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정의
2. 기본무균술
1) 기본무균술
2) 수술실 무균술의 원칙
3. 외과적 무균술
1) 외과적 손씻기
2) 피부 준비와 방포(멸균포)
3) 가운 착용
4) 멸균 물품 취급법
4. 수술 도구 소독, 멸균
1) 물품의 소독과 멸균 분류
2) 소독 수준
3) 멸균 및 소독 방법
4) 기재의 멸균 관리
5.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 지침
1) 손위생
2) 장갑 착용
3) 표준주의의 기본 지침
4) 00대학교 병원 수술실의 공기주의(air precautions)
*참고문헌
2. 기본무균술
1) 기본무균술
2) 수술실 무균술의 원칙
3. 외과적 무균술
1) 외과적 손씻기
2) 피부 준비와 방포(멸균포)
3) 가운 착용
4) 멸균 물품 취급법
4. 수술 도구 소독, 멸균
1) 물품의 소독과 멸균 분류
2) 소독 수준
3) 멸균 및 소독 방법
4) 기재의 멸균 관리
5.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 지침
1) 손위생
2) 장갑 착용
3) 표준주의의 기본 지침
4) 00대학교 병원 수술실의 공기주의(air precautions)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정의
- 멸균
: 물리적, 화학적 과정을 통해 모든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파괴시키는 것
: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이 파괴된 상태나 과정
*아포(spore): 어떤 종류의 세균은 성장할 때 불리한 환경조건에서 아포를 형성한다. 아포는 균체가 죽어도 살아남으며, 외부생활 환경이 좋아지면 다시 발아해서 영양형의 균제를 형성
- 무균: 병원성 미생물이 없는 상태
- 오염: unsterile 또는 unclean해지는 과정
<중략>
4. 수술 도구 소독·멸균
1) 물품의 소독과 멸균 분류
(1) 고위험 기구
- 멸균조직이나 혈관내로 삽입하는 기구
(ex. 수술 기구, 혈관 카테터, 이식물, 주사 바늘 등)
- 세균의 아포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미생물을 파괴시킬 수 있는 멸균 과정(멸균법으로 액체 화학멸균제 처리)이 필요하다.
<중략>
5.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 지침
1) 손위생
손씻기는 병원감염 예방과 관리를 위하여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1) 손위생을 실시해야 하는 경우
- 환자와 접촉 전후
- 무균적 시술 전
- 혈액·체액 등의 노출 위험이 있는 경우
- 환자의 주변환경 접촉 후
- 장갑을 벗은 후
- 투약과 음식을 준비하거나 먹기 전
- 멸균
: 물리적, 화학적 과정을 통해 모든 미생물을 완전히 제거하고 파괴시키는 것
: 아포를 포함한 모든 미생물이 파괴된 상태나 과정
*아포(spore): 어떤 종류의 세균은 성장할 때 불리한 환경조건에서 아포를 형성한다. 아포는 균체가 죽어도 살아남으며, 외부생활 환경이 좋아지면 다시 발아해서 영양형의 균제를 형성
- 무균: 병원성 미생물이 없는 상태
- 오염: unsterile 또는 unclean해지는 과정
<중략>
4. 수술 도구 소독·멸균
1) 물품의 소독과 멸균 분류
(1) 고위험 기구
- 멸균조직이나 혈관내로 삽입하는 기구
(ex. 수술 기구, 혈관 카테터, 이식물, 주사 바늘 등)
- 세균의 아포를 포함한 모든 형태의 미생물을 파괴시킬 수 있는 멸균 과정(멸균법으로 액체 화학멸균제 처리)이 필요하다.
<중략>
5. 의료관련감염 표준예방 지침
1) 손위생
손씻기는 병원감염 예방과 관리를 위하여 가장 기본적이고 효과적인 방법이다.
(1) 손위생을 실시해야 하는 경우
- 환자와 접촉 전후
- 무균적 시술 전
- 혈액·체액 등의 노출 위험이 있는 경우
- 환자의 주변환경 접촉 후
- 장갑을 벗은 후
- 투약과 음식을 준비하거나 먹기 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