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심상의 개념
2. 심상의 실험적 연구
1) 정신 연습 연구
2) 시합 전에 상상하기
3) 성공적인 선수와 비 성공적인 선수의 심리적 요인 비교
3. 스포츠 현장에서의 심상 훈련 적용
1) 기술습득
2) 기능유지
3) 각성조절
4) 감정조절
5) 자기 심상통제
6) 고통조절
2. 심상의 실험적 연구
1) 정신 연습 연구
2) 시합 전에 상상하기
3) 성공적인 선수와 비 성공적인 선수의 심리적 요인 비교
3. 스포츠 현장에서의 심상 훈련 적용
1) 기술습득
2) 기능유지
3) 각성조절
4) 감정조절
5) 자기 심상통제
6) 고통조절
본문내용
체계적 무감각파(Wolpem 1958), flooding(Rachman, 1968), coping imagery (Meichenbaum, 1977)그리고 implosion(Levis & Hare, 1977)를 포함한다. Bandura(1977)는 인간의 행동 변화이론을 발달시켰다. 그것은 많은 심리학적 중재를 개인의 self-efficacy 수준의 확정을 통해 그들의 효과를 이룩한다고 주장하였다. 그러한 확정은 실제적 경험과 상상된 경험을 통해 양측 모두에서 이룩될 수 있다. (Bandura, 1971) 모형은 이러한 이론을 바탕으로 한 잘 설립된 진술 중재이고, 그리고 Cautela는 숨겨진 모형으로 알려진 상상적으로 기초한 다양한 이러한 방법을 개발했었다. (Cautela &Kearney, 1986) Rushall(1988)은 자신감의 결여를 다루기 위한 스포츠를 설정하여 covert모형의 성공적 적용을 설명하였다. 비록 몇 가지 연구가 상상적 중재동안 자신감 변화와 수행변화간의 관계성을 보이는데 실패하였지만 (Wilkes & Summers, 1984; Woolfolk, Murphy, Gottesfeld & Aitken, 1985) 선수들의 자기보고에서 그 선수는 이미지 리허설에 종종 수반되는 자신감의 변화를 나타내는 시각화 기술을 규칙적으로 이용하였다고 보고했다. 자기능률의 측정은 이러한 관련성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모으기 위해 미래의 정신적 훈련과 이미지 연구들에 확고히 포함되어야 한다.
6) 고통조절
이미지에 기초한 기술은 상해재활과 치유 그리고 통증조절에서 몇몇 저자들의 사용으로 피안 되어 왔다(Epstein, 1989; Jaffe, 1980; Levine, (1982).
Simonton과 Creighton(1978)의 작업은 치유과정과 질병을 이기는데 도움이 되는 이미지와 시각화의 사용을 대중화시켰다. 일부 저자는 이러한 접근법의 적용을 선수들과 스포츠에 적용하였고(e.g. Lynch, 1987; Porter & Foster, 1986, 1990) 스포츠 상해 치유와 선수의 통증조절을 위해 시각화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이미지 이용에서 이미지의 깊은 이완은 최면술과 유사한 것이고, 그래서 그러한 광대한 문헌의 최면술 효과는 이러한 부분과 연관되었다. 연구는 최면술이 임상적 통증치료에서 비록 최면술을 인정하는 환자뿐일지라도 효과적이라는 것을 지소적으로 입증했었다(Wadden & Anderton, 1982). 놀랍게도 약간의 연구는 선수들의 이미지의 임상적 사용에서 행해져왔다. 상당수의 저자는 부상당한 한 선수를 적당하게 도울 수 있는 이미지 방법을 설명하였다(Rotella, 1984; Wiese & Weiss, 1987; Yukelson, 1986). 희망적인 그러한 이미지의 적용 연구는 곧 뒤따르게 될 것이다. 분명히, 어떠한 조사 연구도 이미지에 연합된 이완-훈련 중재가 실제로 선수들의 상해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행해지지 않았었다. 심리학의 다른 영역에서부터 입증은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할거라고 제시했다. (Lloyd, 1987) 이미지 기술에 적용된 적당한 중재의 상태를 요약한다면, 그것은 스포츠 기술의 단순한 훈련을 넘어 많은 방법으로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 많은 cases에서 그러한 새로운 적용은 그들의 효능에 관한 조사 이전에 적용되고 제시되어왔다. 희망적으로, 새로운 연구 노력은 그러한 중재 기술을 직접적으로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 장은 의미 있는 미래 연구 노력을 안내하는 제안과 이미지와 스포츠 수행간의 관계성에 관심 있는 일부 조사자들의 고려에 의해 일부 계획의 요약으로 결론 질 것이다.
6) 고통조절
이미지에 기초한 기술은 상해재활과 치유 그리고 통증조절에서 몇몇 저자들의 사용으로 피안 되어 왔다(Epstein, 1989; Jaffe, 1980; Levine, (1982).
Simonton과 Creighton(1978)의 작업은 치유과정과 질병을 이기는데 도움이 되는 이미지와 시각화의 사용을 대중화시켰다. 일부 저자는 이러한 접근법의 적용을 선수들과 스포츠에 적용하였고(e.g. Lynch, 1987; Porter & Foster, 1986, 1990) 스포츠 상해 치유와 선수의 통증조절을 위해 시각화의 사용을 제안하였다. 이미지 이용에서 이미지의 깊은 이완은 최면술과 유사한 것이고, 그래서 그러한 광대한 문헌의 최면술 효과는 이러한 부분과 연관되었다. 연구는 최면술이 임상적 통증치료에서 비록 최면술을 인정하는 환자뿐일지라도 효과적이라는 것을 지소적으로 입증했었다(Wadden & Anderton, 1982). 놀랍게도 약간의 연구는 선수들의 이미지의 임상적 사용에서 행해져왔다. 상당수의 저자는 부상당한 한 선수를 적당하게 도울 수 있는 이미지 방법을 설명하였다(Rotella, 1984; Wiese & Weiss, 1987; Yukelson, 1986). 희망적인 그러한 이미지의 적용 연구는 곧 뒤따르게 될 것이다. 분명히, 어떠한 조사 연구도 이미지에 연합된 이완-훈련 중재가 실제로 선수들의 상해와 질환을 예방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 행해지지 않았었다. 심리학의 다른 영역에서부터 입증은 이러한 것을 가능하게 할거라고 제시했다. (Lloyd, 1987) 이미지 기술에 적용된 적당한 중재의 상태를 요약한다면, 그것은 스포츠 기술의 단순한 훈련을 넘어 많은 방법으로 이미지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은 확실하다. 많은 cases에서 그러한 새로운 적용은 그들의 효능에 관한 조사 이전에 적용되고 제시되어왔다. 희망적으로, 새로운 연구 노력은 그러한 중재 기술을 직접적으로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 장은 의미 있는 미래 연구 노력을 안내하는 제안과 이미지와 스포츠 수행간의 관계성에 관심 있는 일부 조사자들의 고려에 의해 일부 계획의 요약으로 결론 질 것이다.
추천자료
스포츠 마케팅의 개요와 국내스포츠 마케팅 실태 및 전략분석(A+레포트)
스포츠 일탈
현대스포츠 현상과 미래스포츠 전망
스포츠 마케팅과 스포츠 마케팅 전략에 대한 고찰
스포츠마케팅(일본, 프랑스, 중국과 한국의 스포츠 산업의 규모와 현황)
스포츠 산업의 정의와 분류 및 발달요인, 스포츠산업 규모와 전망
스포츠 경영학의 학문적 체계, 교육목표와 한국(우리나라)과 북미 스포츠 경영학의 동향
스포츠마케팅 기업사례분석 (질레트, 하이네켄 스포츠 프로모션 사례분석)
스포츠와 건강 여름철 레저 스포츠 여름레저 활동을 즐기자!
스포츠와 사회화 (스포츠의 과정, 과정의 사회학)
코오롱스포츠 마케팅 SWOT,STP,4P 전략분석과 코오롱스포츠 브랜드분석및 미래방향제안 보고서
댄스스포츠(dance sports)의 종류와 역사 (댄스스포츠의 역사와 기초예절, 기본, 종류)
스포츠와 스타 그리고 팬 (스포츠스타와 팬)
뉴스포츠 / 펀이볼 (네트형) 규칙설명&사진 / 뉴스포츠 수업계획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