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최강XP를 위한 팁&테크 내용 목록)
1. DOS모드에서 XP설치하는 방법
2. 메뉴팝업속도를 빠르게 하기
3. CD-ROM 자동인식 비활성화
4. 인터넷익스플로러 로딩속도 향상법
5. 오류 보고(MS전송)창 나타나지 않게 하기
6. 입력도구모음 없애기
7. <시작>에서 문서메뉴 삭제하기
8. 폴더창 속도향상하기
9. 임시인터넷 파일크기 최대한 줄이기
10. 다운로드 갯수 변경하는 방법
11. <시작>에서 도움말메뉴 삭제하기
12. 윈도우 창이 뜨는 속도 높이기
13. 내컴퓨터등 기본아이콘 보이게하기
14. 폴더를 열었을때 화일아이콘의 화면출력(Refrash rate)속도 향상
15. 실시간 동영상을 끊김없이 감상하기
16. 아이콘에 오른쪽 클릭해서 [보내기 메뉴]에 메모장등을 추가하는 방법
17. L2캐쉬 지정으로 속도향상 시키기
18. 캐쉬메모리 체적화로 속도 높이기
19. 내컴퓨터의 [공유문서] 제거방법
20. Windows Messenger 삭제하는 방법
21. 무응답 응용프로그램 타임아웃 시간줄이기
22. 시스템종료 로그오프창 고전적인 형태로 변경하기
23. 윈도우 시작시 자동로그온방법
24. msconfig에서 필요없는 서비스항목 해지하여 부팅속도 올리기
25. 바탕화면 단축아이콘에서 화살표 없애기
26. 바탕화면 아이콘 폰트 투명하게 하기
27. 저사양 컴터에서 잘 돌아가게 하는방법
28. 프로그램오류시 시스템 재부팅 방지
29. NumberLock설정방법
30. MSN Explorer제거방법
31. 빠른 웹서핑을 위한 인터넷 익스플로러 최적셋팅법
32. 시작메뉴의 로그오프 없애기
33. 회사이름과 사용자 이름 바꾸기
34. 인터넷 익스플로러 로고 바꾸기
35. 시스템 등록 정보에 로고 추가하기
36. 로그온 때 메시지 띄우기
37. DirectX 버전 확인방법
38. 자신의 윈도XP 정품 인증 확인방법
39. 그룹정책(GPEdit)실행으로 시스템 설정하기
40. 익스플로러 시작시 풀스크린으로 항상 시작
41. DMA 설정을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조건
42. 방화벽설정/제거방법
43. 종료로고만 나오고 전원안꺼질때
44. 지워도 보이는 프로그램목록지우기
45. 휴지통이름 변경방법
46. 파일시스템 FAT/NTFS장단점
47. 비디오카드 지원 모든 해상도 보는방법과 사용법
48. 실행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
49. Shift키의 10가지 기능
50. 베드섹터 검사및 베드섹터 복구하는 방법
51. 부팅후 및 탐색기실행시 A드라이브 안 읽게 하기
52. 하드가 이유없이 계속 읽기를 반복할때
53. BootVis 를 이용한 부팅 최적화
54. Fdisk 올가이드
1. DOS모드에서 XP설치하는 방법
2. 메뉴팝업속도를 빠르게 하기
3. CD-ROM 자동인식 비활성화
4. 인터넷익스플로러 로딩속도 향상법
5. 오류 보고(MS전송)창 나타나지 않게 하기
6. 입력도구모음 없애기
7. <시작>에서 문서메뉴 삭제하기
8. 폴더창 속도향상하기
9. 임시인터넷 파일크기 최대한 줄이기
10. 다운로드 갯수 변경하는 방법
11. <시작>에서 도움말메뉴 삭제하기
12. 윈도우 창이 뜨는 속도 높이기
13. 내컴퓨터등 기본아이콘 보이게하기
14. 폴더를 열었을때 화일아이콘의 화면출력(Refrash rate)속도 향상
15. 실시간 동영상을 끊김없이 감상하기
16. 아이콘에 오른쪽 클릭해서 [보내기 메뉴]에 메모장등을 추가하는 방법
17. L2캐쉬 지정으로 속도향상 시키기
18. 캐쉬메모리 체적화로 속도 높이기
19. 내컴퓨터의 [공유문서] 제거방법
20. Windows Messenger 삭제하는 방법
21. 무응답 응용프로그램 타임아웃 시간줄이기
22. 시스템종료 로그오프창 고전적인 형태로 변경하기
23. 윈도우 시작시 자동로그온방법
24. msconfig에서 필요없는 서비스항목 해지하여 부팅속도 올리기
25. 바탕화면 단축아이콘에서 화살표 없애기
26. 바탕화면 아이콘 폰트 투명하게 하기
27. 저사양 컴터에서 잘 돌아가게 하는방법
28. 프로그램오류시 시스템 재부팅 방지
29. NumberLock설정방법
30. MSN Explorer제거방법
31. 빠른 웹서핑을 위한 인터넷 익스플로러 최적셋팅법
32. 시작메뉴의 로그오프 없애기
33. 회사이름과 사용자 이름 바꾸기
34. 인터넷 익스플로러 로고 바꾸기
35. 시스템 등록 정보에 로고 추가하기
36. 로그온 때 메시지 띄우기
37. DirectX 버전 확인방법
38. 자신의 윈도XP 정품 인증 확인방법
39. 그룹정책(GPEdit)실행으로 시스템 설정하기
40. 익스플로러 시작시 풀스크린으로 항상 시작
41. DMA 설정을 반드시 해야 하는 이유/조건
42. 방화벽설정/제거방법
43. 종료로고만 나오고 전원안꺼질때
44. 지워도 보이는 프로그램목록지우기
45. 휴지통이름 변경방법
46. 파일시스템 FAT/NTFS장단점
47. 비디오카드 지원 모든 해상도 보는방법과 사용법
48. 실행에서 바로 실행할 수 있는 명령어
49. Shift키의 10가지 기능
50. 베드섹터 검사및 베드섹터 복구하는 방법
51. 부팅후 및 탐색기실행시 A드라이브 안 읽게 하기
52. 하드가 이유없이 계속 읽기를 반복할때
53. BootVis 를 이용한 부팅 최적화
54. Fdisk 올가이드
본문내용
셔야 합니다.
3번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4 개의 하위 메뉴가 나옵니다.
[③ - 하위 메뉴]
1) Delete Primary DOS Partition
2) Delete Extended DOS Partition
3) Delete Logical Drive(s) in the Extended DOS Partition
4) Delete Non-Dos Partition
(한글화 메뉴)
1) 기본 도스 분할 영역삭제
2) 확장 도스 분할 영역삭제
3) 확장 도스 분할 영역에서 논리 도스 드라이브 삭제
4) 비 도스 분할 영역 삭제
(설명)
1)은 기본 영역을 지우는 메뉴로, 기존의 하드를 분할했을 경우 확장 영역을 지우기 전까지는 지워지지
않습니다. 만약 그 전에 분할 하지 않고 하드를 하나로 썼다면 여기서 기본 영역을 지우세요.
2)은 처음에 하드를 2부분으로 분할 해서 사용 했을 경우 확장 영역을 지우는 곳입니다. 여기서 확장
역영을 지우고 나머지 기본 영역은 1)에서 지우시기 바랍니다.
3)은 하드를 2부분 이상으로 분할 해서 사용 했을 경우 논리드라이브를 지우는 메뉴입니다.
만약 하드를 3부분으로 나누어서 썼다면 논리드라이브를 여기서 지우시고 다음 확장드라이브는 2)
에서 다음 기본 영역은 1) 순으로 지우시기 바랍니다.
4)은 도스외에 다른 운영체제를 지우는 메뉴입니다. (예: NTFS..)
Ⅲ. 파티션 만들기
기존의 하드 영역을 모두 지웠으니까 새로 다시 영역을 정해줘야합니다. 다시 처음 fdisk 기본메뉴로
돌아가서("ESC" 키를 누르면 돌아간다.) 1번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3개의 하위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① - 하위 메뉴]
1) Create Primary DOS Partition
2) Create Extended DOS Partition
3) Create Logical Drive(s) in the Extended DOS Partition
(한글화 메뉴)
1) 기본 도스 분할 영역 지정
2) 확장 도스 분할 영역 지정
3) 확장 도스 분할 영역에 논리 도스드라이브 지정
(설명)
1)은 기본영역을 지정해주는 곳으로 나중에 C 드라이브가 됩니다.
2)은 확장 영역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3)은 하드를 3이상으로 분할할 때 사용하는 메뉴입니다.
A. 하드디스크가 하나 일때
a. 파티션을 하나로 만들기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드라이브로 하고 싶으시면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fdisk기본 메뉴에서 파티션을
만들기 위해 1번을 선택하고 , 그러면 위와 같이 세 개의 하위 메뉴가 나타난다. 여기서, 다시 1번을 선택을
하면 파티션을 하나로 쓸것이냐 아니냐 하는 [Y/N]의 선택 항목이 나오게 되는데 이때에 "Y"를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이렇게 "Y"를 선택을 하게 되면 다시 부팅을 한다는 메시지가 나오게 되는데 부팅 후 Format을 하면
모든 작업이 끝나게 됩니다.
b. 파티션을 두개나 세개 이상으로 만들기
30GB의 하드디스크를 우리는 5GB, 5GB,20GB이렇게 3 개로 분할할 경우..
먼저 파티션을 하나로 나눌 때처럼 일단은 [Y/N]가 나오는 항목까지 가서
이번에는 "Y"가 아니라 "N"를 치면
커서가 밑으로 가면서 30000 라는 숫자와 함께 깜박거리게 됩니다.
이때에 5000 이라고 치고 엔터를 치면 기본 메뉴화면으로 돌아 가게 되는데 다시 1번을 누른 다음에 이번에는
2 번을 누르고 들어가면 남아 있는 용량인25000 이라는 숫자와 함께 커서가 깜박 거리게 됩니다. 이 숫자가
나오면 그냥 엔터를 치게 되면 어떤 메시지와 함께 다시 25000 이라는 숫자가 나오게 되는데 이때에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만일 하드디스크를 두개로 나누어서 사용을 하고 싶다면 이곳에서 그냥 엔터를 치면 되고
그렇지 않고 3개로 나누어서 사용을 하고 싶다면 이곳에서 다시 5000 이라는 숫자를 입력하게 되면 다시
20000 (30000 - 5000+5000 ) 이라는 숫자가 나오게 됩니다.
하드디스크를 더 분할을 하고 싶다면 다시 20000 보다 적은 숫자를 넣어 주면 되고 끝내고 싶다면 그냥
엔터를 치면 됩니다.
B. 하드디스크가 두 개(여러 개)일 때
하드디스크가 2개나 여러 개일 때도 파티션을 나누는 방법은 같습니다. 다만 주의할 것은 자신이 파티션을
나누고자 하는 하드디스크를 정확하게 선택을 해주어야 합니다. (기본 메뉴의 5번 메뉴 이용) 그리고, 덧붙
여서 설치하는 하드 디스크를 파티션 나눌때 용도를 생각해서 기본 도스영역을 만들것인지 아니면 모두 확장
도스영역으로 만들것인지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자료 백업용으로만 쓸거라면 모두 확장 도스 영역으로 만들
어도 되지만.. 나중 운영체제도 설치할 계획인 경우에는 기본 도스 영역을 지정한 후 확장 도스 영역을 만드
셔야 다시 파티션 나누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잇습니다.
그 후에는 하드디스크 하나일 때와 방법은 동일합니다.
Ⅳ. 드라이브 활성화 (Format)
* 파티션 나누는 작업이 다 끝났으면..나눈 파티션을 활성화시켜 줘야 합니다.
- fdisk 기본메뉴로 돌아 오셔서 2) - Set Active Patition 메뉴를 선택합니다.
이 메뉴는 부팅 영역을 활성화 해주는 곳으로 항상 C 드라이브만을 선택해야 합니다.
(다른 곳을 선택하면 부팅이 안됩니다. 이런걸 흔히 "텃세 부린다"고 하죠^^)
- "dos 실행 영역으로 지정하려는 분할 영역의 번호를 입력하시오 ---[ ]" 에 "1" 을 입력하고 엔터..
- 이제 모든 작업이 끝났습니다.
만약 하드가 분할된 정보를 보고 싶으시면 fdisk 기본 메뉴에서 4) 를 선택합니다. 다 보셨으면 Esc 키를 눌러
fdisk를 빠져 나갑니다.
- 그런 다음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A드라이브에 부팅디스켓이 삽입된 상태에서..)
- A:> 화면이 나오면 가장 끝 부분 드라이브부터 Format을 합니다.
예를 들어 하드를 C, D, E로 나누었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하세요.
A:>format e:
A:>format d:
A:>format c:
라고 치고 Enter를 치세요.
3번 메뉴를 선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4 개의 하위 메뉴가 나옵니다.
[③ - 하위 메뉴]
1) Delete Primary DOS Partition
2) Delete Extended DOS Partition
3) Delete Logical Drive(s) in the Extended DOS Partition
4) Delete Non-Dos Partition
(한글화 메뉴)
1) 기본 도스 분할 영역삭제
2) 확장 도스 분할 영역삭제
3) 확장 도스 분할 영역에서 논리 도스 드라이브 삭제
4) 비 도스 분할 영역 삭제
(설명)
1)은 기본 영역을 지우는 메뉴로, 기존의 하드를 분할했을 경우 확장 영역을 지우기 전까지는 지워지지
않습니다. 만약 그 전에 분할 하지 않고 하드를 하나로 썼다면 여기서 기본 영역을 지우세요.
2)은 처음에 하드를 2부분으로 분할 해서 사용 했을 경우 확장 영역을 지우는 곳입니다. 여기서 확장
역영을 지우고 나머지 기본 영역은 1)에서 지우시기 바랍니다.
3)은 하드를 2부분 이상으로 분할 해서 사용 했을 경우 논리드라이브를 지우는 메뉴입니다.
만약 하드를 3부분으로 나누어서 썼다면 논리드라이브를 여기서 지우시고 다음 확장드라이브는 2)
에서 다음 기본 영역은 1) 순으로 지우시기 바랍니다.
4)은 도스외에 다른 운영체제를 지우는 메뉴입니다. (예: NTFS..)
Ⅲ. 파티션 만들기
기존의 하드 영역을 모두 지웠으니까 새로 다시 영역을 정해줘야합니다. 다시 처음 fdisk 기본메뉴로
돌아가서("ESC" 키를 누르면 돌아간다.) 1번 메뉴를 선택합니다. 그러면 다음과 같은 3개의 하위 메뉴가
나오게 됩니다.
[① - 하위 메뉴]
1) Create Primary DOS Partition
2) Create Extended DOS Partition
3) Create Logical Drive(s) in the Extended DOS Partition
(한글화 메뉴)
1) 기본 도스 분할 영역 지정
2) 확장 도스 분할 영역 지정
3) 확장 도스 분할 영역에 논리 도스드라이브 지정
(설명)
1)은 기본영역을 지정해주는 곳으로 나중에 C 드라이브가 됩니다.
2)은 확장 영역을 설정하는 곳입니다.
3)은 하드를 3이상으로 분할할 때 사용하는 메뉴입니다.
A. 하드디스크가 하나 일때
a. 파티션을 하나로 만들기
하드디스크를 하나의 드라이브로 하고 싶으시면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fdisk기본 메뉴에서 파티션을
만들기 위해 1번을 선택하고 , 그러면 위와 같이 세 개의 하위 메뉴가 나타난다. 여기서, 다시 1번을 선택을
하면 파티션을 하나로 쓸것이냐 아니냐 하는 [Y/N]의 선택 항목이 나오게 되는데 이때에 "Y"를 선택을 하시면
됩니다.이렇게 "Y"를 선택을 하게 되면 다시 부팅을 한다는 메시지가 나오게 되는데 부팅 후 Format을 하면
모든 작업이 끝나게 됩니다.
b. 파티션을 두개나 세개 이상으로 만들기
30GB의 하드디스크를 우리는 5GB, 5GB,20GB이렇게 3 개로 분할할 경우..
먼저 파티션을 하나로 나눌 때처럼 일단은 [Y/N]가 나오는 항목까지 가서
이번에는 "Y"가 아니라 "N"를 치면
커서가 밑으로 가면서 30000 라는 숫자와 함께 깜박거리게 됩니다.
이때에 5000 이라고 치고 엔터를 치면 기본 메뉴화면으로 돌아 가게 되는데 다시 1번을 누른 다음에 이번에는
2 번을 누르고 들어가면 남아 있는 용량인25000 이라는 숫자와 함께 커서가 깜박 거리게 됩니다. 이 숫자가
나오면 그냥 엔터를 치게 되면 어떤 메시지와 함께 다시 25000 이라는 숫자가 나오게 되는데 이때에 주의를
하셔야 합니다. 만일 하드디스크를 두개로 나누어서 사용을 하고 싶다면 이곳에서 그냥 엔터를 치면 되고
그렇지 않고 3개로 나누어서 사용을 하고 싶다면 이곳에서 다시 5000 이라는 숫자를 입력하게 되면 다시
20000 (30000 - 5000+5000 ) 이라는 숫자가 나오게 됩니다.
하드디스크를 더 분할을 하고 싶다면 다시 20000 보다 적은 숫자를 넣어 주면 되고 끝내고 싶다면 그냥
엔터를 치면 됩니다.
B. 하드디스크가 두 개(여러 개)일 때
하드디스크가 2개나 여러 개일 때도 파티션을 나누는 방법은 같습니다. 다만 주의할 것은 자신이 파티션을
나누고자 하는 하드디스크를 정확하게 선택을 해주어야 합니다. (기본 메뉴의 5번 메뉴 이용) 그리고, 덧붙
여서 설치하는 하드 디스크를 파티션 나눌때 용도를 생각해서 기본 도스영역을 만들것인지 아니면 모두 확장
도스영역으로 만들것인지 선택을 하셔야 합니다. 자료 백업용으로만 쓸거라면 모두 확장 도스 영역으로 만들
어도 되지만.. 나중 운영체제도 설치할 계획인 경우에는 기본 도스 영역을 지정한 후 확장 도스 영역을 만드
셔야 다시 파티션 나누는 번거로움을 피할 수 잇습니다.
그 후에는 하드디스크 하나일 때와 방법은 동일합니다.
Ⅳ. 드라이브 활성화 (Format)
* 파티션 나누는 작업이 다 끝났으면..나눈 파티션을 활성화시켜 줘야 합니다.
- fdisk 기본메뉴로 돌아 오셔서 2) - Set Active Patition 메뉴를 선택합니다.
이 메뉴는 부팅 영역을 활성화 해주는 곳으로 항상 C 드라이브만을 선택해야 합니다.
(다른 곳을 선택하면 부팅이 안됩니다. 이런걸 흔히 "텃세 부린다"고 하죠^^)
- "dos 실행 영역으로 지정하려는 분할 영역의 번호를 입력하시오 ---[ ]" 에 "1" 을 입력하고 엔터..
- 이제 모든 작업이 끝났습니다.
만약 하드가 분할된 정보를 보고 싶으시면 fdisk 기본 메뉴에서 4) 를 선택합니다. 다 보셨으면 Esc 키를 눌러
fdisk를 빠져 나갑니다.
- 그런 다음 컴퓨터를 재부팅합니다.
(A드라이브에 부팅디스켓이 삽입된 상태에서..)
- A:> 화면이 나오면 가장 끝 부분 드라이브부터 Format을 합니다.
예를 들어 하드를 C, D, E로 나누었다면 다음과 같은 순서로 하세요.
A:>format e:
A:>format d:
A:>format c:
라고 치고 Enter를 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