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 매체에 나타난 한국어의 모습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텔레비전 방송에 나타난 한국어의 모습
(1) 방송언어의 조건
(2) 방송언어의 오용사례
(3) 방송언어 오염의 원인
(4) 방송언어 순화의 필요성

2. 컴퓨터 통신에 나타난 한국어의 모습
(1) 통신 언어의 특징
(2) 통신 언어의 문제점
(3) 올바른 통신 언어를 위하여

본문내용

하였다고 밖에 볼 수 없다.
2) 내용상의 문제
통신 언어의 문제점에서 가장 우려되는 것이 언어폭력이다. 일부 이용자들이 대화방, 토 론방등에서 비방과 욕설을 쏟아내며 통신망을 오염시키고 있다. 자신이 누구인지 알려지 지 않는 통신 공간의 익명성 때문에 무책임하게 비속어를 사용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이 같은 비속어들은 주로 10대 네티즌들을 위주로 급속히 펴져서, '좆나', '열나' 등 몇몇 말은 일상 생활에서도 아주 흔하게 강조 부사어로 쓰이고 있을 정도이다.
또한 통신상에서는 익명성을 빙자하여 음란한 표현들이 난무하기도 한다. 음란 메일이나 음란한 대화가 불특정한 다수에게 살포되므로썰 상대에게 심한 불쾌감을 유발시킨다. 언 어폭혁이 위험수위를 넘고 있다.
은어 남용도 문제이다. 가령, '거짓말하다'를 '쌩까다'라 하고, '화난다'를 '짱난다'로, '무 시당하다'를 '씹혔다'로, '노인'을 '노땅'이라 표현한다. 그 가운데 '당근이지', '왕따', '고딩' 등의 말들은 통신을 해 보지 않은 사람들도 누구나 알 수 있을 정도로 이미 보편화 되었 다. 비속어나 은어와 같은 불건전한 언어의 사용은 언어 발달이나 국어 순화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 동안 통신 언어의 문제점으로는 문법 파괴와 같은 형식적인 측명이 주로 지적되었는 데, 앞으로는 심성 파괴의 측면에서 언어 윤리적 차원의 문제가 더욱 심각하다는 점을 인 식하는 일이 필요하다.
3) 일상 언어로의 사용
채팅을 활발히 하는 사람들의 일상 대화 표현을 보면 특이한 양상이 눈에 띄는데 그것 은 통신 언어의 화법이 일상 대화에서도 그대로 드러난다는 점이다. 예를 들면, 그들이 놀 랐을 때, "어머나", "깜짝이야"하는 식의 표현 대신 통신 언어라 할 수 있는 "화들짝", "허 거덩"이라는 말을 내뱉는 경우가 많다. 대답할 때에 "예"라는 표현 대신 "넵"이라는 표현 을 쓰는 경우도 있다.
또한 일상 대화에서만 통신 언어가 반영되는 것이 아니라 글쓰기에서도 그 행태가 종종 나타난다. 초등학생들이 정확한 어문 규칙을 습득하는 데에 통신 언어가 장해가 된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고, 심지어 대학생들의 시험답지에도 어김없이 통신 언어 하나씩은 등장하는 실정이다.
현재 통신 언어를 일상 생활에 사용하고 있는 중·고등학생의 10%이상이 앞으로는 사 용할 서이라고 응답하였다는 통계가 있다. 이러한 통계를 볼 때, 통신 언어가 컴퓨터 통신 만이 아닌 일상 생활에도 꾸준히 사용되면서 일상 언어를 계속 훼손시킬 것이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3) 올바른 통신 언어를 위하여
통신 언어는 맞춤법의 파괴, 표준어의 무시, 외래어의 오·남용 등으로 국적 불명의 언어라는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컴퓨터라는 매체의 특성상 기존의 언어 규칙이 통신상에서 그대로 지켜지기는 어려운 것이 현실이다. 통신 언어도 분명히 필요한 부분이 있으며, 인터넷 이용자들에게 어느 정도 장점을 제공해 주기도 한다.
이제 통신 언어가 '언어파괴의 주범'이라고 하여 무조건 배척할 수만은 없는 것이 현실이고, 통신 언어의 문제점이 비단 우리나라에만 국한되는 문제도 아니다. 최근에는 영어권 최고 권위의 옥스퍼드 사전에서 인터넷 채팅, 이메일, 휴대전화 문자메시지에서 통용되는 축약어를 콘사이스판에 등재하기 시작했다고 한다.
통신 언어가 가진 창조성, 개방성, 편의성 등의 장점을 살리기 위해서는 적절한 자제와 제어가 필요하다. 바람직한 통신 언어 정착을 위해 기술적·교육적 차원에서 대안이 마련되고, 네티즌들의 자발적인 노력이 경주되어야 한다. 통신 언어가 새로운 매체 환경의 변화에 발맞춘 새로운 언어문화 현상으로 수용될 수 있도록 우리 모두가 잘 다듬어 나가야 할 것이다.

키워드

  • 가격1,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03.10.17
  • 저작시기2003.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2268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