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출처
2. 연구자
3. 논문순서
4. EXPERIMENT 1 (방식, Domestic disturbance, Attempted abduction, 두 시나리오 간의 분석,Procedure, Result)
5. EXPERIMENT 2 (Method, 구성 인원, Materials and apparatus, Result,EDR, GENERAL DISCUSSION)
6.NOTES
7.APPENDIX
8.REFERENCES
2. 연구자
3. 논문순서
4. EXPERIMENT 1 (방식, Domestic disturbance, Attempted abduction, 두 시나리오 간의 분석,Procedure, Result)
5. EXPERIMENT 2 (Method, 구성 인원, Materials and apparatus, Result,EDR, GENERAL DISCUSSION)
6.NOTES
7.APPENDIX
8.REFERENCES
본문내용
Materials and apparatus
시나리오는 실험 1에서와 같은 것이 쓰였다. 차이점은 마지막 3초가 삭제되었다는 점이다. shoot 시나리오, no-shoot 시나리오 모두가 약간의 변형을 가졌다.
shoot 시나리오에서 가해자가 자신의 주머니에서 총을 꺼내 들고 발사했을 때 카메라가 땅을 비추거나 촬영을 중단하였고 가해자는 자신의 총을 정확히 사용하였다.
Result
EDR (successive 2-s bins was recorded for 60s from the on set of scenario)에 의해 도표로써 시각화되었음.
GENERAL DISCUSSION
경찰과 시민들의 결과는 분명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실험 2에서 경찰과 시민 목격자는 시나리오에 의해서 나름대로 기억된 사무적인 것들은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었지만 1997년 Lindholm의 연구에 의하면 경찰들은 시민들보다 가해자가 사용한 무기를 더욱 잘 기억해냈으며 전체적인 기억도 높았다고 발표했다.
NOTES : EDR 측정 시 유의할 점과 연구 방법 제시
APPENDIX : 어떠한 점을 기억을 하는지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를 실어놓음
REFERENCES : 참고 문헌
시나리오는 실험 1에서와 같은 것이 쓰였다. 차이점은 마지막 3초가 삭제되었다는 점이다. shoot 시나리오, no-shoot 시나리오 모두가 약간의 변형을 가졌다.
shoot 시나리오에서 가해자가 자신의 주머니에서 총을 꺼내 들고 발사했을 때 카메라가 땅을 비추거나 촬영을 중단하였고 가해자는 자신의 총을 정확히 사용하였다.
Result
EDR (successive 2-s bins was recorded for 60s from the on set of scenario)에 의해 도표로써 시각화되었음.
GENERAL DISCUSSION
경찰과 시민들의 결과는 분명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실험 2에서 경찰과 시민 목격자는 시나리오에 의해서 나름대로 기억된 사무적인 것들은 별 차이를 보이지 않았었지만 1997년 Lindholm의 연구에 의하면 경찰들은 시민들보다 가해자가 사용한 무기를 더욱 잘 기억해냈으며 전체적인 기억도 높았다고 발표했다.
NOTES : EDR 측정 시 유의할 점과 연구 방법 제시
APPENDIX : 어떠한 점을 기억을 하는지 측정하기 위한 질문지를 실어놓음
REFERENCES : 참고 문헌
추천자료
광고와 심리학
가족 심리학(형제 자매관계)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인본주의 심리학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융의 분석심리학 이론과 사회복지실천
[범죄심리학] 청소년 비행의 이론 유형과 특성 및 원인에 대한 정리와 분석 -사상체질의학의 ...
[성격심리학 연구논문][대학생의 성역할 정체감과 성 고정관념이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
스포츠 심리학의 목표설정에 관하여 (목표의 정의 및 유형, 목표설정 효과, 목표설정 이론, ...
[교육심리학] 「지능이론과 지능검사의 종류 및 특징」 지능의 정의, 지능이론(g요인설, 기본...
아들러의 개인심리학적 성격이론
★ 소비자심리학 - 자신의 실제 소비행동을 1-7주차 강의내용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제시하라
융의 분석심리학의 기초로 하여 자신의 성격을 파악하여 장단점을 파악한 후 자신이 더 나은 ...
[교육심리학 공통]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