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플라스틱의 재활용 조사보고서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조사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 본 론
2.1 제철‧제강 및 고철 폐기물
2.1.1 재활용 분야
2.1.2 재활용 기술
2.1.3 더스트 및 슬러지 처리 기술
2.2 슬러지의 건설자재로의 이용
2.3 폐자갈, 토사류 등 건설 폐기물의 재활용
2.4 폐플라스틱의 재활용

3. 결 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11,000kcal/㎏ 정 도이다. 따라서 플라스틱 함유량이 높은 폐기물은 1,000∼2,000kcal/㎏으로 설계된 도시폐기물 소각로에는 부적합하며 소각로의 고온부식, NO2의 발생을 피할 수 없 고, 소각로의 운전온도가 높아지거나 이상고온으로 인한 기기의 손상 등을 초래할 수 있다.
라) PVC를 연소할 때에는 부식가스인 HCl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공기예일기, 집진장 치, 블로어(blower), 배수처리설비, 연도 등이 손상된다. 특히, 염소를 함유하는 플 라스틱은 유해금속이 첨가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유해물질의 비산도 문제가 되며 질소를 함유하는 플라스틱에서는 불완전 연소에 의하여 HCN도 발생된다.
2) 플라스틱 폐기물의 전소로
위에 기술된 플라스틱의 소각에 대한 문제점들 때문에 종래의 도시폐기물 소각로로서는 플라스틱 폐기물을 다량 함유하는 경우엔 소각시킬 수가 없으며, 따라서 플라스틱 폐기물의 전용소각로(전소로)나 플라스틱 혼합율이 높은 폐기물을 대상으로 한 혼용소각로(혼소로)가 필요하다. 즉, 플라스틱 폐기물의 함량이 높으면 플라스틱 폐기물을 분별 수집해서 전소로에 소각하면 연소효율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오염물질의 관리에도 유리하다.
라. 재생플라스틱 원료 및 재활용제품
재생 플라스틱을 원료로 하여 만들 수 있는 재활용 제품은 다음 페이지 <표 2.2>와 같다.
재생프라스틱의 원료
재 활 용 제 품
LDPE(저밀도 폴리에틸렌)
함지박, 정화조, 물통, 어상자, 바구니, 화분, 돗자리, 비닐 포장용 필름 및 붕투, 완구류
HDPE(고밀도 폴리에틸렌)
합성수지깔판(파렛트), 하수관, 석유통, 화공약품통, 파이프, 호스 ,로프, 물받이, 세면대야, 책상서랍, 가방부품, 모자창
PP(폴리드로필렌)
육모상자, 포장끈, 화분, 휴지통, 돗자리, 가방부품, 문구류, 쓰레바이, 완구류, 플라스틱 빗자루
HIPS
가전제품 케이스 ,각종상자, 전자부품, 집기류
ABS
가전부품, 전화기, 약상자, 자동차부품, 집기류
GPPS, EPS
전자부품, 단열재, 내충격재, 각종건축자재, 스티로폼, 포장 용기류
PVC(염화비닐수지)
PVC파이프, 물받이, PVC장판하지, 각종 레자제품, 건축자재, 이음관, 엘보우, 호스 채광채, 자동차 내장부품
폴리에스터(PET)
봉재완구속자재(솜), 의류부속품, 포장용기류
폴리카보네이트(PC)
자동차부품, 전자부품
폴리아미드(PA)
합성수지박클, 가방고리, 혁대고리, 의류용 단추, 전자부품, 완구류
아크릴(PMMA)
아크릴판, 수족관, 사진액자, 각종 광고기획품, 문, 자 ,계기판, 아크릴 모노마(MMA), 액상원료
<표 2.2> 재생플라스틱 원료 및 재활용 제품
3. 결 론
동양에서는 4천년 전부터 농업폐기물을 퇴비로 이용하였다. 제 2차 세계대전 이후에는 서구에서도 본격적으로 퇴비화방식을 도입하여 특히 네델란드에서 전국적인규모로 폐기물처리에 이용되었다. 이후 프랑스 스위스 독일 등지에서도상당한 처리시설이 구축되었다. 퇴비화는 가장 이상적인 폐기물 처리방법으로 주로 미생물학적 과정으로 진행된다.
한국에서는 1980년 폐기물 재활용시설 설치, 비축기지, 시범단지 운영 등을 위하여 한국자원재생공사가 설립되었다. 1980년 이래 1994년 초까지 수집한 폐비닐의 양은 49만 톤에 이르고, 1987년부터 3억 5천만 병 정도의 농약병을 수집했다. 폐기물 재활용시설로는 폐비닐을 재생 원료로 사용하기 위해 1989년 충북 청주에 설립한 고밀도 폐비닐 처리공장이 있다. 이 공장에서는 한 해에 5천 톤 처리가 가능하다. 1991년에는 경북 안동에 고밀도 폐비닐 처리 공장이 설립되었고, 1993년에는 전남 담양에도 설립되었다. 1995년부터는 폐가전 제품과 대형 생활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폐가전 제품 파쇄 처리시설이 가동되고 있다.
제도적으로는 1992년 12월, '자원의 절약과 재활용 촉진에 관한 법률'이 제정되었다. 이는 폐기물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줄이고 재활용을 촉진시키기 위한 법률이다...
그렇다. 산업의 발달 및 인구의 도시집중으로 인해 각종 생활폐기물과 사업장폐기물, 건축폐기물 등의 발생으로 인한 자연파괴와 자원고갈의 문제는 어제 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국가적 차원에서는 물론이고, 전 세계적으로도 이슈가 되고 있어 언젠가는 국제환경문제가 규제화 되어 현실로 다가온다는 얘기도 농담이 아닌 것이다. 다행히 이번 '건축 재료학' 보고서를 통해서 다시 한번 환경 문제를 돌아볼 수 있었고 그로인해 폐기물의 재활용이 우리의 지구를 위해서 얼마나 절실한 것인지도 깨닫게 되었다. 사실 관련 자료들을 찾으면서 많이 놀란 부분도 있다. 내가 그냥 쓰레기라고 생각했던 것들도 지금 이순간 어느 누군가의 연구와 실험을 통해 또 하나의 새로운 재활용 제품이 되고 있다는 사실 말이다. 보고서를 마치며 지금도 어디에선가 수고하고 계실 연구원님들께 존경의 인사를 드리고 싶다.
처음엔 막막하기만 하던 보고서가 지금은 이렇게 결론을 지을 수 있게 되어서 마음 한 구석이 뿌듯하다. 정말 여러 가지를 다시 한번 들여다보고 생각하게 되었다. 인간의 문명 발달과 자연환경의 파괴... 어쩌면 이것은 항상 함께 붙어다니는 바늘과 실 같은 존재가 아닐까 생각해본다. 인간의 욕심이 자연 파괴를 부르고, 그런 와중에 그냥 남들처럼 모른척하고 살아가는 나의 모습을 돌아본다...
4. 참고문헌
- 서 명 : 폐기물 자원화 실무(2000). 저 자 : 한국유기성폐기물자원학회.
- 서 명 : 폐기물 처리개론(1999). 저 자 : 황재석,오세천,정순형 공저.
- 서 명 : 폐기물 처리(2001). 저 자 : 강주성,김명호,윤찬남 공저.
- 서 명 : 건설부산물유효활용기술(2001). 저 자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서 명 : 혼합플라스틱과 산업폐기물(2002). 저 자 : 수원대폐기물연구소.
- 서 명 : 무연탄과 폐플라스틱(2002). 저 자 :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 두산세계대백과사전
- 건설연구정보센터 (
http://www.cric.or.kr
)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
http://www.kict.re.kr
)
- 한국폐기물학회 (
http://www.kswes.or.kr
)

키워드

  • 가격2,3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03.09.27
  • 저작시기2003.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1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