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의 오락성과 공익성 - 두마리 토끼 잡기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방송의 공익성에 대한 올바른 이해
2. BBC의 방송 이념
3. 두 마리의 토끼 - 공익성과 시청률
4. 현 시청률 조사의 문제점

III. 결론

본문내용

서서 문제의 개선을 꾀해야 할 것이다. 이미 1995년 각 방송사 사장들이 시청률 조사의 폐지를 결의한 바를 상기한다면, 이러한 범 방송사 차원의 노력이 전혀 무망한 일만은 아니다. 이미 KBS는 '공영성 지수' (Public Service Index: PSI)를 프로그램 평가의 한 기준으로 제시하고 있고, 문화방송 또한 새로운 프로그램 평가기준 마련을 위한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앞서도 지적했듯이, 개별 방송국 차원의 작업은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두 번째는, 시청률 문제를 해결하는 또 하나의 장치로서, 방송비평을 강화, 활성화시키는 작업이다. 시청률 조사는 좋은 프로그램을 생산하기 위한 기초 자료의 하나를 찾는다는 것에 그 궁극적인 의미가 있다. 그러나 이 같은 일차적 자료에 더해, 새로운 방송 프로그램 평가방식의 기초로서 생각해야 할 것은 좋은 방송비평이다. '좋은 비평이 좋은 문학작품을 생산하는 기반'이듯이 '좋은 비평이 좋은 방송을 만드는 기반'이라는 의미에서 각 방송사는 물론, 방송협회 차원에서 중요한 일상사업의 하나로 방송비평 분야를 지원하고, 또 이 부분에서 기존에 진행되고 있는 사업이 있다면 이를 적극 확대해야한다. 방송이 가지고 있는 막중한 역할이나 영향력에 대해서는 모든 사람이 동의하면서도, 방송발전의 핵심이 되는 프로그램 비평에 대해서는 거의 관심을 두고 있지 않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신문기사 수준, 모니터 수준의 방송비평은 일정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다. 어떤 의미에서는 이러한 정도의 비평밖에 없기 때문에 좋은 방송 프로그램이 생산되지 않는다고도 말할 수 있다. 보다 수준 높고, 내용 있는 방송 프로그램 비평을 방송사에서, 그리고 방송협회 차원에서 적극 지원하면서 키운다면 이는 방송 공익성을 강화하는 매우 유익한 작업이 될 수 있을 것이다.
III. 결론
지금까지 방송의 공익성과 시청률에 대해 개괄적으로 살펴봄으로써 그 해결책을 미흡하나마 찾아보려고 노력하였다. 중요한 것은 공익성을 가진 프로그램에 대한 선입견을 버리는 일이다. 재미있으면서 공공에게 유익한 프로그램을 얼마든지 만들 수 있다. 다만 이는 일선 제작자들의 노력과 수용자들의 적극적인 비평과 참여를 통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시청률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는 지금의 방송 제도를 개선하여 올바른 프로그램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여야 한다.
참고문헌
김승수 (2002). 매체소유연구. 언노련 총서: 전국언론노동조합연맹
조항제 (1999). "공영방송의 변화와 MBC : 정체성을 중심으로"
《멀티미디어 시대 공영방송의 위상과 진로》, 73∼103쪽.
최영묵 (1997). 방송 공익성에 관한 연구.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강태영. 방송 공익성의 철학적 함의에 대한 소고.
최영묵 (2003). 지상파 텔레비전/프로그램 평가와 개선방안.
2000.11.16. 국정감사 보도자료 / 민주당 이미경.
방정배. 방송철학과 이념 그리고 한국방송의 패러다임.
강남준 (2003). 새로운 트렌드가 일고 있다. 두 마리 토끼잡기
MBC TV GUIDE.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03.07.27
  • 저작시기2003.0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60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