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질환보고서 : Chronic Kideny Disease (만성 콩팥기능 상실)]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기준
5. 치료방법
6. 간호중재
7. 퇴원교육(보호자 교육 포함)
8. 재활간호
9. 참고문헌
[2.진단적 검사 결과]
1. 혈액검사
2. Chest pa
3. Abdoman Erect supine
4. MRI Brain, Brain MRA, Carotid MRA, Diffusion
5. EKG
6. PTA
7. DPOAE
[3.약물치료]
[4.치료현황]
1. 식이
2. 호흡
3. 피부 손상 위험성
1. 정의
2. 원인
3. 증상
4. 진단기준
5. 치료방법
6. 간호중재
7. 퇴원교육(보호자 교육 포함)
8. 재활간호
9. 참고문헌
[2.진단적 검사 결과]
1. 혈액검사
2. Chest pa
3. Abdoman Erect supine
4. MRI Brain, Brain MRA, Carotid MRA, Diffusion
5. EKG
6. PTA
7. DPOAE
[3.약물치료]
[4.치료현황]
1. 식이
2. 호흡
3. 피부 손상 위험성
본문내용
ult_drug.asp?drug_cd=A11A0740A0095
약학정보원. 콤비신주.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50A0592
약학정보원, 넥시움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A5271
약학정보원. 휴로스카로스 현탄액.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2040200001
약학정보원. 무코스타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4270A0014
드러그인포. 베스자임 정. http://www.druginfo.co.kr/detail/product_cp_cancer.aspx?pid=1380
의학검색엔진. 본키연질캡슐.
http://www.kmle.co.kr/viewDrug.php?m=%B6%F3%BD%C4&inx=1581&c=4855678ca8b08b092ab353309336db8a
약학정보원. 큐레틴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PPPPP0413
약학정보원. 패브릭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09090300019
약학정보원. 렌벨라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1102400009
약학정보원, 타켄에프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6082600010
서울아산병원. 모티리톤 정. http://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MTON30&searchKeyword=
약학정보원. 훼로바유서방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HHHHH0249
약학정보원. 스티렌투엑스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5110200032
약학정보원, 카나브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0091000001
약학정보원. 레나밀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340A0422
의학검색엔진. 프로그랍캡슐.
http://www.kmle.co.kr/viewDrug.php?m=%B6%F3%BD%C4&inx=30541&c=d3b923de63cc0e76ce8d273979d85748
약학정보원. 소론도 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4290B0015
[4.치료현황]
대상자의 기타 치료(식이, 운동, 특수치료 등) 현황이나 계획을 파악하시오.
1. 식이
신장의 기능 저하로 신장을 대신해서 몸 속 노폐물을 기계로 걸러주는 혈액 투석을 오랜 기간 받고 있다.
-> 노폐물과 수분이 몸에 많이 축적되지 않도록 적절한 식이요법을 실시해야 한다.
① I/O 매일 사정하고, 환자와 보호자에게 I/O 균형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매일 기록하도록 교육한다.
② 혈액 검사를 통해 체내 전해질 균형 정도를 확인한다.
③ 체내 수분이 계속해서 축적될 시 이뇨제(Aldatone, Lasix)를 투여하도록 한다.
④ 체내 수분 상태, 체중 변화 양상, 혈압, 소변량에 따라 수분은 1일 1,000ml 이내, 염분은 1일 2-3g 정도로 제한한다.
⑤ 근육마비, 심장마비, 부정맥 등을 일으킬 수 있는 포타슘 섭취를 줄이기 위해 채소는 끓는 물에 대치고 여러번 헹궈서 조리하도록 하며 껍질이나 줄기를 제거하고 잎만 사용하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⑥ 지나치게 많은 양의 인이 몸 속에 쌓이면 뼈로부터 칼슘이 빠져나와 뼈가 약해지고 부스러지기 쉬우므로 인은 1일 800-1,000mg으로 제한하여 섭취하도록 한다.
⑦ 지나친 조절로 체중감소나 체조직의 손상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적절 체중과 영양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단순 당이 높은 식품과 높은 열량의 음식들을 섭취하도록 하고 노폐물이 쌓이게 되는 단백질을 제한하도록 한다.
2. 호흡
체내 과도한 양의 수분 축적으로 인해 호흡곤란과 기침, Chest discomfort를 호소하고 있으며 supine position을 취하면 숨이 더 가빠져 대부분의 시간을 반좌위를 취하고 있다.
-> 호흡곤란을 중재하기 위해 체액 과다를 방지하도록 한다.
① 매일 체중과 I/O를 사정한다.
② 혈액 검사를 통해 Hb와 Hct 수치를 측정한다.
③ 필요시 nasal tube를 통해 O2 3L/min을 공급하도록 한다.
④ 처방에 따라 이뇨제(Lasix), 혈관확장제(Isoket), 혈압강하제(Kanarb)를 투여하도록 한다.
⑤ 호흡 양상(호흡수, 호흡음, 통증유무, 부속근 사용여부 등)을 사정한다.
⑥ 폐 확장이 잘 되는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3. 피부 손상 위험성
만성 신부전으로 인한 2차적인 부갑상샘 기능항진과 피부와 칼슘이 축적되면서 심한 소양증이 발생하고 땀샘의 위축으로 피부에 칼슘이 축적되며 심한 소양증이 발생하고 피부가 건조해져 있으며 양쪽 다리에 itching skin이 관찰된다.
-> 피부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간호를 실시한다.
① 피부의 색, 탄력성, 혈관 분포 등을 관찰하고 홍반과 긁은 자국, 반상 출혈 등이 있는 지 사정한다.
② 체위를 자주 변경하고, 뼈돌출 부위는 부드러운 것으로 대주도록 한다.
③ 손툽을 짧게 자르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 취침 시 장갑을 끼고 자도록 한다.
④ 처방에 따라 가려움을 호소는 곳에 연고(Highrosone crea. 또는 칼라민 로션)를 바르도록 한다.
약학정보원. 콤비신주.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250A0592
약학정보원, 넥시움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GGGGA5271
약학정보원. 휴로스카로스 현탄액.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2040200001
약학정보원. 무코스타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4270A0014
드러그인포. 베스자임 정. http://www.druginfo.co.kr/detail/product_cp_cancer.aspx?pid=1380
의학검색엔진. 본키연질캡슐.
http://www.kmle.co.kr/viewDrug.php?m=%B6%F3%BD%C4&inx=1581&c=4855678ca8b08b092ab353309336db8a
약학정보원. 큐레틴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PPPPP0413
약학정보원. 패브릭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09090300019
약학정보원. 렌벨라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1102400009
약학정보원, 타켄에프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6082600010
서울아산병원. 모티리톤 정. http://amc.seoul.kr/asan/healthinfo/druginfo/drugInfoDetail.do?odcd=MTON30&searchKeyword=
약학정보원. 훼로바유서방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HHHHH0249
약학정보원. 스티렌투엑스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5110200032
약학정보원, 카나브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2010091000001
약학정보원. 레나밀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0340A0422
의학검색엔진. 프로그랍캡슐.
http://www.kmle.co.kr/viewDrug.php?m=%B6%F3%BD%C4&inx=30541&c=d3b923de63cc0e76ce8d273979d85748
약학정보원. 소론도 정. http://www.health.kr/searchDrug/result_drug.asp?drug_cd=A11A4290B0015
[4.치료현황]
대상자의 기타 치료(식이, 운동, 특수치료 등) 현황이나 계획을 파악하시오.
1. 식이
신장의 기능 저하로 신장을 대신해서 몸 속 노폐물을 기계로 걸러주는 혈액 투석을 오랜 기간 받고 있다.
-> 노폐물과 수분이 몸에 많이 축적되지 않도록 적절한 식이요법을 실시해야 한다.
① I/O 매일 사정하고, 환자와 보호자에게 I/O 균형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매일 기록하도록 교육한다.
② 혈액 검사를 통해 체내 전해질 균형 정도를 확인한다.
③ 체내 수분이 계속해서 축적될 시 이뇨제(Aldatone, Lasix)를 투여하도록 한다.
④ 체내 수분 상태, 체중 변화 양상, 혈압, 소변량에 따라 수분은 1일 1,000ml 이내, 염분은 1일 2-3g 정도로 제한한다.
⑤ 근육마비, 심장마비, 부정맥 등을 일으킬 수 있는 포타슘 섭취를 줄이기 위해 채소는 끓는 물에 대치고 여러번 헹궈서 조리하도록 하며 껍질이나 줄기를 제거하고 잎만 사용하는 음식을 섭취하도록 교육한다.
⑥ 지나치게 많은 양의 인이 몸 속에 쌓이면 뼈로부터 칼슘이 빠져나와 뼈가 약해지고 부스러지기 쉬우므로 인은 1일 800-1,000mg으로 제한하여 섭취하도록 한다.
⑦ 지나친 조절로 체중감소나 체조직의 손상이 유발될 수 있으므로 적절 체중과 영양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단순 당이 높은 식품과 높은 열량의 음식들을 섭취하도록 하고 노폐물이 쌓이게 되는 단백질을 제한하도록 한다.
2. 호흡
체내 과도한 양의 수분 축적으로 인해 호흡곤란과 기침, Chest discomfort를 호소하고 있으며 supine position을 취하면 숨이 더 가빠져 대부분의 시간을 반좌위를 취하고 있다.
-> 호흡곤란을 중재하기 위해 체액 과다를 방지하도록 한다.
① 매일 체중과 I/O를 사정한다.
② 혈액 검사를 통해 Hb와 Hct 수치를 측정한다.
③ 필요시 nasal tube를 통해 O2 3L/min을 공급하도록 한다.
④ 처방에 따라 이뇨제(Lasix), 혈관확장제(Isoket), 혈압강하제(Kanarb)를 투여하도록 한다.
⑤ 호흡 양상(호흡수, 호흡음, 통증유무, 부속근 사용여부 등)을 사정한다.
⑥ 폐 확장이 잘 되는 자세를 취하도록 한다.
3. 피부 손상 위험성
만성 신부전으로 인한 2차적인 부갑상샘 기능항진과 피부와 칼슘이 축적되면서 심한 소양증이 발생하고 땀샘의 위축으로 피부에 칼슘이 축적되며 심한 소양증이 발생하고 피부가 건조해져 있으며 양쪽 다리에 itching skin이 관찰된다.
-> 피부손상을 예방하고 치료하기 위한 간호를 실시한다.
① 피부의 색, 탄력성, 혈관 분포 등을 관찰하고 홍반과 긁은 자국, 반상 출혈 등이 있는 지 사정한다.
② 체위를 자주 변경하고, 뼈돌출 부위는 부드러운 것으로 대주도록 한다.
③ 손툽을 짧게 자르도록 하며 필요한 경우 취침 시 장갑을 끼고 자도록 한다.
④ 처방에 따라 가려움을 호소는 곳에 연고(Highrosone crea. 또는 칼라민 로션)를 바르도록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