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소의 개념과 여러 음성학자들의 음소 정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음소의 개념과 여러 음성학자들의 음소 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 음소의 개념

2 . 음소에 관한 여러 음성 학자의 정의
① 심리적 견해
<< 쿠르트네이 >> Courtenay
<< 비이크 >>
<< 사피어 >> Sapir의 심리적 실재설
② 변별적 자질
<< 트루베츠코이 >> Trubetzkoy의 변별적 대립설
<< 야콥슨 >> Jakobson 등의 변별적 자질론
③ 물리적 견해
<< 존스 >> Jones의 물리적 실재설
<< 블룸필드 >> Bloomfield

3. 음소의 이름과 양면
① 음소의 이름과 변별바탕
② 음소의 양면

4 . 결 론
참고문헌
참고 사이트

본문내용

쓰고 있는 이 소리의 이름에 이 변별 바탕이 바로 반영되어 있기 때문이다. /ㅍ/을 두 입술 거샌 터짐소리라 하는데 거센소리는 터짐 닿소리에만 있다. 그러므로 거센의 바탕에는 닿소리바탕과 터짐 바탕이 포함된다. 그러므로 /ㅍ/는 두 입술 거센소리라고만 하면 다른 모든 음소와 구별된다. 이것이 우리말 음소들에 대한 이름이다. 음소의 이름에는 변별적 소리 바탕의 묶음이 나타나 있으며 또 그렇게 되어야 하는 것이다.
② 음소의 양면
음소는 한편으로는 여러 변이음들의 묶음 한편으로는 변별적 바탕의 묶음으로서 다른 음소들과 대립되어 있음이 그 본질이다.
4 . 결 론
지금까지의 정의들은 음소의 성격의 중요한 면들에 착안한 것으로 모두 귀중한 것들이다.
심리적 정의 방법은 이미 낡아빠진 것이라고 흔히 말하지만 객관적인 음성의 세계와 다른 음운의 세계가 있다는 데 대한 착안은 말소리를 심리적으로 파악하려는 태도에서였다. 확실한 본토박이의 음소에 대한 반응 방법은 음소를 파악하는데 중요한 실마리가 되는 것이며 따라서 음소의 본질의 중요한 일면을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심리적인 성격은 한 음소의 변이음들의 배치의 배타성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토박이들이 하나의 같은 소리로 생각하는 여러 음성들은 대개 배타적이기 때문에 변별적 기능을 발휘하지 못한다. 변별적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소리의 다름이기 때문에 말하는 사람은 그 다름에 대해서 민감하지 않아도 좋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변별적 기능을 발휘한다는 것과 본토박이들이 구별한다는 것과의 사이에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 국어의 [ p ] 와 [ p’]가 분명히 구별되는 것은 이것이 말의 뜻을 달리하는 음소적 대립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이 두 소리를 직감적으로 구별하지 못하면 국어의 [불] 과 [뿔] 이 뒤섞인다는 중대한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따라서 말하는 사람은 어릴 때부터 이 구별을 똑똑하게 할 수 있도록 훈련되어 온 것이다. 그러나 이 두 소리가 이러한 구실을 하지 못하는 언어를 모국말로 하는 사람들은 이 소리들을 구별하는데 그렇게 훈련되지 못하고 자란다.
말을 배우고 음소를 배운다는 것은 실지의 생리 물질적인 현상일 빠롤을 통해서다. 이러한 실질적인 현상으로서의 소리가 없다면 머리 속에 랑그가 갈무리될 수도 없을 것이며 따라서 음운의 존재도 생각 할 수 없다 발생적으로는 빠롤은 랑그에 앞서는 것이 때문이다.
그런데 우리가 말을 배울 때엔 여러 가지 다른 소리 가운데 어떤 것들은 하나의 같은 소리로 듣도록 훈련되고 어떤 것들은 분명히 다른 소리로서 구별하도록 훈련되는 데 그 물질 적인 요인은 무엇일까? 몇 가지의 다른 소리를 하나의 소리로 생각하는 데는 그것들에 공통된 바뀌지 않는 소리 바탕이 있어서 들을 때는 그 소리바탕에만 착안하고 다른 소리 바탕은 무시해 버리기 때문이다. 두 소리를 다른 소리로 듣는 다는 것은 그 두 소리 사이에는 서로 다른 소리 바탕이 있어서 듣는 사람은 그 소리 바탕을 구별할 수 있도록 훈련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지금까지 들어 보인 정의들은 음소의 여러 특질 중에서 저마다 음성학자들마다 중점을 두고 달리 정의한 것이다. 모든 정의에 나타나는 음소 성격의 파악은 음소 분석에는 다 같이 이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정의들은 음소의 여러 특질 중에서 그 중점을 두는 자리를 달리한 것이기 때문이다.
※ 참고 문헌
국어 음성학 이호영 태학사 1996
국어 음운학 허 웅 샘문화사 1997
국어 음운론 최영학 예지각 1990
국어 음운론 개설 배주채 신구문화사 1996
※ 참고 사이트
http://www.sogang.ac.kr/~korean/book/cyc_03.htm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10.09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584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