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VA(뇌질환 간호 case)
본 자료는 7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해당 자료는 7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7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간호력

2. 질병에 대한 기술

3. 대상자의 간호과정

4. 투약

5. 진단적 검사결과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영양상태, 호르몬, 혈중 삼투압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간손상 신증후군, 단백손실 장질환, eyfolistive dermatitis, 화상시 감소
AST
0-40
48
67
혈청 transaminase의 증가는 세포내 유출에 의한 것이며 AST, ALT의 이상치는 언제나 두 효소의 상호관계를 유의하며 해석해야 한다.
급성간염, 만성간염, 간경면증, 지방간, 간암, 폐쇠성황달, 혈액순환부전으로 인한 간장애, 심근경색증, 골격근질환등 두효소치의 상호비교에 의한 상태파악
ALT
0-40
24
52
ALP
40-250
407
307
간담관계 질환 : 폐쇄성 활달인 경우 5배이상 증가, 간암이나 간농양등의 공간점유성 간질환의 경우 ALP의 현저한 증가
골질환 : 골아세포에서 유래하는 골성 ALP생성질환이 있는 경우 정상 상한치의 3배정도 증가
Iron
60-190㎍/dl
49
:Hb합성이 원활하지 못한 빈혈, 철공급부족, 지속적 혈액손실 질환, 간염증, 악성종양, 급성업증, 철결핍성
5) Blood chemistry(Ⅱ)
항목
정상범위
결과
임상적 의의
7/28
7/29
7/30
7/31
8/1
8/2
8/3
8/4
Na
135-145
mEq/l
144
152
152
144
137
133
142
142
: 수분결핍, na과잉투여, 요붕증, ald
osterone증
: 고지혈증, 고단백혈증, 고혈당, 구토, 설사, 신증후군, 간경변
Cl
98-110
mEq/L
114
122
121
114
105
103
114
111
체액이 삼투압을 유지하는 음이온으로 HCO₃와 보완적으로 변동하므로 혈장 CL의 이상은 HCO₃이나 유기 등의 음이온 변화를 의미
T.CO₂
23-27
Vol%
17
17
18
14
15
18
13
16
Osmo(s)
289-308
mOsm/kg
324
357
334
321
302
297
305
298
다뇨증의 감별진단, 인공투석, 뇨의 농축, 희석의 정도를 정확하게 알고자 할때 검사
: 고나트륨혈증, 수분결핍, 중추신경장애, 고혈당
BUN
4.7-23.4
mg/dl
19
34
29
28
30
: 신장질환, 요로폐쇄, 악성종양, 갑상선기능항진
CK
0-185u/l
444
: 급성심근경색증 골격근질환, 악성종양, 과로한 운동
2. 방사선검사
1) 2003. 7. 24 chest PA
cardiomegaly(심장비대증)
2) 2003. 7. 26 CT Brain simple
Right PCA and MCA infarction(오른쪽 후대뇌동맥과 중대뇌동맥의 경색)
(right PCA infarction is main lesion-오른쪽 후대뇌동맥 경색이 주 손상임)
3) 2003. 7. 26 M.R Brain routine + M.R angio
1. Right PCA and MCA infarction(right PCA infarction is main lesion)
2. No visualzation right ICA and PCA
(오른쪽 내경동맥과 후대뇌동맥에는 보이는 것이 없음)
3. Multifocal severe stenosis, right M!, M2 and both A1
(오른쪽 M1, M2 그리고 A1의 많은 부위에 심한 협착)
4. Mild multiple stenosis, right M1, M2 and both A1
(오른쪽 M1, M2 그리고 A1에 경증의 다발성 협착)
5. irregular in both vertebra and basilar artery
(양쪽 척추골과 기저동맥이 불규칙적)
6. Nonspecific high signal intensity lesion in the both periventricular
white matter on T2, W1 and F1 air image
- ischemia, demyelination or others
(양쪽 뇌실의 T2, W1의 백질 부분과 F1의 공기영상에 강렬한 손상이 일반적인 높은 수준임)
4) 2003. 7. 28 Echo
acute myocardial infarction inferior wall, AF
(심장의 하위벽에 급성 심근경색, 심방세동)
5) 2003. 8. 2 US Abdomin Routine
1. A small nonspecific parenchymal calcification in S5
(S5부위에 작은 일반적인 실직성 칼슘침착)
2. A 3.7㎝ simple cyst in left kidney
(왼쪽 신장에 3.7㎝의 단순낭종)
3. Right pleural effusion
(오른쪽 흉막의 삼출물)
6) 2003. 8. 5 chest AP
R/O atelectasis of LLL
(폐의 좌하엽이 무기폐로 추정됨)
3. EKG
1) 2003. 7. 28 6:10
suspected left ventr. hypertrophy sinus tachycardia
ST-segment. depression(lateral, anterior)
negative T-wave(lateral, inferior)
large nagative T-wave(anterior)
prolonged QT
probably abnormal ECG
occasional premature ventricular conplexes
atrial fibrillation
tachycardia
slightly depressed ST segment(anterior)
negative T-wave
2) 2003. 7. 28 6:15
suspected left ventr. hypertrophy
atrial fibrillation
ST-sefment depression(lateral, anterior)
slightly deptessed ST segment(inferior)
Ⅵ. 참고문헌(References)
1. 서문자 외(2000), 성인간호학 下Ⅰ, 수문사
2. 전시자 외(2000), 성인한호학 下(1), 현문사
3. 이광우 외(1997), 임상신경학, 고려의학
4. http://www.kimsonline.co.kr/
5. http://www.druginfo.co.kr/

키워드

CVA,   투약,   질병,   고혈압,   뇌출혈,   미세동맥류
  • 가격3,300
  • 페이지수22페이지
  • 등록일2003.08.17
  • 저작시기2003.0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47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