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악의 역사』내 피에 흐르는 역사를 찾아서....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내 피에 흐르는 역사를 찾아서.... (민악)

1. 민악의 개념과 접근론
①민속악과 민악
②민악의 접근
2. 민악의 범위와 갈래
3.한국 민악사의 기존연구 성과
4.한국민악사 소사(小史)

* 나가며....

*** 참고자료 ***

본문내용

, 무등의 장단악기도 발달하였다. 소리꾼이나 광대등도 나타나게 되면서 서민들 사이에서 음악은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 기층민중들의 음악에 관해서는 노동은, 《한국근대음악사》1, 92∼127쪽 참고.
넷째시기는 전환기로서 민악시대이다. 이 시기는 1860년부터 근대가 전개되는 시기로서 기독교와 그 음악을 수용하면서도 새로운 한국민악을 독자적으로 발전시키는 시기이다. 자발적이지 않은 서양문물의 흡수에 따라 민속음악은 이 시기부터 본격적으로 뿌리가 흔들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미국식 서양음악이 대중을 사로잡고 외래음악의 모방도 많아졌다. 그러나 한국민악은 '인간과 인류에게 널리 나누어 이익을 주려는 한국 공동체문화의 핵심' 임을 깨닫게 된다는 점에서 새로운 전환기에 접어들었다고 할 수 있다.
) 이 분야에 관한 필자의 글 세편이 있다. 〈교육시장 개방에 대응한 음악교육내용 개발〉,《교육시장 개방과 한국의 예술교육》(한국예술종합학교 부설 한국예술연구소, 1994), 53∼77쪽:〈남북통일음악 발전계획〉《전통공연예술 진흥방안》(94국악의 해 전통공연예술진흥을 위한 심포지움) 47∼92쪽 :〈한국음악의 미래〉1∼12쪽
나가며
항상 우리것 판소리나 사물놀이 한판보고 나면 우리 것에 대한 아쉬움과 갈증이 쉽게 사라질 수 있는 것이 바로 우리 음악이다. 민악사에 대해 훑어보면서 우리 음악 공통적으로 지배하는 한가지는 어느 시대이고 농경사회가 전개되었다는 점에서 농경사회를 중심으로 한 문화적 구조의 민악이었다는 것이다.
*** 참고자료 ***
우리역사 - 신재갑
민악의 역사 - 박주태
한국 근대 음악사 1권

키워드

민악,   역사,   민속악,   음악,   민악사
  • 가격4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06.11
  • 저작시기2003.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0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