▶방광 훈련 과정
* 환자에게 현상황을 자세히 설명
* 방광 훈련에 참여하도록 동기 부여
* 자연 배뇨해야 퇴원 가능함을 설명
* 조수식 배액법 교육 실시
* 어느 정도 훈련이 끝나면 도뇨관 제거
* 3-4시간 마다 소변 배설하고 난후 잔뇨량 측정, 잔뇨랑 60ml이상이면 잔뇨증
⑪ 여성 위생 증진
·회음 패드를 질분비물이 없어질 때까지 하고, 때로는 수술 후 며칠간 소독 패드를 한다.
·패드수, 분비량, 냄새, 색깔, 분비물 성상 기록 보고
·교환시 회음 부위 청결
·회음 청결 후 요도 주위에 항균 연고제 바르기도 한다.
3) 퇴원을 위한 준비 간호
① 대상자의 자긍심 강화를 위한 간호
·여성으로서의 자신에 대한 감정을 솔직히 토로할 기회를 준다.
·양쪽 난소가 제거되지 않은 경우 폐경을 일찍 경험하기 않음을 설명한다.
·자궁 절제술을 받았으나 여전히 아름다운 여성임을 확인 시킨다.
② 성기능 회복을 위한 교육
·성관계에는 아무런 지장이 없음을 해부 생리적인 근거를 제시하여 설명한다.
·성교는 6-8주후부터 시작할 수 있고, 성교시 진희를 충분히 하고 수용성 윤활제를 바르게 한다.
③ 집안일이나 직장 생활로 복귀할 때의 주의점 : 완전 회복되어 신체 증상(수술 상처 부위의 불편감, 요통 호소, 쇠약감, 활동의 장애, 질출혈, 질 분비물, 식욕과 체중의 변화), 폐경 증상(안면, 홍조, 발한위의 증상)이 없어지는 시기 → 수술후 8-9개월
④ 대처 방안
·수술 상처 부위의 불편감 - 온찜질로 근육 이완 도모, 복대로 수술 부위지지
·쇠약감 - 충분한 영양 섭취(단백질, 비타민 공급 추가)
- 갱년기 여성 : 칼슘 섭취, 저콜레스테롤 음식, 철분,섬유질 음식 권장
·질출혈 , 질분비물 - 질내 이물질 삽입, 세척은 6-8주간 피한다.
- 뒷물은 항문 주위만 하고 통목욕은 4주까지 금한다.
·식욕과 체중 변화 - 소화되기 쉬운 음식 소량을 자주 섭취
- 변비 예방, 충분한 수분 섭취, 섬유질 풍부한 식품, 적절한 운동 필요
·위험한 합병증 대처 방안 - 심한 통증, 다량 출혈, 발열, 악취나는 질분비물시 병원으로
·심리, 사회적 적응에 대한 대처 방안 - 수술 전에 대상자와 배우자의 자궁 절제술에 관한 지식, 태도 및지지 정도를 사정하고 교육한 내용을 퇴원 준비 교육에서도 재강조, 반복설명

키워드

원인,   증상,   진단,   치료,   간호,   장폐색
  • 가격2,3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03.05.29
  • 저작시기2003.0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36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