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주>에서 볼수있는 사회상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객주’라는 책은...
2.주의하며 읽은 내용
3.객주와 여각에 대해
객주
여각
거간
4.서문
5.소설`객주` 속의 조선시대후기 변화와 그에 따른 상업적 배경에 대해...
6.소설 `객주`에 나타나는 상업이 이루어지는 장소에 대해
(1) 시장과 장시의 역할과 대강의 내용
(2) 포구상업
7.결론

본문내용

들의 판매독점권을 지켜나가기 위해 도중이라는 조합조직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지방의 장시에서 활동하는 보부상들도 그들의 단결과 이익을 옹호하기 위해 보부상단이라는 조합조직을 가지고 있었다. 이러한 조합조직을 통해 그들 단체의 이익을 지켜나갔음을 더 말할 나위없다. '객주'속에서 신석주를 비롯한 도중회에서 보부상을 품에 안으려는 민씨정권에 대해 소를 올리는 것에서 볼 수 있으며, 상단 자체적으로 죄를 지은 이를 엄하게 단속하므로 해서 결속력을 가지게 하는 장면을 볼 수 있는 것이다.
* 글 속에서 나오는 보부상
1.보부상의 사전적의미
:봇짐장수와 등짐장수를 아울러 이르는 말
2 글 속의 보부상들
보부상을 '객주'속에서는 도부꾼이나 난전꾼들로 불러진다. 이러한 보부상들은 유기적으로 연게된 장시나 포구를 이어주며 상품을 유통하게 된다. 선돌이와 작반한 봉삼이 일행이나 조성준의 일행들은 밤새 걸어 다음 장에 들어서고 잠깐 새우잠을 잔 후 물화를 푸는 것을 볼 수 있다. 물화를 푸는 것도 객주나 여각에서 임치한 후 물화를 팔거나 장시에서 곧바로 다른 보부상들과 흥정하여 팔게 되는 것이다. 그후 다른 물화를 산 뒤 그 물화가 귀한 곳으로 파는 것이 기본이다. 이러한 거래의 모습은 봉삼이가 평강에서 마방을 차린 후, 자리잡고자 평강의 면목을 가지고 원산까지 가서 물화를 그곳 객주에게 푼 후 북어를 사가지고 다시평강으로 오는 것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렇게 보부상이 여러 물화를 다루기도 하지만 특정적인 물화만을 다룬 도부꾼들도 있다.그 예로 조성준이나 천봉삼이 쇠살쭈로 마방을 열고, 소금만을 전문적으로 다룬다든지, 신석주처럼 담배나 메주등을 물화로 삼는 예가 있다. 이러한 보부상들은 각 지역을 돌아다니기에 정보에 빠르고, 상리를 취하기에 어느 정도 다른 이들과 달리 임기응변이 빠름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점차적으로 그들 사이에서 보부상단같은 조합조직이 생겨남을 알 수 있다.
7.결론
이 소설을 읽기 전에는 과연 예전의 조선시대 상공업의 발달이 지금 우리가 사는 현대사회에서도 적용,학습될 수있을까라는 의문을 가지며 읽기 시작했었다. 그리고 그런 나의 생각은 정말로 많이 달라졌다. 물론 지금 우리가 강의시간에 베우는 물류의 유통,마케팅전략, 경영등등의 어휘적인 차이점은 있지만 그 시대의 상업에서도 이와 같은 내용의 전략아닌 전략이있었다. 아니 이보다 더욱 치밀하고 본받을 점이 많다. 조선시대 후기는 역사학적으로 볼 때 상업인들이 가장 발달할 수있었던 시기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우리내 조상들은 그들의 상업을 발전시켰다. 그리고 글 속에서 나온 신분의 놀랄만한 변화등도 우리는 주목해야할 것이다. 조선시대에 상인이란 그저 미천한 신분이라고 여겨져 왔다고 우리는 역사시간에 베웠다. 하지만 이 글속의 상인들의 당당함과 그들의 행동은 본인의 고정관념과 중고등학교시절에 베운 6년간의 역사적지식을 철저하게 파괴시킨 것 같다. 바로 그것이다. 상업은 우리내 조상,즉 미천하기에 선택한 것 이아니라 그들의 꿈과 우리들이 알 수 없는 그 무언가가 그들의 가슴속에 있었던 것 은 아니였을까라는 의구심마져든다.
이번 기회를 통해 본인은 비단 조선시대의 상업의 발달과 그 속에서 베어나는 풋풋한 인간냄새를 맡을 수있었던 것 뿐 아니라 그 속의 인물들과 그들의 모든 면을 통해 진정한 유통인이란 무엇인가를 느낄 수있었던것같다.
목차
1. 이 책에 대해
2. 주의하여 읽어야 할 점
3. 객주와 여각에 대해
4. 서문
5. 소설'객주' 속의 조선시대후기 변화와 그에 따른 상업적 배경에 대해.
6. 소설'객주'에 나타나는 상업이 이루어지는 장소에 대해
7. 결론

키워드

객주,   여각,   보부상,   장시,   포구상업
  • 가격7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07.10
  • 저작시기200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44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