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체외순환(Extracorporeal circulation: ECC)
2. 심폐기(Cardiopulmonary bypass, CPB)
1) 심폐기란
2) 적응증
3) 구성 성분 및 구조
4) 심폐기의 운용
5) 합병증
3. 체외막산소공급장치(ECMO)
1) 체외막산소공급장치란
2) 종류
3) 적응증
4. 실제 적용 사례
5. 참고 문헌
2. 심폐기(Cardiopulmonary bypass, CPB)
1) 심폐기란
2) 적응증
3) 구성 성분 및 구조
4) 심폐기의 운용
5) 합병증
3. 체외막산소공급장치(ECMO)
1) 체외막산소공급장치란
2) 종류
3) 적응증
4. 실제 적용 사례
5. 참고 문헌
본문내용
1. 체외순환(Extracorporeal circulation: ECC)
혈관내에 삽입한 튜브를 통하여 혈액을 일단 체외로 내보내서, 펌프에 의하여 연속하여 재 차 체내에 되돌라는 순환을 체외순환이라고 한다. 여러 목적을 위해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CPB(Cardiopulmonary bypass)와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가 있다.
<중략>
2) Venous Cannulae(정맥 캐뉼러)
- 정맥에서 산소를 소모한 혈액을 체외 순환 시스템(ECC)으로 뽑아낸다. 수술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캐뉼러의 종류가 달라 진다.
- 우심방을 통해 SVC(상대정맥)와 IVC(하대정맥)으로 각각 삽관 하여 Bicaval cannula 하거나 Right atrial appendage(우심방 부속지)를 통해 single cannula를 삽관하기도 한다.
<중략>
5) 합병증
(1) 중추신경계
체외순환시 뇌는 저혈압으로 인한 허혈성 손상이나, 드물게 헤파린의 사용으로 인한 출혈 성 손상, 그리고 공기색전증 등에 의한 색전성 손상 등으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혈관내에 삽입한 튜브를 통하여 혈액을 일단 체외로 내보내서, 펌프에 의하여 연속하여 재 차 체내에 되돌라는 순환을 체외순환이라고 한다. 여러 목적을 위해 사용되며, 대표적으로 CPB(Cardiopulmonary bypass)와 ECMO(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가 있다.
<중략>
2) Venous Cannulae(정맥 캐뉼러)
- 정맥에서 산소를 소모한 혈액을 체외 순환 시스템(ECC)으로 뽑아낸다. 수술의 종류에 따라 사용하는 캐뉼러의 종류가 달라 진다.
- 우심방을 통해 SVC(상대정맥)와 IVC(하대정맥)으로 각각 삽관 하여 Bicaval cannula 하거나 Right atrial appendage(우심방 부속지)를 통해 single cannula를 삽관하기도 한다.
<중략>
5) 합병증
(1) 중추신경계
체외순환시 뇌는 저혈압으로 인한 허혈성 손상이나, 드물게 헤파린의 사용으로 인한 출혈 성 손상, 그리고 공기색전증 등에 의한 색전성 손상 등으로 장애를 일으킬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