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국어학 음운론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동화

2. 이화

3. 음운의 축약과 탈락

4. 음운의 첨가

5. 음운의 전위

본문내용

는 것이 그 기능이라고 볼 수 있다. 여기에는 자음첨가와 모음첨가의 방법이 있다.
(1)자음첨가
첨가되는 현상은 다시 중모음화에서 /j/ 첨가현상과 절음삽입현상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①/j/ 첨가의 경우
[예] 하어>하여, 개에>개예 등
②절음삽입현상
[예] 조+쌀>좁쌀('ㅂ'첨가)
수+것>수컷('ㅎ'첨가)
속잎>송닙, 담요>담뇨, 집옆>짐녑('ㄴ'첨가)
볼일>볼릴, 알약>알략, 털요>털료('ㄹ'첨가)
냇가>내까, 콧등>콧띄, 핏줄>피쭐(사이'ㅅ')
(2) 모음첨가
조음상 'ㅡ'모음의 삽입이 두드러진다.
[예] 솜으로(비교:소로), 먹으니(비교:가니), 있으되(비교:먹되)
그 밖에 국어사전적인 변화 중 다음의 예들도 음소첨가로 이루어진 것이다.
[예] 죠힝>좌힝(>종이), 더디다>더지다>던지다
Ⅴ.음운의 전위
어떤 두 음의 일정한 제자리가 엇바뀌는 것을 전위(轉位, methathesis)현상이라고 하는데, 이것은 이론상 탈락과 첨가의 두 작용이 차례로 복합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음절이 바뀐 예들은 국어에서 상당수 발견된다.
[예] 동남>남동, 생사>사생(결단), 시종>종시, 이별>별리, 위아래>아래위, 서벅서벅>버석버석
국어사적으로 볼 때 '하야로비(중세)>해오라기(현대국어)'는 어중의 '-aro->-ora-'의 전위이다. 또한 '빛복(중세)>빛곱(근대국어)'은 '-pok>-kop'으로의 음운전위이다. 음절이 바뀐 예로는 '시혹(중세)>혹시(현대국어)', '-더시, -거시(중세)>-시더, -시거(현대국어)'의 예들이 있다.
<참고문헌>
오정란. 현대 국어음운론, 서울: 형설출판사. 1993.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03.06.27
  • 저작시기2003.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3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