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 론
Ⅱ. 인적교류
1. 인적교류의 발전과정
2. 인적교류의 영향
3. 인적교류 현황
Ⅲ. 경제교류
1. 경제교류의 발전과정
2. 경제교류의 특징
3. 대만기업의 중국투자
Ⅳ. 사회·문화 교류
1. 학술교류
2. 언론교류
3. 문예·체육교류
4. 사회·문화교류 현황
Ⅴ. 결 론
Ⅱ. 인적교류
1. 인적교류의 발전과정
2. 인적교류의 영향
3. 인적교류 현황
Ⅲ. 경제교류
1. 경제교류의 발전과정
2. 경제교류의 특징
3. 대만기업의 중국투자
Ⅳ. 사회·문화 교류
1. 학술교류
2. 언론교류
3. 문예·체육교류
4. 사회·문화교류 현황
Ⅴ. 결 론
본문내용
의 상호설치를 추진하는 등의 발전을 해왔다. 이런 양안의 언론교류가 활성화될 수 있었던 주요 원인은 교류·협력 활성화 이후 양안 주민들의 관심이 증대되면서 이를 충족시키기 위한 언론기관의 자각과 중국과 대만정부가 쌍방의 관계개선 추진 및 자신들의 의견을 전달하는 매개체로서 언론의 역할을 중시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최초의 공식적인 취재는 중국정부가 1989년 3월 제7기 전인대 2차 회의에 대만 기자들의 취재를 허용하면서 이루어졌으며 이후 중국의 공식행사에도 대만기자들이 참석할 수 있었다. 중국정부의 이러한 정책변화에 따라 1989년 4월 대만 행정원은 대만 언론기관의 대륙 취재를 공식적으로 허용하였다.
이런 쌍방의 언론교류가 증가하고 공식적인 성격을 띄게되자 이를 제도화하기 위한 조치를 마련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1987년 11월에 처음으로 지침을 발표한 이래 1988년5월, 1989년 1월에 걸쳐 지침을 발표한다. 그밖에 중국은 1992년 3월 중국 기자의 대만취재에 관하여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대만공작판공실, 중앙선전부 명의로 '언론분야 종사자의 대만 취재에 관한 규정'을 발표하였는데, 이는 중국 기자들의 대만방문과 관련된 최초의 규정이다. 내용은 취재를 위한 대만방문은 조직적으로 계획적이어야 하는 동시에 '실효성'을 중시하여야 하며, 귀국 후에는 대만의 언론기관, 언론인과 사적인 친분관계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양안의 언론교류는 양안주민의 상호이해 촉진 뿐 아니라 중국과 대만정부의 주장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정치적 의도 하에 추진되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는 언론의 기능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의 차이
) 중국은 여전히 당의 노선과 방침의 전파를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하고, 당중앙과 언론의 일치를 강조한다.
, 언론교류과정에서 야기되는 정치적인 상호마찰
) 국기, 국호 등의 사용과 관련된 문제, 공산당원 신분의 대륙기자 대만방문 불허 등
, 상호균형문제와 관련된 대립 때문에 생긴 한계라고 할 수 있다.
3. 문예·체육교류
문예 분야의 양안교류는 대만정부가 1988년 7월 중국의 문학작품, 회화, 서예, 음악작품의 출판과 유입을 허용하고, TV, 신문 등의 언론매체를 통해 대륙의 각종 풍물을 소개하면서 본격화되었다. 이 후로 중·대만간의 문예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각종 문학·예술작품이 별다른 제약을 받지 않고 소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화와 TV 드라마의 공동제작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 초기에는 대만 작가들만 대륙을 방문하였으나, 최근에는 대륙작가들도 대만을 방문하고 있어 양안간 문예교류의 불균형도 해소되고 있다.
체육교류는 1988년 8월 대만 정부가 국제올림픽 규정에 따라 중국 선수단의 참여 여부와 관계없이 각종 국제대회에 대만 선수단이 참여할 것을 결정하고, 1989년 3월 16일 당시 중국 올림픽위원회 부주임 하진량(何振梁)과 대북 올림픽위원회 부주석 이경화(李慶華)가 홍콩에서 회담을 통해 양안의 체육교류에 합의하면서 본격적으로 확대되었다. 이 후로 양안의 체육교류는 중국과 대만정부의 적극적인 규제완화로 인해 법적, 제도적으로 별다른 제약을 받지 않고 중국과 대만에서 열리는 각종 대회에 쌍방의 선수단이 대부분 참여하고 있다.
4. 사회·문화교류 현황
항 목
97년
98년
99년
2000년
2001년
(1∼6월)
총 계
출판물(권)
1,411,518
1,263,159
896,312
946,642
236,854
11,426,583
영화(편)
26
0
7
0
0
59
드라마(편)
5,087
14,894
3,462
1,097
46
42,420
총 계
1,416,631
1,278,053
899,781
947,739
236,900
11,469,062
【 표 】 대만에 들어온 중국 문화상품 교역량 심사비준 수
출처: 해기회 www.sef.org.tw/www/html/stcult.htm 行政院新聞局
항 목
97년
98년
99년
2000년
2001년
(1∼6월)
총 계
문화교육
5,475
7,786
6,933
7,915
4,376
53,484
대중매체
784
730
1,104
1,124
964
6,736
학술과학기술
-
-
-
-
241
241
학술과학기술연구
52
157
436
778
215
1,735
민속예술과
민속기예
22
1
91
60
49
240
체육
77
532
634
734
257
3,037
【 표 】 대만에서 문예 교육 교류에 종사하는 중국인 심사비준 수
출처: 해기회 www.sef.org.tw/www/html/stcult.htm
行政院新聞局 「-」표시는 미분류
【 그림 】 대륙위원회가 주축이 된 양안간 문화·교육 교류활동
【 그림 2 】 대륙위원회가 후원한 민간 문화·교육교류 활동
【 참고목록 】
1. 13억인의 미래 : 문흥호, 1996 당대
2. 중국과 대만 주민의 양안간 교류·협력 및 통일에 대한 기본인식: 문흥호, 1993 중소연구 17권 1호
3. 양안 경제교류의 현황과 과제(교역 및 과제를 중심으로): 진국홍, 1993 중소연구 17권 1호
4. 중국의 양안 경제관계 발전: 현황과 전망 : 유세희·김인, 1996 중소연구 20권 3 호
5. 중국대륙에서의 해외 중화인 자본투자 추세: 김남호, 1997 중소연구 21권 1호
6 대만기업의 대 중국투자와 양안 경제통합: 서석흥, 1997 중소연구 21권 1호
7. 양안 경제교류의 발전과 제한 : 허흥호, 중소연구 23권 1호
8. 중국·대만관계와 남북한관계의 대내외 요인 비교: 문흥호 2001 중소연구 25권 3호
9. 양안경제관계와 중화경제권의 경제통합: 유희문, 1995 중국연구 3권 2호
10. 대만, 대중국 투자규제 완화 및 교류확대 방침 (KIEP주간세계경제분석;제 2001-32 호)
11. 2002年兩岸經貿往來的趨勢分析 [台商張老師月刊 2002.12 No.56]
12. 중국학연구실 http://home.megapass.co.kr/%7Echengchi/link1-3.htm
13. 행정원대륙위원회:
14. 재단법인 해협교류기금회:
15. 중화민국 경제부 국제무역국:
16. 중화인민공화국 대외무역 경제합작부:
이런 쌍방의 언론교류가 증가하고 공식적인 성격을 띄게되자 이를 제도화하기 위한 조치를 마련하기 시작했다. 중국은 1987년 11월에 처음으로 지침을 발표한 이래 1988년5월, 1989년 1월에 걸쳐 지침을 발표한다. 그밖에 중국은 1992년 3월 중국 기자의 대만취재에 관하여 중국공산당 중앙위원회 대만공작판공실, 중앙선전부 명의로 '언론분야 종사자의 대만 취재에 관한 규정'을 발표하였는데, 이는 중국 기자들의 대만방문과 관련된 최초의 규정이다. 내용은 취재를 위한 대만방문은 조직적으로 계획적이어야 하는 동시에 '실효성'을 중시하여야 하며, 귀국 후에는 대만의 언론기관, 언론인과 사적인 친분관계를 유지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처럼 양안의 언론교류는 양안주민의 상호이해 촉진 뿐 아니라 중국과 대만정부의 주장을 간접적으로 전달하는 중간 매개체 역할을 하는 정치적 의도 하에 추진되었다는 점에서 한계를 가지고 있기도 하다. 이는 언론의 기능에 대한 기본적인 인식의 차이
) 중국은 여전히 당의 노선과 방침의 전파를 중요한 기능으로 인식하고, 당중앙과 언론의 일치를 강조한다.
, 언론교류과정에서 야기되는 정치적인 상호마찰
) 국기, 국호 등의 사용과 관련된 문제, 공산당원 신분의 대륙기자 대만방문 불허 등
, 상호균형문제와 관련된 대립 때문에 생긴 한계라고 할 수 있다.
3. 문예·체육교류
문예 분야의 양안교류는 대만정부가 1988년 7월 중국의 문학작품, 회화, 서예, 음악작품의 출판과 유입을 허용하고, TV, 신문 등의 언론매체를 통해 대륙의 각종 풍물을 소개하면서 본격화되었다. 이 후로 중·대만간의 문예교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면서 각종 문학·예술작품이 별다른 제약을 받지 않고 소개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화와 TV 드라마의 공동제작이 계속 확대되고 있다. 초기에는 대만 작가들만 대륙을 방문하였으나, 최근에는 대륙작가들도 대만을 방문하고 있어 양안간 문예교류의 불균형도 해소되고 있다.
체육교류는 1988년 8월 대만 정부가 국제올림픽 규정에 따라 중국 선수단의 참여 여부와 관계없이 각종 국제대회에 대만 선수단이 참여할 것을 결정하고, 1989년 3월 16일 당시 중국 올림픽위원회 부주임 하진량(何振梁)과 대북 올림픽위원회 부주석 이경화(李慶華)가 홍콩에서 회담을 통해 양안의 체육교류에 합의하면서 본격적으로 확대되었다. 이 후로 양안의 체육교류는 중국과 대만정부의 적극적인 규제완화로 인해 법적, 제도적으로 별다른 제약을 받지 않고 중국과 대만에서 열리는 각종 대회에 쌍방의 선수단이 대부분 참여하고 있다.
4. 사회·문화교류 현황
항 목
97년
98년
99년
2000년
2001년
(1∼6월)
총 계
출판물(권)
1,411,518
1,263,159
896,312
946,642
236,854
11,426,583
영화(편)
26
0
7
0
0
59
드라마(편)
5,087
14,894
3,462
1,097
46
42,420
총 계
1,416,631
1,278,053
899,781
947,739
236,900
11,469,062
【 표 】 대만에 들어온 중국 문화상품 교역량 심사비준 수
출처: 해기회 www.sef.org.tw/www/html/stcult.htm 行政院新聞局
항 목
97년
98년
99년
2000년
2001년
(1∼6월)
총 계
문화교육
5,475
7,786
6,933
7,915
4,376
53,484
대중매체
784
730
1,104
1,124
964
6,736
학술과학기술
-
-
-
-
241
241
학술과학기술연구
52
157
436
778
215
1,735
민속예술과
민속기예
22
1
91
60
49
240
체육
77
532
634
734
257
3,037
【 표 】 대만에서 문예 교육 교류에 종사하는 중국인 심사비준 수
출처: 해기회 www.sef.org.tw/www/html/stcult.htm
行政院新聞局 「-」표시는 미분류
【 그림 】 대륙위원회가 주축이 된 양안간 문화·교육 교류활동
【 그림 2 】 대륙위원회가 후원한 민간 문화·교육교류 활동
【 참고목록 】
1. 13억인의 미래 : 문흥호, 1996 당대
2. 중국과 대만 주민의 양안간 교류·협력 및 통일에 대한 기본인식: 문흥호, 1993 중소연구 17권 1호
3. 양안 경제교류의 현황과 과제(교역 및 과제를 중심으로): 진국홍, 1993 중소연구 17권 1호
4. 중국의 양안 경제관계 발전: 현황과 전망 : 유세희·김인, 1996 중소연구 20권 3 호
5. 중국대륙에서의 해외 중화인 자본투자 추세: 김남호, 1997 중소연구 21권 1호
6 대만기업의 대 중국투자와 양안 경제통합: 서석흥, 1997 중소연구 21권 1호
7. 양안 경제교류의 발전과 제한 : 허흥호, 중소연구 23권 1호
8. 중국·대만관계와 남북한관계의 대내외 요인 비교: 문흥호 2001 중소연구 25권 3호
9. 양안경제관계와 중화경제권의 경제통합: 유희문, 1995 중국연구 3권 2호
10. 대만, 대중국 투자규제 완화 및 교류확대 방침 (KIEP주간세계경제분석;제 2001-32 호)
11. 2002年兩岸經貿往來的趨勢分析 [台商張老師月刊 2002.12 No.56]
12. 중국학연구실 http://home.megapass.co.kr/%7Echengchi/link1-3.htm
13. 행정원대륙위원회:
14. 재단법인 해협교류기금회:
15. 중화민국 경제부 국제무역국:
16. 중화인민공화국 대외무역 경제합작부:
추천자료
[경제원론] 중국경제의 동향, 전망
WTO 가입 이후 중국의 신산업정책과 대응방안 (중국경제)
한국기업의 중국진출 - 중국 산둥성의 지역경제
변화하는 중국의 개혁·개방 정책- 중국 사회주의 시장경제 전환의 성과와 과제
[경제,경영] 중국 경제는 어떻게 쾌속 성장할 수 있었는가
중국경제의 발전과정의 특징과 앞으로의 발전방향
중국, 베트남 경제개방 모형 분석을 통한 북한 경제개방 모델 탐색
중국의 WTO 가입과 중국 경제에의 영향
[중국공산당] 중국의 경제발전에 따른 공산당 불신문제 보고서
[중국공산당] 중국의 경제발전에 따른 공산당 불신문제.PPT자료
생활속의경제 공통)최근 중국은달러화에 대해 자국의위안화 가치를평가절하 하였다.이와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