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face of Shakespeare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서론-
:셰익스피어 서문에 관한 대략

-본론-
1. 비평가로서의 Dr. Samuel Johnson
2.Instruct by pleasing
3.비평기준-The standared of Johnson`s Criticism

- 결론 -
:셰익스피어 서문 정리 및 사무엘 존슨에 대한 평

본문내용

to는 매우 아름답고 고상한 감정과 교훈을 준다고 칭찬받지만 거기에는 Shakespeare의 Othello의 생동감 넘치는 격정이 없다. Cato는 세련된 예절과 적당한 말씨, 고상하고 정당한 감정을 표현하지만 그것들은 인위적이며 극의 주인공 Cato의 대사는 오히려 작가를 더욱 생각하게 할 뿐이다. 따라서 역사적 상대성을 기준으로 Shakespeare를 평가 할 때 무대 수준이나 관객의 지적 수준 또는 사회 문화적 배경 등 모든 면에서 Shakespeare가 Addison 보다 열악했던 시대적 불리함을 지녔음에도 불구하고 그가 Addison보다 더 감동적인 극을 창조했다는 사실은 그의 자연적 천재성의 위대함을 더욱 증명해 주는 좋은 증거가 된다.
6)시간과 동의의 기준
다음으로 Johnson은 시간과 동의의 기준으로서 Shakespeare의 위대성을 평가 하였다. Johnson은 인간의 이성을 존중하기는 하였으나 그것이 한계가 있음을 결코 잊은 적이 없었다. 즉, 그에 의하면 전통적으로 내려오는 의견이 진실이 아닌 편견일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그는 주로 경험과 관찰에 의존하는 어떤 사실이 객관적 진실로서의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서는 시간의 시험과 여러 사람들의 동의의 기준을 통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But because human judgment, though it be gradually gaining upon certainty, never becomes infallible; and approbation, though long continued, may yet be only the approbation of prejudice or fashion; it is proper to inquire, by what peculiarities of excellence Shakespeare has gained and kept the favour of his countrymen. Preface p. 648)
만약 그 사실이 오랜 시간에 걸쳐 비교되고 검증된 뒤에도 계속 가치가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면 그 평가는 거의 정확하고 그 사실은 보편성을 갖는 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Johnson은 Shakespeare의 위대성을 평가하는 방법으로서 시간의 시험과 여러 사람들의 동의라는 기준을 세우고 자신의 논의에 객관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그러므로 Johnson은 보편적인 것에 집착하는 태도를 보인다. 왜냐하면 보편적인 것은 오랫동안 걸친 여러 사람들의 동의가 결집되어 있는 것으로서 진리로서 안정성을 가지고 있지만 특별한 것은 한때의 관심을 끌다가 사라질 뿐이기 때문이다. Johnson이 보편적 진리로 Shakespeare의 위대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시간의 시험과 동의라는 기준을 이용한 것은 전통적 의견에 맹목적으로 순응했던 당시의 비평가들의 태도에 자극을 주는 것이었다. 그리고 시험이나 검증 등의 과학적 용어를 이용하여 객관적인 비평을 하는 태도는 Preface 전체를 통해 일관되게 견지되어 그의 비평의 공감성을 더욱 증가시킨다.
- 결 론 -
지금까지 Shakespeare의 Preface에 대한 대략적 내용이해와
Shakespeare의 위대성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Johnson은 그의 시대의 다른 비평가들처럼 막연하고 맹목적으로 그를 우상시 하지 않았다. 그는 철저히 Shakespeare의 천재성의 본질을 규명하려고 애썼으며 그 결과는 그로 하여금 그와 같은 세대에 살았던 사람들 안에서 그들에게 보다 중요한 삶의 진리를 다시 상기시키는 작용을 하게 되었다.
Johnson에 따르면 Shakespeare는 삶을 살아가는 동안 스스로 경험한것으로부터 인간과 살에 대한 보편적 진리를 파악할 수 있는 통찰력을 키웠으며 창조적 상상력을 사용하여 그것을 극으로 재현하였다. 그리고 그가 동료들과 함께 매일의 삶을 영위하는 보통의 인간이었기에 그의 극은 실제 삶에서 일상적으로 일어나는 사건이나 대화로 가득차 있고 그의 인물들의 감정과 말, 그리고 행동은 실제 삶을 사는 우리들과 동일하다. 그러므로 관객은 그의 극에 많은 굣감을 느끼는 것이며 즐거움 속에서 삶의 진리를 배우게 되는 것이다.
Johnson은 바로 이러한 Shakespeare의 '공감적 이해'의 능력을 매우 귀중한 작가의 자질로서 평가하였다. 그리고 그 자신 역시 Shakespeare 비평을 통해 그의 글을 읽는 독자들과 의견을 나눌 수 있는 '공감적 이해' 능력을 보여주었다.
우선 Johnson은 Shakespeare의 공감적 이해를 매우 자세하고 꼼꼼하게 분석하여가는 과정에서 같은 시대의 비평가들에게 무비판적으로 수용되고 있었던 문학의 법칙들을 다시 한번 그 진실성의 면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로 Johnson은 Dramatic Illusion에 대한 독창적인 의견을 제시하였고 Shakespeare의 작품을 전체적으로 일관된 효과라는 면에서 다시 이해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둘째로 Shakespeare의 작품의 인물들을 번잡하고 다양한 일상생활에서 만날 수 있는 보통의 인간으로 친근하게 이해시켰다.
셋째로 Shakespeare의 작품도 실수를 지닐 수 있다는 점을 명백히 하여 당시 맹목적으로 찬사를 보내던 비평 태도를 지양하였다.
네 번째로 그는 비평가로서 전문적인 비평용어에 의지하지 않고 스스로의 실제적인 삶의 경험을 통해 깨달은 지식을 논리적으로 명확하고 쉽고 간결하게 표현하여 그의 비평을 삶 자체의 이해와 동일한 수준에 놓일수 있는 구체성을 갖게 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비록 그가 삼의 비극성을 인식했을지라도 그는 거기서 멈추지 않고 오히려 독자들에게 그러한 삶을 공감시키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방안으로서 보편적 삶에 대한 확고한 신념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그의 비평의 내용은 보통의 수준을 너지 못한다 할지라도 그가 자신의 확고한 신념을 전하는 방식은 매우 강력하여 독자들에게 신선한 충격을 줄 수 있다.
그리고 현대에 삶의 방향을 잃고 당혹해 하는 많은 사람들에게 그의 비평을 통해 나타나는 성실성과 확신은 틀림없이 삶의 길잡이가 될 수 있으며 깊은 공감적 이해를 형성시킬 수 있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03.09.27
  • 저작시기2003.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1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